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4월 2025 >>
  12345
6789101112
13141516171819
20212223242526
27282930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詩人 대학교

시는 누구나 쓸수 있으나 아무나 시인이 되는것은 아니다...
2017년 04월 03일 00시 07분  조회:2580  추천:0  작성자: 죽림

 

 

시창작의 기본  - 나호열

1. '시가 무엇인가?'에 대한 정의를 내리려고 집착하지 않는다. 
시는 설득의 문학이 아니라 암시의 문학임을 이해한다(춤은 동작 자체의 미를 추구하고, 
걸음은 목적지로 다가서는 것이다) 
2. 시의 생명은 하고 싶은 메시지를 압축과 비약을 적절하게 사용하는데 있다.(상징과 이미지 중심)
3. 주제와 소재에 대한 개념을 숙지한다.(주제: 내가 전하고 싶은 이야기의 요지
소재: 주제를 잘 드러내게 하기 위하여 시용되는 도구) 
4. 어려운 한자어, 겉으모 멋있는 단어에 집착하지 말 것. 
5. 비유에 대한 이해를 넓힌다 
직유:simile: 비교를 통한 유사성 추구 
은유:metaphor: 유사성의 측면: 직관과 상상력, 환유: 인접성 
우유allegory: 속담,우화 
반어법:irony: 의인법,의물법 
6. 사실에 대한 통찰과 이해 그리고 상상력을 연마한다. 
* 사물에 대한 선입관이 없는 순수한 관찰과 더불어 과거경험을 바탕으로하는 왕성한 상상력 

*오노 도사부로 小野十三廊 =
나는 하나의 사실이나 사건을 보고 경험함으로서 얻어진 감동을 일단은 잊어버리려고 한다. 
아무리 강하게 마음에 와 닿았어도 그것을 당장 시로만들려고 하지 않는다. 
감동이란 것은 생짜일 적에는 쓸모가 없는 것이라 우선 그것을 마음 속에 처넣어둔다. 어떤 이들은 무쇠는 달아 있을 때 두드려야 한다고들 하지만 나는 도리어 감동을 식혀버린다. 
나는 감동을 일단 잊어버릴수록 또 그것을 내칠수록 오히려 그것을 보다 소중히하고 보다 확실한 것으로 만드는 것이라 생각하고 있다. 

7. 훌륭한 시란 뼈를 저미는 고통의 작업에서 빚어지고, 예지(작가의 자질)와 
끊임없는 노력의기념비요, 의지와 분석의 소산이다. - 폴, 발레리 
8. 행가르기의 유형을 체득한다
1) 이미지 중심으로 행을 나누는 법: 가장 많이 쓰인다: 회화적,음악적 이미지를 위한 행가르기 
2) 의미 중심으로 행과 연을 나눈다 
3) 행가름을 하고 연 구분은 하지 않는다 
4) 산문시의 형식 
5) 2분 구성법, 정,반,합의 3 분 구성법, 기.승.전.결의 4 분 구성법 역거식 구성법 
9. 시의 형식은 내가 만드는 것이다.형식이나 내용을 구성하는데 자신만이 이야기할 수 있는 창조력이 발휘되어야 한다. 
10. 기행문이나 수필, 독서 감상문등을 꾸준히 써 본다. 
11. 틈틈이 신문기사나 잡지 등에서 필요한 기사를 스크랩하고 활용하는 습관을 기른다. 
12. 가급적 많은 시집을 읽되, 자신으 취향과 맞지 않는 시집을 골고루 읽고, 논리적인 해석을 가해 본다. 
13. 맞춤법과 띄어쓰기 공부는 글쓰기의 기본이다. 
14. 시는 누구나 쓸 수 있으나 아무나 시인이 되는 것은 아니다. 
시인에게는 무엇보다도 어린아이와 같은 순수와 삶에 대한 열정, 자기자신에 대한 준엄한 비판이 있어야 한다. 
15. 모든 공부에 지름길은 없다. 특히 시창작은 오랜 숙련기간을 요구하므로 인내를 가지고 공부해야 한다.(노력만큼 아름다운 일은 없다!) 

/나호열교수(경희대)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1570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570 수선화야, 나와 놀자... 2017-06-24 0 2178
569 시의 제목이 때때로 주제를 요약하거나 암시하게 한다... 2017-06-24 0 2376
568 작가들의 책 증정은 타인의 존중이자 자아관리이다... 2017-06-24 0 3211
567 흑토변 시인 한영남, 두만강역 시인 윤청남 시집 "꽃" 피우다... 2017-06-24 0 3139
566 "6월"의 시모음 2017-06-24 0 2507
565 시는 어휘의 빈곤, 경박한 멋부리기, 산만한 이미지 등은 금물... 2017-06-24 0 2237
564 "손에 쥐고 있는것들이 갑자기 사라지는 날이 있다"... 2017-06-24 0 2185
563 시를 읽을 때, 일단 그 시를 읽고 그림을 미리속에 그려라... 2017-06-24 0 2577
562 시인은 지성과 감성, 사고와 감정이 늘 융합통일이 되여야... 2017-06-24 0 2238
561 [작문써클선생님들께] - "6진방언" 알아보다... 2017-06-20 0 2682
560 [작문써클선생님들께] - "강원도방언" 알아보다... 2017-06-20 0 3092
559 [작문써클선생님들께] - "황해도방언" 알아보다... 2017-06-20 0 2675
558 [작문써클선생님들께] - "함경도방언" 알아보다... 2017-06-20 0 3685
557 [작문써클선생님들께] - "연변방언" 알아보다... 2017-06-20 0 2751
556 [작문써클선생님들께] - "동북방언" 알아보다... 2017-06-20 0 3863
555 [작문써클선생님들께] - 야생화 이름의 유래... 2017-06-19 0 2417
554 [작문써클선생님들께] - 재미있는 식물, 나무이름의 유래... 2017-06-19 0 2642
553 중국 "양주팔괴"의 한사람 - 정판교 2017-06-19 0 4778
552 민들레야, 나와 놀자... 2017-06-19 0 2484
551 시작은 시에 생명이 없는것에 새 생명을 부여하는 작업이다... 2017-06-19 0 2302
550 망초꽃아, 나와 놀자... 2017-06-18 0 2272
549 시창작에서 고독은 최고의 창작환경이다... 2017-06-18 0 2111
548 시는 언어로 만들어진 그림... 2017-06-18 0 2360
547 [작문써클선생님들께]-프랑스 비행사 작가 생텍쥐페리 명언... 2017-06-16 0 6162
546 제비꽃아, 나와 놀자... 2017-06-16 0 2115
545 인류 최초의 시인은 원시사회에서 신체적 불구자???... 2017-06-16 0 2485
544 세계적 글쟁이들이 글쓰기 조언 41 2017-06-16 0 2380
543 장미꽃아, 나와 놀자... 2017-06-15 0 2355
542 시인은 자기자신의 원고를 "퇴고"할줄 알아야... 2017-06-15 0 2463
541 "오월의 짧은 그림자"야, 섭섭하다... 다시 놀자... 2017-06-14 0 3658
540 철쭉아, 나와 놀자... 2017-06-14 0 2412
539 시적 탐구의 과정은 곧 삶의 잉여적 표현이다... 2017-06-14 0 2282
538 시인의 눈물은 세상을 바라보는 마음의 "렌즈"이다... 2017-06-14 0 2716
537 진달래야, 나와 놀자... 2017-06-13 0 2308
536 개나리야, 나와 놀자... 2017-06-13 0 2747
535 시작은 내적인 노예상태를 까부수어 나아가는 과정이다... 2017-06-12 0 2105
534 시인은 고정관념을 깨뜨리는 또 하나의 열쇠가 있어야... 2017-06-12 0 2395
533 시인의 눈은 저 쪽의 세계를 명징하는 고감도의 눈이여야... 2017-06-09 0 2538
532 음악 전통속에서 새로운 시적인 표현을 만들어내다... 2017-06-09 0 2113
531 벗꽃아, 나와 놀자... 2017-06-09 0 2400
‹처음  이전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