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4월 2025 >>
  12345
6789101112
13141516171819
20212223242526
27282930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詩人 대학교

시인은 시를 오랫동안 삭힐줄 알아야...
2017년 04월 20일 20시 28분  조회:2124  추천:0  작성자: 죽림



 

시를 삭히는 법/이섬



음식을 만드는 과정 중에 ‘삭힌다’는 말이 있다. 김치나 젓갈, 식혜 등을 제맛이 나도록 익히는 것인데 중요한 건 인위적으로 익혀서는 안 된다는 것이다. 적당한 온도와 바람, 햇빛 등 자연적인 요소로 숙성시켜야만 잘 삭혀진다고 하겠다. 전문적인 용어로 말한다면 음식물 속에 있는 효모나 박테리아같은 미생물에 의해서 유기 화학물이 분해·산화·환원하여 유기산이나 탄산가스 등이 생겨서 발효되는 것이다.
잘 익고 맛있게 삭은 고추장만 해도 그렇다. 메주가루와 고추가루, 엿기름가루, 소금물 등을 골고루 섞어 버무린다. 이것을 항아리에 담아 통풍이 잘 되고 양지바른 곳에서 낮에는 햇빛을 쪼이고, 밤에는 뚜껑을 꼭 덮어 물기가 스미지 않게 해서 두 달 이상이 지나야만 제대로 삭혀져서 맛이 나게 된다. 
또 한 가지 예를 든다면, 내가 좋아하는 반찬 중에 가자미 식해라는 것이 있다. 함경도가 고향인 어머니가 해 주시던 음식인데 잘 삭혀진 가자미 식해의 맛은 ‘입에 살살 녹는다’라고밖에 표현할 수가 없다. 
겨우내 먹을 김장을 끝내놓고 나면 꼭 가자미 식해를 담그시는데 노르스름한 색깔이 도는 참가자미를 결대로 썰어 놓고, 고슬고슬하게 지은 좁쌀밥에 채로 썬 무와 엿기름가루를 섞은 다음 고추가루를 듬뿍 넣어 갖은 양념으로 버무린다. 버무린 것을 키작은 항아리에 꼭꼭 눌러 담은 다음 웃소금을 살짝 쳐서 바람이 잘 통하고 그늘진 곳에 두었다가 열흘쯤 지난 뒤에 꺼내 먹는다.
요즘 들어서 건강에 신경들을 쓰다보니까 이처럼 발효된 음식이 항암 효과가 있다고 환영을 받기도 하는 듯하다. 폐일언하고, 앞의 예를 든 조리 과정을 보건대 ‘삭힌다’는 건 지적한 것과 같이 열을 가하는 등의 인위적인 방법으로 익힐 수가 없다는 점, 그리고 또 한 가지는 한두 시간이나 하루이틀에 빨리빨리 완성되지 않는다는 것이다. 음식마다 다르지만 오랜 시간이 걸려야만 맛이 숙성된다는 것이 특징이다.
멸치젓갈같은 경우는 몇 달간의 낮과 밤이 지나야만 소금에 버무린 생멸치의 살과 뼈가 녹아서 잘 익은 젓국이 우러나는 것이다.
이제 본론으로 들어가겠다. 나의 두번째 시집 『향기나는 소리』를 읽어 본 친구한테서 전화가 왔다. 
“이섬 씨 삭힌다는 말을 좋아하나 봐.” 
그랬었구나! 내가 ‘곰삭은’ 말을 좋아했었구나. 시집을 펼쳐 보았다. ‘상원사 종루에서 나무공이로 두들겨 삭아져서’ ‘우묵한 오지 뚝배기에 노랗게 삭은’ 등등.
이왕 내친 김에 덕담 한 마디 해야겠다. 잘 익어서 맛있게 삭은 시를 쓰고 잘 삭아져서 감칠맛나게 사는 삶, 좋지 않겠는가!

대전을 오가기 위해서 경부고속도로나 중부고속도로를 자주 다닌다. 어느 비 오는 날 오후 중부고속도로 매표소 지하도를 건너가게 되었다. 도로가 16차선이나 되는 꽤 긴 편인 시멘트 동굴같은 델 들어갔는데, 바로 머리 위 길에서 엉엉 우는 소리가 났다.
“아니, 아니! 길이 울다니….” 
비가 오기 때문이었는지, 차가 달리는 소리가 동굴에 울림을 주었기 때문이었는지 모르지만, 머리 위쪽 길에서 엉엉 우는 소리가 났다. 사람 하나 없는 흐릿한 불빛 아래에서 그것은 굉장한 놀라움이고 떨림이었다. 
며칠이 지난 뒤 나는 「길도 울 때가 있더라」라는 제목으로 책상 앞에 앉았다. 대부분 시를 먼저 쓰고 제목을 붙이는 평소의 습관과는 달리 제목이 쉽게 튀어 나왔다. 그때 들었던 울음소리가 무엇 때문에 그렇게 큰 울림으로 내게 닿았을까?

길도 울 때가 있더라

중부 고속도로 매표소 지하도를 건너는데
바로 머리 위 길이 엉엉 우는 소리를 냈어
눈물을 흘리면서 울더라니까①
마음밭 여기저기 흩어져 있는 검불들을
쥐어뜯는 그런 울음이었어 검고 진했어
숨도 안 쉬고 맥박도 안 뛰는 줄 알았는데
아픔도 눈물도 없는 줄 알았는데②
심장 안쪽에 피가 돌고 있었어③
끓고 있었어④
살아서 꼬물거리던 작은 생명체들이
길속에 또하나의 길을 만들고 있는 중이야
살아 있음의 생생한 기억들을 불러내고
있는 중이었어
여러 겹으로 포장된 뇌사의 길이
비 오는 날이면 엉엉 소리를 내며
울고 있었어

다 드러내놓고 쓰기로 했다. 내가 겪었던 체험은 내 의식 주변에 대한 새로운 인식으로 연결되었다. 내가 알지 못하고 상상할 수 없는 곳에서도 있을 수 있는 갈등과 아픔 그들을 치유하고자 화해의 손을 내밀었다. ①행을 좀 더 강조해야겠고, ②행과 ③행의 연결고리가 너무 느슨했다. 갈등을 화해로 전환하는 데 좀더 탄력있게 조여줄 수 있는 연장을 찾아보기로 했다.
시를 쓰고 고치는 것도 성격대로인가? 서두르지 않았다. 석 달쯤 지난 후 작품들을 정리하면서 다시 그와 마주했다. 그를 한 등급 높여서 예우해 주기로 했다. 의인화시켜서 그에게 더운 피가 돌게 하고, 다시 ④행을 수정하여 맑은 공기를 흠뻑 들어마시게 해 주었다. 잘 삭혀진 것일까? 고른 숨소리가 들리는 듯했다.

길도 울 때가 있더라

중부 고속도로 매표소 지하도를 건너는데
바로 머리 위 길이 엉엉 우는 소리를 냈어
정말이야 눈물을 흘리면서 울더라니까
마음밭 여기저기 흩어져 있는 검불들을
쥐어뜯는 그런 울음이었어 검고 진했어
숨도 안 쉬고 맥박도 안 뛰는 줄 알았는데
시멘트에 방수에 겹겹이 포장된 심장 안쪽에
아직도 더운 피가 돌고 있었어
펄펄 끓어서 맑아지게 하고 있었어
살아서 꼬물거리던 작은 생명체들이
길 속에 또 하나의 길을 만들고 있는 중이야
살아 있음의 생생한 기억들을 불러내고
있는 중이었어
여러 겹으로 포장된 뇌사의 길이
비 오는 날이면 엉엉 소리를 내며
울고 있었어

나는 시에서 운율을 중요하게 생각한다. 읽으면서 걸리는 구절이나 어색한 부분은 없는지 몇 번씩 읽어보곤 한다. 또한 탄탄한 집을 지어주고자 한다. 비가 오거나 바람이 불어도 끄떡없는 구조가 탄탄한 집, 거기에 유산균이 풍부한 잘 삭은 맛깔스런 시의 국물까지 곁들인다면 더할 나위 없겠지! (이 섬)


93년 『문학과 의식』 등단. 시집 『누군가 나를 연다』 『향기나는 소리』가 있다. 96년 국민문학상 시 부문 이천만원 고료 당선

------------------------------------------------------------------------------------

 

 

그리움 
―아이헨도르프(1788∼1857)

별들이 아름답게 반짝이고 있다.
나는 홀로 창가에 기대어
고요한 마을
멀리서 들리는 역마차 피리소리를 들었다.
어쩐지 가슴이 타오르듯 뜨거운
이렇게 아름다운 여름밤
저렇게 함께 여행할 사람이라도 있다면 좋겠네.
그런 생각을 슬쩍 하기도 했다.

젊은이 두 사람이
산비탈 길을 걸어가고 있었다.
걸어가면서 노래하는 소리가
고요한 산자락을 따라 멀어져간다.
살랑살랑 속삭이는 숲을 맴돌고
현기증 나는 바윗길을 맴돌아
낭떠러지를 뚝 떨어져서
숲의 어두움 속에 사라지는 샘물을 맴돌고 간다.

그들은 대리석 조각에 대해 노래하고 있었다.
어두컴컴하게 우거진 갈퀴덩굴 속의
바위 있고 잔디밭 있는 정원과
달그림자에 떠오르는 궁전을 노래했다.
아름다운 여름밤
아가씨들이 그 창가에 기대어
아련한 샘물의 속삭임 소리에 귀 기울이며
칠현금 소리 울리기를 기다린다고.

 

 

화자는 한적한 시골마을에 산다. 어느 맑은 여름밤, 창가에 기대어 하늘 가득 반짝이는 별들을 바라보고 있는데 멀리서 ‘역마차 피리소리’가 들려온다. 지금이라면 기차소리일 테다. 그렇잖아도 아름다운 여름밤, ‘어쩐지 가슴이 타오르듯 뜨거운’ 참인데 마음이 싱숭생숭해진다. 이 시간 저 역마차에는 여름여행을 떠난 사람들이 즐겁게 웅성거리겠지. 아, 나도 저 역마차를 타고 어디론가 떠나고 싶구나. 혼자서는 말고, 누군가 사랑하는 이와 함께. 그러면 얼마나 좋을까! 친구와 함께 도보여행을 하던 젊은 날이 그립게 떠오른다. 산비탈도 바윗길도 숲길도 발이 부르트도록 걸었지. 날이 저물도록 노래를 흥얼거리며. 그 노래 가사는 대리석 조각에 대해서였지. 또 잔디밭이 있는 정원의 궁전, 달 밝은 여름밤이면 궁전에 사는 아가씨들이 창가에 기대어 아련한 샘물의 속삭임에 귀 기울인다고도 노래했지. 아, 아가씨들이여, 알지 못할 먼 곳들이여, 내 젊은 날이여!

독일 낭만파 시인 아이헨도르프는 만년을 전원에서 살며 시를 썼단다. 이 시는 그 시절에 쓴 듯한데 대체 몇 살부터 ‘만년’이라는 걸까. 아직 그리움이 펄펄 작동하누나. 시골생활은 때로 외로울 테지만, 그래서도 마음에 그리움이 들어찰 여유가 생길 테다. 생각해 보니 나는 그리움에 가슴 조인 지 오래다. 그리움이 그립다! 200년 전이나 지금이나 청춘남녀를 들썽거리게 하는 여름밤이다. 아름다운 여름 보내시라!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1570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530 목련아, 나와 놀자... 2017-06-09 0 2820
529 시는 메모에서 완성하기까지 고심에 련마를 걸쳐야... 2017-06-09 0 2390
528 동시인은 "스스로 어린이로 살아가는" 사람이다... 2017-06-09 0 2195
527 시인은 관습적으로 길들여진 자동화된 인식을 버려야... 2017-06-09 0 2277
526 시인은 시제목을 정할 때 신경을 써야... 2017-06-09 0 2567
525 문학성과 창조성이 없는 글은 수필도 아니며 죽은 글이다... 2017-06-09 0 2098
524 인공지능시대 미래를 준비하는 선생님들의 자세는?... 2017-06-02 0 2903
523 인간 글쓰기 지위 일락천장 추락되다... 2017-06-02 0 2753
522 인공지능 번역은 어처구니없는 번역... 2017-06-02 0 2827
521 세상은 교과서처럼 흘러가지 않는다... 2017-06-02 0 2130
520 인공지능 왈; "이 장기를 수술해 잘라내라".../수술의사: ???... 2017-06-02 0 2396
519 시인들이여, 정신 차리라! 로봇트 세계 최초 시집 발간했다!!! 2017-06-02 0 2668
518 [작문써클선생님들께] -우리 말 공부, 난제를 풀며 공부해야... 2017-06-01 0 3052
517 시계가 걸어온 길을 알고싶다...(3) 2017-06-01 0 3634
516 시계가 걸어온 길을 알고싶다...(2) 2017-06-01 0 3770
515 시계가 걸어온 길을 알고싶다...(1) 2017-06-01 0 3800
514 삶이란 련습없이 태여나서 실습없이 사라진다... 2017-05-31 0 2618
513 미래를 념려하다가 결국 현재와 미래를 다 놓쳐버리다... 2017-05-31 0 2342
512 수필은 원칙적으로 산문으로 쓰여져야... 2017-05-31 0 2649
511 [고향문학인소식]-원로시인 최룡관 고향 문학계 소식 전하다... 2017-05-31 0 2418
510 "수필쟁이"들이여, 수필이라는걸 알고나 씁니껴?!...(2) 2017-05-31 0 3050
509 "수필쟁이"들이여, 수필이라는걸 알고나 씁니껴?!... 2017-05-31 0 2555
508 시의 본질적인 문제를 인공지능이 파악할수 없다... 2017-05-28 0 2365
507 시인이라면 초고를 쓰는 고통을 감내할줄을 알아야... 2017-05-28 0 2549
506 시도 예술도 모르는 사회는 배부른 돼지의 세계이다... 2017-05-28 0 2848
505 시인은 인공지능이 시를 쓰든 말든 신경쓰지 말고 시를 쓰라... 2017-05-28 0 2664
504 수필쓰기는 자신의 삶을 가치롭게 꽃피우는 자각행위이다... 2017-05-28 1 2622
503 시간의 그 끝머리는 상처를 치유해주는 하나의 과정과 방식... 2017-05-28 1 2855
502 소금은 죽음에서 피여나는 생명의 꽃이다... 2017-05-28 0 2616
501 [작문써클선생님들께] - 우리 말(어원)의 유래?... 2017-05-24 0 2897
500 시문학을 일상의 생활속에서 이어가는 삶은 아름답다... 2017-05-24 0 2542
499 생명은 타지 않으면 썩는다 / 박문희 2017-05-24 0 2699
498 시는 신비한 언어로 시행사이에 사색적인 공간을 엮어줘야... 2017-05-24 0 2671
497 시의 제목이 작품에 미치는 영향은 매우 크다... 2017-05-23 0 3110
496 시인은 쓰고자 하는것을 마음속으로 먼저 그려보아라... 2017-05-23 0 3356
495 시를 랑송할때는 시인의 느낌과 청중의 공감을 터득해야... 2017-05-23 0 3925
494 "소리없는 아우성"으로 시와 씨름한 독일 시인 - 파울 첼란 2017-05-23 0 3070
493 허두남 우화시 고찰 / 최룡관 2017-05-23 0 2614
492 동시인들은 아이들을 위하여 랑송시 창작에 몰두해야... 2017-05-22 0 2123
491 시는 이미저리의 원형과 수사학적 기법을 잘 활용해야... 2017-05-22 0 2622
‹처음  이전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