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2월 2025 >>
      1
2345678
9101112131415
16171819202122
232425262728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文人 지구촌

"나는 단어를 찾는다" -폴란드 시인 쉼보르스카
2016년 03월 07일 22시 33분  조회:3804  추천:0  작성자: 죽림

노벨문학상 수상 소감 연설에서 비스와바 쉼보르스카는 이렇게 말했다.

“단어 하나하나가 모두 의미를 갖는 시어의 세계에서는
그 어느 것 하나도 평범하거나 일상적이지 않습니다.
그 어떤 바위도, 그리고 그 위를 유유히 흘러가는 그 어떤 구름도. 그 어떤 날도.
그리고 그 뒤에 찾아오는 그 어떤 밤도.
아니 그 누구의 것도 아닌 이 세상의 모든 존재도.
이것이야말로 시인들은 언제 어디서든 할 일이 많다는,
그런 의미가 아닐는지요.”

나는 단어를 찾는다.
비스와바 쉼보르스카(1923~2012),
그를 한마디로 표현할 단어를 찾는다.
어느 것도 충분하지 못하다.
가장 요긴한 말은 쓸데없고,
가장 뜨거운 말은 너무 미지근하다.

1945년 ‘나는 단어를 찾는다’로 데뷔한 폴란드 시인은 그 시에서 이렇게 노래했다.
“가장 용감한 말은 비겁하고/
가장 경멸적인 말은 여전히 성스럽다/
가장 잔인한 말은 너무나 동정적이고/
가장 적대적인 말은 너무나 약하다//
그 말은 화산 같아야 한다/
격동하고, 솟구치고, 힘차게 쏟아져 내려야 한다”.

노벨문학상(1996년) 수상 때 “모차르트의 음악같이 잘 다듬어진 구조에, 베토벤의 음악처럼 냉철한 사유 속에서 뜨겁게 폭발하는 그 무엇을 겸비했다”(스웨덴 한림원 노벨문학상 수상자 발표 연설문 중)는 찬사를 받자 “진정한 시인이라면 ‘나는 모르겠어’를 되풀이해야 한다”고 되뇌었던 시인의 유고시집 ‘충분하다’가 번역 출간됐다. 한국어판에는 생전 펴낸 마지막 시집 ‘여기’에 실린 시가 더해졌다.

쉼보르스카가 눈을 감기 전 완성한 시는 13편이다. 고민과 첨삭의 흔적이 고스란히 담긴 미완성 시 원고가 또 6편 있었다. 이를 합치고 동료이자 편집자인 리샤르드 크리니츠키의 편집후기를 붙인 ‘충분하다’가 나오자 폴란드 언론들은 ‘유고시집’ 대신 ‘신간시집’이라는 말로 그에게 애정을 표시했다.

‘충분하다’의 시어들은 초창기만큼이나 꾸밈없고 명징하다. 문장은 가볍고 투명한데도 묵직한 힘으로 존재의 본질을, 생의 이면을, 문명의 폐단을 떠올리게 한다.

“다른 곳은 어떤지 잘 모르겠어/
하지만 여기 지구에서는 모든 것이 꽤나 풍요로워/
여기서 사람들은 의자와 슬픔을 제조하지//
(…)여기서 무지(無知)는 과로로 뻗어버렸어.
끊임없이 뭔가를 계산하고, 비교하고, 측정하면서/
결론과 근본적 원리를 추출해내느라.”(‘여기’ 중)

일상을 읊다 불쑥 폭력, 전쟁 등의 테마를 눈 앞에 가져와 뇌를 식히는 문장도 여전하다. 1993년 ‘끝과 시작’이후 쉼보르스카가 이런 주제를 시 속에 언급한 일은 드물다고 한다. 그는 사슬에 묶인 채 무기력하게 누워 있는 개의 모습에서 인간을 향한 억압을, 거리에 남은 시위의 흔적을 보며 폴란드 사회의 현 주소를 본다.

“무더운 여름날, 개집, 그리고 사슬에 묶인 개 한 마리/
불과 몇 발자국 건너, 물이 가득 담긴 바가지가 놓여 있다/
하지만 사슬이 너무 짧아 도저히 닿질 못한다/
이 그림에 한 가지 항목을 덧붙여보자/
훨씬 더 길지만/
육안으로는 보기 힘든 우리의 사슬,
덕분에 우리는 자유롭게 서로를 지나칠 수 있다.”(‘사슬’전문)

‘두 번은 없다’며 유한성 앞에 겸허했던 그는 죽음 앞에서도 초연하고 담담하다.

“어쨌든 나는 돌아가야만 한다/
내 시의 유일한 자양분은 그리움/
그리워하려면 멀리 있어야 하므로” (미완성 원고 부분)
있는 힘을 다해 단어를, 문장을 갈구해 온 그가 택한 마지막 시어는 소소하지만 더할 나위 없이 충분했다.

김혜영기자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2283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1283 <봄> 시묶음 2016-03-31 0 4820
1282 <목련> 시묶음 2016-03-31 0 5968
1281 실험정신 없는 詩는 죄악 - 詩作 16가지 2016-03-31 0 5213
1280 [목련꽃 하얗게 피는 아침 詩 한송이] 2016-03-30 0 4833
1279 <매화> 시모음 2016-03-30 0 5734
1278 <개나리> 시모음 2016-03-30 0 6121
1277 <풀꽃> 시모음 2016-03-30 0 5020
1276 [머리 뗑한 詩공부]- 詩는 하찮은것에서 始作...詩作... 2016-03-30 0 4613
1275 "협동조합형" 詩잡지 나오다... 우리는???... 2016-03-29 0 4292
1274 봄맞이 선물 - 녀자 독자들이 사랑한 詩人 10인 2016-03-29 1 4550
1273 잊혀진 詩人과 그 詩人의 아들 2016-03-29 0 5078
1272 [詩공부시간]- 詩에서 빈자리 보기 2016-03-29 0 4748
1271 [화요일 아침 詩 한송이 드리꾸매]- 지옥에서 보낸 한 철 2016-03-29 0 4413
1270 [월요일 아침 새록새록 詩]- 양파 공동체 2016-03-28 0 4907
1269 [봄날의 아침 詩 두 잔 드이소잉]- 젖지않는 물/ 숟가락의 무게 2016-03-28 0 4836
1268 詩는 물과 거울과 달과 꽃과 더불어... 2016-03-28 0 5179
1267 낯설음의 詩 한묶음 2016-03-28 0 5025
1266 [詩공부]- 詩는 어디에서?... 2016-03-26 0 4338
1265 [봄비가 추적추적 오는 날 슬픈 詩 한수]- 병상록 2016-03-26 0 4389
1264 [詩공부시간]- 백마디의 말보다 한송이 장미가... 2016-03-26 0 4449
1263 땡!~ 제2의 '동주' 나올수 있을가... 남에 일 아니다... 2016-03-25 0 4334
1262 [꽃샘추위하는 날 따끈한 詩 한잔]- 자유 지역 2016-03-25 0 4132
1261 [詩作初心] - 詩는 노력가의 결과물 2016-03-25 0 4299
1260 [따뜻한 봄날 아침 따끈한 시 한잔] - 숲 2016-03-24 0 4364
1259 [詩공부시간]- 詩창작의 비법은 없다 2016-03-24 0 4944
1258 [신선한 詩 한잔 드이소잉]- 토르소 2016-03-23 0 4090
1257 [詩作初心]- 은유는 천재의 상징 2016-03-23 0 4892
1256 누에가 고치짓지 않으면 누에는 죽는다... 2016-03-23 0 4641
1255 한국 50년대, 60년대, 70년대, 80년대의 詩계렬 2016-03-22 0 5646
1254 ... 2016-03-22 0 4263
1253 ... 2016-03-22 0 4624
1252 ... 2016-03-22 0 4700
1251 ... 2016-03-22 0 4388
1250 ... 2016-03-22 0 4399
1249 [문학의 뿌리 알아보기]- 인도 문학 2016-03-22 0 4916
1248 [문학의 뿌리 알아보기]- 일본 / 몽고 문학 2016-03-22 0 5181
1247 [복습해보는 詩공부]- 시속의 은유 2016-03-22 0 4326
1246 [춘분절기와 詩]- 봄나물 다량 입하라기에 2016-03-21 0 4102
1245 [이 아침 신선한 詩 한잔 드시소잉]- 장춘(長春)- 긴 봄 2016-03-21 0 4460
1244 [월요일 아침 詩] - 물결 표시 2016-03-21 0 4948
‹처음  이전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