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2월 2025 >>
      1
2345678
9101112131415
16171819202122
232425262728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文人 지구촌

[동시야 놀자]- 쫑마리
2016년 03월 07일 21시 54분  조회:3840  추천:0  작성자: 죽림

원앙새 새끼들이 막 둥지를 떠나 물로 가려 하고 있다. 날이 새기 전 새벽녘, 뱀이랑 족제비가 일어나기 전에 온 식구가 얼른 느티나무 속 둥지에서 뛰어내려 냇물로 가야 한다.

한 마리, 두 마리, 세 마리…… 일곱 마리 새끼가 모두 뛰어내렸는데 막내 원앙이만 꾸물대고 오지 않는다. “싸기싸기 내려오니라.” 엄마 원앙이는 자꾸 꾸무럭거리면 떼놓고 간다고 막내에게 겁을 준다. “엄마두 인제 몰러. 오든지 말든지 맘대루 햐.” 엄마 원앙이가 기다리다 못해 최후통첩을 하고 언니 오빠들을 데리고 앞장서자 드디어 막내 원앙이도 풀쩍 뛰어내린다. “엄마 같이 가. 하냥 가자니께.” 하면서.

이소, 떠날 리(離) 둥지 소(巢). 보금자리를 뜻하는 소(巢) 글자는 나무 위에 둥지가 있고 그 위에 새가 세 마리 들어앉아 있는 모양새다. 송진권 시인의 ‘이소’는 새끼 원앙이들이 다 자라 둥지를 떠나는 순간을 아름답게 포착했다. 부모의 보호를 받으며 평화롭게 살던 둥지에서 넓은 세상으로 훌쩍 건너가는 순간이다. 막내를 재촉하는 엄마의 충청도 사투리가 맛깔스럽고, 원앙이들의 행렬이 한 폭의 그림처럼 머릿속에 그려진다.

때가 되면 사람도 둥지를 떠나 홀로 서기를 해야 하는데, 요즘 젊은이들은 둥지를 못 떠나고 맴돈다. 둥지에 머물기엔 너무 커버렸지만 둥지 밖에 알맞은 거처를 찾지 못했기 때문이다. 어쩔 수 없이 둥지를 나와서도 경계에서 장기간 대기 상태로 있으면서 기약 없는 시도만을 되풀이하는 청춘도 있다. 둥지를 떠나 자기 몫의 한 생을 지내고 나서 지친 몸을 쉬러 안온한 보금자리로 귀소(歸巢)하려 할 때도 막막해진다.

/김이구 문학평론가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2283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1283 <봄> 시묶음 2016-03-31 0 4821
1282 <목련> 시묶음 2016-03-31 0 5970
1281 실험정신 없는 詩는 죄악 - 詩作 16가지 2016-03-31 0 5217
1280 [목련꽃 하얗게 피는 아침 詩 한송이] 2016-03-30 0 4839
1279 <매화> 시모음 2016-03-30 0 5740
1278 <개나리> 시모음 2016-03-30 0 6124
1277 <풀꽃> 시모음 2016-03-30 0 5024
1276 [머리 뗑한 詩공부]- 詩는 하찮은것에서 始作...詩作... 2016-03-30 0 4616
1275 "협동조합형" 詩잡지 나오다... 우리는???... 2016-03-29 0 4292
1274 봄맞이 선물 - 녀자 독자들이 사랑한 詩人 10인 2016-03-29 1 4551
1273 잊혀진 詩人과 그 詩人의 아들 2016-03-29 0 5087
1272 [詩공부시간]- 詩에서 빈자리 보기 2016-03-29 0 4750
1271 [화요일 아침 詩 한송이 드리꾸매]- 지옥에서 보낸 한 철 2016-03-29 0 4416
1270 [월요일 아침 새록새록 詩]- 양파 공동체 2016-03-28 0 4912
1269 [봄날의 아침 詩 두 잔 드이소잉]- 젖지않는 물/ 숟가락의 무게 2016-03-28 0 4839
1268 詩는 물과 거울과 달과 꽃과 더불어... 2016-03-28 0 5183
1267 낯설음의 詩 한묶음 2016-03-28 0 5028
1266 [詩공부]- 詩는 어디에서?... 2016-03-26 0 4340
1265 [봄비가 추적추적 오는 날 슬픈 詩 한수]- 병상록 2016-03-26 0 4392
1264 [詩공부시간]- 백마디의 말보다 한송이 장미가... 2016-03-26 0 4451
1263 땡!~ 제2의 '동주' 나올수 있을가... 남에 일 아니다... 2016-03-25 0 4338
1262 [꽃샘추위하는 날 따끈한 詩 한잔]- 자유 지역 2016-03-25 0 4134
1261 [詩作初心] - 詩는 노력가의 결과물 2016-03-25 0 4301
1260 [따뜻한 봄날 아침 따끈한 시 한잔] - 숲 2016-03-24 0 4367
1259 [詩공부시간]- 詩창작의 비법은 없다 2016-03-24 0 4948
1258 [신선한 詩 한잔 드이소잉]- 토르소 2016-03-23 0 4094
1257 [詩作初心]- 은유는 천재의 상징 2016-03-23 0 4895
1256 누에가 고치짓지 않으면 누에는 죽는다... 2016-03-23 0 4644
1255 한국 50년대, 60년대, 70년대, 80년대의 詩계렬 2016-03-22 0 5650
1254 ... 2016-03-22 0 4268
1253 ... 2016-03-22 0 4628
1252 ... 2016-03-22 0 4702
1251 ... 2016-03-22 0 4393
1250 ... 2016-03-22 0 4403
1249 [문학의 뿌리 알아보기]- 인도 문학 2016-03-22 0 4920
1248 [문학의 뿌리 알아보기]- 일본 / 몽고 문학 2016-03-22 0 5189
1247 [복습해보는 詩공부]- 시속의 은유 2016-03-22 0 4327
1246 [춘분절기와 詩]- 봄나물 다량 입하라기에 2016-03-21 0 4108
1245 [이 아침 신선한 詩 한잔 드시소잉]- 장춘(長春)- 긴 봄 2016-03-21 0 4461
1244 [월요일 아침 詩] - 물결 표시 2016-03-21 0 4960
‹처음  이전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