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2월 2025 >>
      1
2345678
9101112131415
16171819202122
232425262728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文人 지구촌

"나는 단어를 찾는다" -폴란드 시인 쉼보르스카
2016년 03월 07일 22시 33분  조회:3800  추천:0  작성자: 죽림

노벨문학상 수상 소감 연설에서 비스와바 쉼보르스카는 이렇게 말했다.

“단어 하나하나가 모두 의미를 갖는 시어의 세계에서는
그 어느 것 하나도 평범하거나 일상적이지 않습니다.
그 어떤 바위도, 그리고 그 위를 유유히 흘러가는 그 어떤 구름도. 그 어떤 날도.
그리고 그 뒤에 찾아오는 그 어떤 밤도.
아니 그 누구의 것도 아닌 이 세상의 모든 존재도.
이것이야말로 시인들은 언제 어디서든 할 일이 많다는,
그런 의미가 아닐는지요.”

나는 단어를 찾는다.
비스와바 쉼보르스카(1923~2012),
그를 한마디로 표현할 단어를 찾는다.
어느 것도 충분하지 못하다.
가장 요긴한 말은 쓸데없고,
가장 뜨거운 말은 너무 미지근하다.

1945년 ‘나는 단어를 찾는다’로 데뷔한 폴란드 시인은 그 시에서 이렇게 노래했다.
“가장 용감한 말은 비겁하고/
가장 경멸적인 말은 여전히 성스럽다/
가장 잔인한 말은 너무나 동정적이고/
가장 적대적인 말은 너무나 약하다//
그 말은 화산 같아야 한다/
격동하고, 솟구치고, 힘차게 쏟아져 내려야 한다”.

노벨문학상(1996년) 수상 때 “모차르트의 음악같이 잘 다듬어진 구조에, 베토벤의 음악처럼 냉철한 사유 속에서 뜨겁게 폭발하는 그 무엇을 겸비했다”(스웨덴 한림원 노벨문학상 수상자 발표 연설문 중)는 찬사를 받자 “진정한 시인이라면 ‘나는 모르겠어’를 되풀이해야 한다”고 되뇌었던 시인의 유고시집 ‘충분하다’가 번역 출간됐다. 한국어판에는 생전 펴낸 마지막 시집 ‘여기’에 실린 시가 더해졌다.

쉼보르스카가 눈을 감기 전 완성한 시는 13편이다. 고민과 첨삭의 흔적이 고스란히 담긴 미완성 시 원고가 또 6편 있었다. 이를 합치고 동료이자 편집자인 리샤르드 크리니츠키의 편집후기를 붙인 ‘충분하다’가 나오자 폴란드 언론들은 ‘유고시집’ 대신 ‘신간시집’이라는 말로 그에게 애정을 표시했다.

‘충분하다’의 시어들은 초창기만큼이나 꾸밈없고 명징하다. 문장은 가볍고 투명한데도 묵직한 힘으로 존재의 본질을, 생의 이면을, 문명의 폐단을 떠올리게 한다.

“다른 곳은 어떤지 잘 모르겠어/
하지만 여기 지구에서는 모든 것이 꽤나 풍요로워/
여기서 사람들은 의자와 슬픔을 제조하지//
(…)여기서 무지(無知)는 과로로 뻗어버렸어.
끊임없이 뭔가를 계산하고, 비교하고, 측정하면서/
결론과 근본적 원리를 추출해내느라.”(‘여기’ 중)

일상을 읊다 불쑥 폭력, 전쟁 등의 테마를 눈 앞에 가져와 뇌를 식히는 문장도 여전하다. 1993년 ‘끝과 시작’이후 쉼보르스카가 이런 주제를 시 속에 언급한 일은 드물다고 한다. 그는 사슬에 묶인 채 무기력하게 누워 있는 개의 모습에서 인간을 향한 억압을, 거리에 남은 시위의 흔적을 보며 폴란드 사회의 현 주소를 본다.

“무더운 여름날, 개집, 그리고 사슬에 묶인 개 한 마리/
불과 몇 발자국 건너, 물이 가득 담긴 바가지가 놓여 있다/
하지만 사슬이 너무 짧아 도저히 닿질 못한다/
이 그림에 한 가지 항목을 덧붙여보자/
훨씬 더 길지만/
육안으로는 보기 힘든 우리의 사슬,
덕분에 우리는 자유롭게 서로를 지나칠 수 있다.”(‘사슬’전문)

‘두 번은 없다’며 유한성 앞에 겸허했던 그는 죽음 앞에서도 초연하고 담담하다.

“어쨌든 나는 돌아가야만 한다/
내 시의 유일한 자양분은 그리움/
그리워하려면 멀리 있어야 하므로” (미완성 원고 부분)
있는 힘을 다해 단어를, 문장을 갈구해 온 그가 택한 마지막 시어는 소소하지만 더할 나위 없이 충분했다.

김혜영기자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2283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1363 [비는 처절히 처절히... 詩 한컷]- 극빈 2016-04-21 0 4206
1362 [詩는 詩의 코너]- 詩는 ㄱ ㅐ ㅃ ㅜㄹ ?! ... 2016-04-21 0 4327
1361 [신선한 아침 詩 한컷]- 오빠가 되고 싶다 2016-04-20 0 4349
1360 [아침 詩 한컷]- 디딤돌 2016-04-20 0 4011
1359 서울 지하철 詩가 덜컹거린다... 2016-04-19 0 4840
1358 [쌀쌀한 월요일 아침, 詩 한컷]- 숟가락 2016-04-18 0 3902
1357 詩와 음악, 음악과 詩 2016-04-17 0 4636
1356 [밤비가 찌저지는 한밤, 詩 한컷]- 얼마나 좋은지 2016-04-16 0 3956
1355 詩는 소리 있는 그림, 그림은 소리 없는 詩 2016-04-16 0 3915
1354 소멸과 존재와 돼지와 그리고 부처님과... 2016-04-16 0 4162
1353 [봄 봄 봄... 詩 한컷]- 오리 2016-04-16 0 4003
1352 詩의 진리, 詩人의 진실 2016-04-16 0 4342
1351 물과 삶과 그리고 詩와... 2016-04-16 0 4530
1350 [詩공부 미치광이]- 詩作에서 이미지 가져오기 2016-04-16 0 4223
1349 [같은 제목의 詩 한컷]- 아니오 2016-04-15 0 4010
1348 [해살 창창한 이 아침, 詩 한컷]- 아니오 2016-04-15 0 4418
1347 [눈발이 그물대는 새벽 詩 한컷]- 가위바위보 2016-04-15 0 4252
1346 [새벽에 올리는 詩 한컷]- 국경선의 도적들 2016-04-15 0 4587
1345 <돌> 시모음 2016-04-13 0 4951
1344 詩調는 민족의 얼, 슬기로운 가락 2016-04-13 1 5599
1343 [한밤중 비가 추적추적 오는 이때 詩 한수 드리매]- 고백 2016-04-13 0 4805
1342 시조는 정형을 벗어나지 말아야... 2016-04-13 0 4547
1341 고 정몽호시인 "시조논문" 찾아보다... /리임원 시집 2016-04-13 0 4772
1340 3章 6句 시조 창작법 (2) 2016-04-13 0 5106
1339 시조 창작법 1 2016-04-13 0 5697
1338 詩人이라면 시조 몇수라도... 2016-04-12 0 4646
1337 현대시의 뿌리는 시조 2016-04-12 0 4913
1336 詩作할 때 詩人은 신조어를 잘 만들기 2016-04-12 0 4637
1335 [배꽃이 꽃샘추위에 오돌오돌 떠는 아침 詩한수]-방파제 끝 2016-04-12 0 4670
1334 [출근전, 詩한컵 드이소]-둥근 우주 2016-04-11 0 4664
1333 [詩한컵]- 황복 2016-04-11 0 4806
1332 [월요일 아침, 詩한송이 드리매]- 푸른 곰팽이 2016-04-11 0 4280
1331 [꽃샘추위를 하는 아침, 詩한컵 드리매]- 사람과 집 2016-04-11 0 4505
1330 인도 시성 타고르와 최초 만난 한국인 청년 2016-04-10 0 7615
1329 [또 詩공부]- 詩습작품 자기 키만큼 쌓여져야... 2016-04-10 0 4745
1328 [앞집 할배 배나무에 약치는 날 詩 한갭]- 거미 2016-04-09 0 4483
1327 ... 2016-04-08 0 4700
1326 [또 詩공부]- 詩의 종류 2016-04-08 0 5476
1325 [또 詩공부]- 詩란 압축된 언어적 건축물 2016-04-08 0 6148
1324 [또 詩공부]- 詩는 많이 다듬어야... 2016-04-08 0 5524
‹처음  이전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