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2월 2025 >>
      1
2345678
9101112131415
16171819202122
232425262728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文人 지구촌

"나는 단어를 찾는다" -폴란드 시인 쉼보르스카
2016년 03월 07일 22시 33분  조회:3809  추천:0  작성자: 죽림

노벨문학상 수상 소감 연설에서 비스와바 쉼보르스카는 이렇게 말했다.

“단어 하나하나가 모두 의미를 갖는 시어의 세계에서는
그 어느 것 하나도 평범하거나 일상적이지 않습니다.
그 어떤 바위도, 그리고 그 위를 유유히 흘러가는 그 어떤 구름도. 그 어떤 날도.
그리고 그 뒤에 찾아오는 그 어떤 밤도.
아니 그 누구의 것도 아닌 이 세상의 모든 존재도.
이것이야말로 시인들은 언제 어디서든 할 일이 많다는,
그런 의미가 아닐는지요.”

나는 단어를 찾는다.
비스와바 쉼보르스카(1923~2012),
그를 한마디로 표현할 단어를 찾는다.
어느 것도 충분하지 못하다.
가장 요긴한 말은 쓸데없고,
가장 뜨거운 말은 너무 미지근하다.

1945년 ‘나는 단어를 찾는다’로 데뷔한 폴란드 시인은 그 시에서 이렇게 노래했다.
“가장 용감한 말은 비겁하고/
가장 경멸적인 말은 여전히 성스럽다/
가장 잔인한 말은 너무나 동정적이고/
가장 적대적인 말은 너무나 약하다//
그 말은 화산 같아야 한다/
격동하고, 솟구치고, 힘차게 쏟아져 내려야 한다”.

노벨문학상(1996년) 수상 때 “모차르트의 음악같이 잘 다듬어진 구조에, 베토벤의 음악처럼 냉철한 사유 속에서 뜨겁게 폭발하는 그 무엇을 겸비했다”(스웨덴 한림원 노벨문학상 수상자 발표 연설문 중)는 찬사를 받자 “진정한 시인이라면 ‘나는 모르겠어’를 되풀이해야 한다”고 되뇌었던 시인의 유고시집 ‘충분하다’가 번역 출간됐다. 한국어판에는 생전 펴낸 마지막 시집 ‘여기’에 실린 시가 더해졌다.

쉼보르스카가 눈을 감기 전 완성한 시는 13편이다. 고민과 첨삭의 흔적이 고스란히 담긴 미완성 시 원고가 또 6편 있었다. 이를 합치고 동료이자 편집자인 리샤르드 크리니츠키의 편집후기를 붙인 ‘충분하다’가 나오자 폴란드 언론들은 ‘유고시집’ 대신 ‘신간시집’이라는 말로 그에게 애정을 표시했다.

‘충분하다’의 시어들은 초창기만큼이나 꾸밈없고 명징하다. 문장은 가볍고 투명한데도 묵직한 힘으로 존재의 본질을, 생의 이면을, 문명의 폐단을 떠올리게 한다.

“다른 곳은 어떤지 잘 모르겠어/
하지만 여기 지구에서는 모든 것이 꽤나 풍요로워/
여기서 사람들은 의자와 슬픔을 제조하지//
(…)여기서 무지(無知)는 과로로 뻗어버렸어.
끊임없이 뭔가를 계산하고, 비교하고, 측정하면서/
결론과 근본적 원리를 추출해내느라.”(‘여기’ 중)

일상을 읊다 불쑥 폭력, 전쟁 등의 테마를 눈 앞에 가져와 뇌를 식히는 문장도 여전하다. 1993년 ‘끝과 시작’이후 쉼보르스카가 이런 주제를 시 속에 언급한 일은 드물다고 한다. 그는 사슬에 묶인 채 무기력하게 누워 있는 개의 모습에서 인간을 향한 억압을, 거리에 남은 시위의 흔적을 보며 폴란드 사회의 현 주소를 본다.

“무더운 여름날, 개집, 그리고 사슬에 묶인 개 한 마리/
불과 몇 발자국 건너, 물이 가득 담긴 바가지가 놓여 있다/
하지만 사슬이 너무 짧아 도저히 닿질 못한다/
이 그림에 한 가지 항목을 덧붙여보자/
훨씬 더 길지만/
육안으로는 보기 힘든 우리의 사슬,
덕분에 우리는 자유롭게 서로를 지나칠 수 있다.”(‘사슬’전문)

‘두 번은 없다’며 유한성 앞에 겸허했던 그는 죽음 앞에서도 초연하고 담담하다.

“어쨌든 나는 돌아가야만 한다/
내 시의 유일한 자양분은 그리움/
그리워하려면 멀리 있어야 하므로” (미완성 원고 부분)
있는 힘을 다해 단어를, 문장을 갈구해 온 그가 택한 마지막 시어는 소소하지만 더할 나위 없이 충분했다.

김혜영기자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2283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1163 [안녕?- 아침 詩 한송이]- 미친 약속 2016-03-10 0 4192
1162 <노을> 시모음 2016-03-10 0 5048
1161 詩作初心 - 시의 제목 잘 선별하기 2016-03-10 0 5223
1160 詩作初心 - 시는 두겹으로 그림을 그려라 2016-03-09 0 5737
1159 詩作初心 - 시는 20행이하로... 2016-03-09 1 7036
1158 <개> 시모음 2016-03-08 0 4522
1157 [안녕?- 아침 詩 한송이]ㅡ 봄소동 2016-03-08 0 4142
1156 "나는 단어를 찾는다" -폴란드 시인 쉼보르스카 2016-03-07 0 3809
1155 [동시야 놀자]- 지각 대장 싸움 대장 2016-03-07 0 4236
1154 [동시야 놀자]- 쫑마리 2016-03-07 0 3821
1153 [동시야 놀자]- 오줌싸개 지도 2016-03-07 0 4295
1152 [동시야 놀자]- 아름다운 국수 2016-03-07 0 4413
1151 [동시야 놀자]- 까만 밤 2016-03-07 1 4378
1150 [동시야 놀자]- 봉숭아 2016-03-07 0 4342
1149 [안녕?- 아침 詩 두송이]- 들깨를 터는 저녁 / 뜨개질 2016-03-07 0 4572
1148 {안녕? - 아침 詩 한송이} - 白石 詩 2016-03-06 0 5490
1147 詩作初心 - 좋은 시를 모방하되 자기 색갈 만들기 2016-03-06 0 8021
1146 詩에서 상상은 허구, 가공이다... 2016-03-04 0 5187
1145 {안녕?- 아침 詩 두송이} - 나무들의 목소리 2016-03-04 0 4440
1144 詩는 그 어디까지나 상상의 산물 2016-03-04 0 4747
1143 [아침 詩 두수] - 황지우 시 두수 2016-03-03 0 4649
1142 산문시가 산문이 아니다라 詩이다 2016-03-03 0 4773
1141 산문과 산문시의 차이 알아보기 2016-03-03 0 4932
1140 산문시와 산문을 구별해보자 2016-03-03 0 4509
1139 "시의 본질" 이라는 거울앞에 서보자 2016-03-03 0 4339
1138 독자가 없으면 詩는 존재할수 있다... 없다... 2016-03-03 0 4807
1137 밀핵시(密核詩)란? 2016-03-02 0 4797
1136 [아침 詩 한수] - 내가 뜯는 이 빵 2016-03-02 0 4262
1135 눈물보다 독한 술은 없다... 있다... 2016-03-02 0 4158
1134 詩의 천하루밤 2016-03-02 0 4236
1133 詩作初心 - 독자 없는 시대를 독자 있는 시대로... 2016-03-02 0 4616
1132 詩作初心 - 詩를 읽는다는것은... 2016-03-01 0 4490
1131 詩作初心 - 한편의 시를 탈고하기 위하여... 2016-03-01 0 5337
1130 [아침 詩 한수] - 어떤 평화 2016-02-29 0 4791
1129 詩作初心 - 좋은 詩 없다... 있다... 2016-02-26 0 4459
1128 詩作初心 - "詩의 본질"이라는 거울앞에서ㅡ 2016-02-26 0 4490
1127 [아침 詩 두수] - 늙은 꽃 / 기적 2016-02-26 0 4418
1126 [아침 詩 한수] - 가벼운 농담 2016-02-25 0 4470
1125 민족시인들을 찾아서... 2016-02-25 0 5081
1124 詩作初心 - 詩의 출발은 사춘기, 고정관념 벗어나기 2016-02-24 0 4583
‹처음  이전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