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4월 2025 >>
  12345
6789101112
13141516171819
20212223242526
27282930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詩人 대학교

시인은 고독을 줄기차게 친구 삼고 문제의식을 늘 가져라...
2017년 04월 30일 22시 05분  조회:2233  추천:0  작성자: 죽림

@@ 詩作을 위한 열가지 방법

/ 테드 휴즈

 
1. 동물의 이름을 머리와 가슴속에 넣고 다녀라.
(조류,곤충류,어패류,동물들의 이름을 가령 종달새,굴뚝새, 파리,물거미,달이, 소라고동, 바다사자, 고양이 등)
 
2. 바람과 쉼 없이 마주하라.
(동서남북 바람, 강바람, 산바람,의인화한 바람까지도)
 
3. 기후와 계절의 변화에 민감하라.
(안개,폭풍,빗소리,구름, 4계절의풍경 등)
 
4. 사람들의 이름을 항상 불러 보라.
(옛 사람이든 오늘 살고 있는 사람이든, 모두)
 
5. 무엇이든지 뒤집어서 생각하라.
(발상의 전환을 위해 가령 열정과 불의 상징인 태양을 달과 바꾸어서 생각한다든지
또 그것을 냉랭함과 얼음의 상징으로 뒤집어 보는 것이 그 방법
그리고 정지된 나무가 걸어다니다고 표현단다든지
남자를 여자로 여자를 남자로 상식을 배상식으로 구상을 추상으로
추상을 구상으로 유기물을 무기물로 무기물을 우기물로 뒤집어서 생각하라.
이것이 은유와 상징 넌센스와 알레고리의 미학이며 파라독스에 접근하는 길이다)
 
6. 타인의 경험도 내 경험으로 이끌어 들여라.
(어머니와 친구들의 경험, 혹은 성현이나 신화속의 인물들의 경험이나 악마들이나 신들의 경험까지도)
 
7. 문제의식을 늘 가져라.
(어떤 사물을 대할 때나, 어떤 생각을 할 때 그리고 정치와 경제 사회와 문화적 현상을 접할 때
이것이 시정신이며 작가정신이다.)
 
8. 눈에 보이는 것은 물론 안 보이는 것까지 손으로 만지면서 살아라
(이 우주 만물 그리고 지상위의 모든 사물과 생명체들은 다 눈과 귀,
입과 코가 달려 있으며 뚫여있다고 생각하라.
나뭇잎도 이목구비가 있고 여러분이 앉아 있는 의자도 이목구비가 있고
여러분이 매일 무심코 사용하넌 연필과 손수건에도 눈과 귀 입과 코가 달려있는 사실을 생각하라.
우주안에선 모든 것이 생명체이다)
 
9. 문체와 문장에 겁을 먹지 말아라.
(하얀 백지 위에선 혹은 여러분 컴퓨너 모니터에 들어가선
몇 십번을 되풀이 해 자유자재로 문장 훈련을 쌓아가라.)
 
10. 고독을 줄기차게 벗 삼아라.
(고독은 시와 소설의 창작에 있어서 최고의 창작환경이다.
물론 자신의 창작을 늘 가까이 읽어주며 충고해 주는 사람도 필요하다.)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1570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1210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울적 2018-08-11 0 3404
1209 윤동주와 마지막으로 남은 석장 사진 2018-08-10 0 3948
1208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장 2018-08-10 0 3329
1207 윤동주와 강처중 "발문" 2018-08-09 0 2755
1206 윤동주와 정지용 "서문" 2018-08-09 0 2988
1205 윤동주와 마광수 2018-08-09 0 2534
1204 윤동주와 녀성 2018-08-09 0 3689
1203 윤동주와 "머리" 2018-08-09 0 2681
1202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밤 2018-08-09 0 3648
1201 "앞으로 계속 동주를 안고 갈 새세대들을 키워야"... 2018-08-08 0 3326
1200 [자료] - 윤동주 동시와 그 세계를 론하다... 2018-08-08 0 2715
1199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할아버지 2018-08-07 0 3780
1198 다시 알아보는 "생명의 시인"- 윤동주 2018-08-07 0 8615
1197 다시 알아보는 윤동주 가족 관계 2018-08-07 0 7317
1196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호주머니 2018-08-06 0 4665
1195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빨래 2018-08-06 0 2999
1194 윤동주와 윤혜원 2018-08-04 0 2874
1193 윤동주와 "소금물" 2018-08-04 0 3733
1192 [작문써클선생님께] - "사과" 이야기 하나 해볼가요... 2018-08-04 0 4233
1191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사과 2018-08-04 0 2795
1190 [바로 잡아야 합니다] - 윤동주 시 "편지"가 오도되고 있다!... 2018-08-04 0 3284
1189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편지 2018-08-04 0 4721
1188 다시 보는 윤동주 2018-08-04 0 4061
1187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버선본 2018-08-03 0 2941
1186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가을밤 2018-08-03 0 2719
1185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무얼 먹고 사나 2018-08-02 0 3290
1184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굴뚝 2018-08-01 0 3259
1183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가슴 3 2018-08-01 0 4336
1182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식권 2018-07-31 0 3075
1181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기와장내외 2018-07-31 0 3253
1180 시인 윤둥주를 사랑한 물리학자 2018-07-30 0 3288
1179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흐르는 거리 2018-07-30 0 2807
1178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간판 없는 거리 2018-07-29 0 5216
1177 "바람만이 그 답을 알고 있다네"... 2018-07-29 0 2555
1176 다시보는 음유시인, 가수 - 밥 딜런 2018-07-29 0 6804
1175 음유시인은 여전히 자신만의 방식과 자신만의 "예술"을 하다 2018-07-29 0 2803
1174 "나한테 주어진 길을 걸어가야겠다" ㅡ "윤동주 정신" 2018-07-27 0 2415
1173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길 2018-07-27 0 5276
1172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눈 감고 간다 2018-07-26 0 3292
1171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또 태초의 아침 2018-07-25 0 3084
‹처음  이전 5 6 7 8 9 10 11 12 13 14 15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