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7월 2025 >>
  12345
6789101112
13141516171819
20212223242526
2728293031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文人 지구촌

[동시야 놀자]- 쫑마리
2016년 03월 07일 21시 54분  조회:4054  추천:0  작성자: 죽림

원앙새 새끼들이 막 둥지를 떠나 물로 가려 하고 있다. 날이 새기 전 새벽녘, 뱀이랑 족제비가 일어나기 전에 온 식구가 얼른 느티나무 속 둥지에서 뛰어내려 냇물로 가야 한다.

한 마리, 두 마리, 세 마리…… 일곱 마리 새끼가 모두 뛰어내렸는데 막내 원앙이만 꾸물대고 오지 않는다. “싸기싸기 내려오니라.” 엄마 원앙이는 자꾸 꾸무럭거리면 떼놓고 간다고 막내에게 겁을 준다. “엄마두 인제 몰러. 오든지 말든지 맘대루 햐.” 엄마 원앙이가 기다리다 못해 최후통첩을 하고 언니 오빠들을 데리고 앞장서자 드디어 막내 원앙이도 풀쩍 뛰어내린다. “엄마 같이 가. 하냥 가자니께.” 하면서.

이소, 떠날 리(離) 둥지 소(巢). 보금자리를 뜻하는 소(巢) 글자는 나무 위에 둥지가 있고 그 위에 새가 세 마리 들어앉아 있는 모양새다. 송진권 시인의 ‘이소’는 새끼 원앙이들이 다 자라 둥지를 떠나는 순간을 아름답게 포착했다. 부모의 보호를 받으며 평화롭게 살던 둥지에서 넓은 세상으로 훌쩍 건너가는 순간이다. 막내를 재촉하는 엄마의 충청도 사투리가 맛깔스럽고, 원앙이들의 행렬이 한 폭의 그림처럼 머릿속에 그려진다.

때가 되면 사람도 둥지를 떠나 홀로 서기를 해야 하는데, 요즘 젊은이들은 둥지를 못 떠나고 맴돈다. 둥지에 머물기엔 너무 커버렸지만 둥지 밖에 알맞은 거처를 찾지 못했기 때문이다. 어쩔 수 없이 둥지를 나와서도 경계에서 장기간 대기 상태로 있으면서 기약 없는 시도만을 되풀이하는 청춘도 있다. 둥지를 떠나 자기 몫의 한 생을 지내고 나서 지친 몸을 쉬러 안온한 보금자리로 귀소(歸巢)하려 할 때도 막막해진다.

/김이구 문학평론가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2283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1363 [비는 처절히 처절히... 詩 한컷]- 극빈 2016-04-21 0 4458
1362 [詩는 詩의 코너]- 詩는 ㄱ ㅐ ㅃ ㅜㄹ ?! ... 2016-04-21 0 4537
1361 [신선한 아침 詩 한컷]- 오빠가 되고 싶다 2016-04-20 0 4543
1360 [아침 詩 한컷]- 디딤돌 2016-04-20 0 4129
1359 서울 지하철 詩가 덜컹거린다... 2016-04-19 0 4999
1358 [쌀쌀한 월요일 아침, 詩 한컷]- 숟가락 2016-04-18 0 4045
1357 詩와 음악, 음악과 詩 2016-04-17 0 4804
1356 [밤비가 찌저지는 한밤, 詩 한컷]- 얼마나 좋은지 2016-04-16 0 4118
1355 詩는 소리 있는 그림, 그림은 소리 없는 詩 2016-04-16 0 4060
1354 소멸과 존재와 돼지와 그리고 부처님과... 2016-04-16 0 4371
1353 [봄 봄 봄... 詩 한컷]- 오리 2016-04-16 0 4152
1352 詩의 진리, 詩人의 진실 2016-04-16 0 4424
1351 물과 삶과 그리고 詩와... 2016-04-16 0 4701
1350 [詩공부 미치광이]- 詩作에서 이미지 가져오기 2016-04-16 0 4315
1349 [같은 제목의 詩 한컷]- 아니오 2016-04-15 0 4102
1348 [해살 창창한 이 아침, 詩 한컷]- 아니오 2016-04-15 0 4537
1347 [눈발이 그물대는 새벽 詩 한컷]- 가위바위보 2016-04-15 0 4462
1346 [새벽에 올리는 詩 한컷]- 국경선의 도적들 2016-04-15 0 4835
1345 <돌> 시모음 2016-04-13 0 5099
1344 詩調는 민족의 얼, 슬기로운 가락 2016-04-13 1 5749
1343 [한밤중 비가 추적추적 오는 이때 詩 한수 드리매]- 고백 2016-04-13 0 4994
1342 시조는 정형을 벗어나지 말아야... 2016-04-13 0 4668
1341 고 정몽호시인 "시조논문" 찾아보다... /리임원 시집 2016-04-13 0 4950
1340 3章 6句 시조 창작법 (2) 2016-04-13 0 5301
1339 시조 창작법 1 2016-04-13 0 5874
1338 詩人이라면 시조 몇수라도... 2016-04-12 0 4823
1337 현대시의 뿌리는 시조 2016-04-12 0 5207
1336 詩作할 때 詩人은 신조어를 잘 만들기 2016-04-12 0 4883
1335 [배꽃이 꽃샘추위에 오돌오돌 떠는 아침 詩한수]-방파제 끝 2016-04-12 0 4869
1334 [출근전, 詩한컵 드이소]-둥근 우주 2016-04-11 0 4792
1333 [詩한컵]- 황복 2016-04-11 0 5022
1332 [월요일 아침, 詩한송이 드리매]- 푸른 곰팽이 2016-04-11 0 4465
1331 [꽃샘추위를 하는 아침, 詩한컵 드리매]- 사람과 집 2016-04-11 0 4674
1330 인도 시성 타고르와 최초 만난 한국인 청년 2016-04-10 0 7887
1329 [또 詩공부]- 詩습작품 자기 키만큼 쌓여져야... 2016-04-10 0 4958
1328 [앞집 할배 배나무에 약치는 날 詩 한갭]- 거미 2016-04-09 0 4676
1327 ... 2016-04-08 0 4856
1326 [또 詩공부]- 詩의 종류 2016-04-08 0 5709
1325 [또 詩공부]- 詩란 압축된 언어적 건축물 2016-04-08 0 6345
1324 [또 詩공부]- 詩는 많이 다듬어야... 2016-04-08 0 5762
‹처음  이전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