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4월 2025 >>
  12345
6789101112
13141516171819
20212223242526
27282930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名詩 공화국

다시 대표작으로 보는 광복이전 시: 김동환 - 국경의 밤
2015년 12월 10일 21시 08분  조회:2608  추천:0  작성자: 죽림

   김동환 시비

위치 : 경북 김천시 대항면 김천문화공원

 

 

 

         산 너머 남촌에는

(1).산 너머 남촌에는 누가 살 길래

해마다 봄바람이 남으로 오네.

아~꽃피는 사월이면 진달래 향기

밀 익는 오월이면 보릿 내음새,

아~어느 것 한 가진들 실어 안 오리

남촌서 남풍 불제 나는 좋 데나.

 

(2).산 너머 남촌에는 누가 살 길래

저 하늘 저 빛깔이 저리 고울까.

아~금잔디 너른 벌엔 호랑나비 떼

버들 밭 실개천엔 종달새 노래,

아~어느 것 한가진들 들려 안 오리

남촌서 남풍 불제 나는 좋데 나.

~ ~ ~ ~

산 너머 남촌에는 누가 살 길래

해마다 봄바람이 남으로 오네.

아~꽃피는 사월이면 진달래 향기

밀 익는 오월이면 보릿 내음새,

아~어느 것 한 가진들 실어 안 오리

남촌서 남풍 불제 나는 좋 데나.

 

(3).산 너머 남촌에는 누가 살 길래

배나무 꽃 아래엔 누가 섰다기,

그리운 생각에 재에 오르니

구름에 가리어 아니 보이네.

끊었다 이어오는 가는 노래는

바람은 타고서 고이 들리네.

 

 

 김동환 (金東煥 1901∼?)단어장에 추가요약

시인. 호는 파인. 본관은 강릉. 설명

시인. 호는 파인(巴人). 본관은 강릉. 함경북도 경성(鏡城) 출생. 소설가 최정희(崔貞熙)의 부군(夫君). 서울 중동학교(中東學校)를 거쳐 일본 도요대학[東洋大學(동양대학)] 문과를 졸업하였다. 시 《적성(赤星)을 손가락질하며(1924)》로 추천받고 문단에 등장, 한국 최초의 서사시(敍事詩) 《국경의 밤》을 발표했다. 초기에는 신경향파에 속했으나 향토적이며 애국적인 감정을 바탕으로 민요적 색채가 짙은 서정시를 주로 썼다. 일제시대에 《삼천리(三干里)》지를 창간·주재한 것을 비롯해 1938년 순문예지 《삼천리문학(三千里文學)》을 발간하였다. 작품으로는 시 《신랑신부(1925)》 《쫓겨가는 무리(1925)》 《파업(罷業)》, 희곡 《바지저고리(1927)》 《자장가 부르는 여성(1927)》, 소설 《전쟁과 연애》 등을 발표했고, 수필집 《나의 반도산하(半島山河, 1941)》 《꽃피는 한반도(1952)》, 시집 《승천(昇天)하는 청춘(1925)》, 이광수(李光洙)·주요한(朱耀翰)과 합작한 《3인시가집(三人詩歌集, 1929)》 등이 있다. 6·25 때 납북되었고, 이후 평남일보교정원을 거쳐 1958년까지 재북(在北)평화통일위원회의 중앙위원으로 있었으나 현재는 생사가 불분명한 상태.

 

 



한국 최초의 근대 장편 서사시

국경의 밤

-김동환

 

제1부

< 1 > "아하, 무사히 건넜을까, 
이 한밤에 남편은 
두만강을 탈없이 건넜을까?
저리 국경 강안(江岸)을 경비하는
외투(外套) 쓴 검은 순사(巡査)가
왔다 - 갔다 -
오르명 내리명 분주히 하는데
발각도 안되고 무사히 건넜을까?"
소금실이 밀수출(密輸出) 마차를 띄워 놓고
밤새 가며 속태우는 젊은 아낙네,
물레 젓던 손도 맥이 풀려서
"파!"하고 붙는 어유(魚油) 등잔만 바라본다.
북국(北國)의 겨울 밤은 차차 깊어 가는데.

 

< 2 > 어디서 불시에 땅 밑으로 울려 나오는 듯,
"어어이!"하는 날카로운 소리 들린다.
저 서쪽으로 무엇이 오는 군호(軍號)라고
촌민(村民)들이 넋을 잃고 우두두 떨 적에,
처녀(處女)만은 잡히우는 남편의 소리라고
가슴 뜯으며 긴 한숨을 쉰다.
눈보라에 늦게 내리는
영림창(營林廠) 산재실이 벌부(筏夫) 떼 소리언만.

 

< 3 > 마지막 가는 병자(病者)의 부르짖음 같은
애처로운 바람 소리에 싸이어
어디서 "땅"하는 소리 밤하늘을 짼다.
뒤대어 요란한 발자취 소리에
백성들은 또 무슨 변(變)이 났다고 실색하여 숨죽일 때,
이 처녀(處女)만은 강도 채 못 건넌 채 얻어맞는 사내 일이라고
문비탈을 쓸어안고 흑흑 느껴 가며 운다.
겨울에도 한삼동(三冬), 별빛에 따라
고기잡이 얼음장 끊는 소리언만.

 

< 4 > 불이 보인다. 새빨간 불빛이
저리 강 건너
대안(對岸) 벌에서는 순경들의 파수막(把守幕)에서
옥서(玉黍)장 태우는 빠알간 불빛이 보인다.
까아맣게 타오르는 모닥불 속에
호주(胡酒)에 취한 순경들이
월월월, 이태백을 부르면서.

 

< 5 > 아하, 밤이 점점 어두워 간다.
국경의 밤이 저 혼자 시름없이 어두워 간다.
함박눈조차 다 내뿜은 맑은 하늘엔
별 두어 개 파래져
어미 잃은 소녀의 눈동자같이 깜박거리고,
눈보라 심한 강 벌에는
외아지 백양(白楊)이
혼자 서서 바람을 걷어 안고 춤을 춘다.
아지 부러지는 소리조차
이 처녀(處女)의 마음을 핫! 핫! 놀래 놓으면서.

 

((작품 해설))
"국경의 밤"은 전체 3부 72장으로 이루어져 있는 김동환의 장편 서사시이다. 국경 지대인 두만 강변의 작은 마을을 공간적 배경으로 하고 "현재-과거-현재"의 시간 구조를 채택하여, 밀수꾼 병남(丙南)과 그의 아내 순이, 그리고 순이의 첫사랑이었던 청년 사이에서 벌어지는 사건을 그리고 있다. 북국의 겨울밤이 주는 암울한 이미지를 통해 일제 식민 지배 아래에서 살아가는 우리 민족의 고통과 불안을 형상화했다는 점에 문학사적 의의가 있다.
일제 시대 많은 우리 백성들은 만주에 가서 살았다. 강제로 이주되어 간 사람도 있었고, 독립 투쟁을 하기 위해 간 사람도 있었다. 어느 경우든 돌아갈 수 없는 조국을 그리워하였다. 
이 작품은 바로 그러한 일제 강점기 우리 민족의 참담한 현실과, 쫓기는 자, 소외된 자의 비극적 좌절 체험을, 국경 지방 한겨울밤의 삼엄하고 음울한 분위기 속에서 극적인 상황 설정을 통해 제시하고 있는 것이다. 
다만 이 작품의 전편에는 순이, 병남, 청년(옛 애인) 간, 또는 순이와 상황간의 갈등이 순이의 내부에서 관념적, 낭만적으로만 일어나고 있어, 서사시로서의 특징인 영웅화나 생동감이 결여되어 있다. 그럼에도 이 작품의 제재나 주제가 개인 단위의 정서 표출에 있지 않고 민족사와 그 운명에 대해 치열한 관심을 보여, 1920년대 감상적(感傷的)인 서정의 세계와 획을 긋는다는 점은 특기할 만하다.

 

(느낌)
1장을 읽어보면 조국을 그리워하는 시. 이 시는 일제 강점기 우리 민족의 모습을 담고 있는 것, 한번 읽어 볼만한 좋은 시.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464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184 11월 시 모음 2015-02-19 1 4410
183 10월 시 모음 ㄹ 2015-02-19 1 3062
182 10월 시 모음 ㄷ 2015-02-19 0 3276
181 10월 시 모음 ㄴ 2015-02-19 0 2864
180 10월 시 모음 2015-02-19 0 2955
179 9월 시 모음 ㄷ 2015-02-19 0 2829
178 9월 시 모음 ㄴ 2015-02-19 0 2969
177 9월 시 모음 2015-02-19 0 2868
176 8월 시 모음 ㄷ 2015-02-19 0 2185
175 8월 시 모음 ㄴ 2015-02-19 0 2476
174 8월 시 모음 2015-02-19 0 2396
173 7월 시 모음 ㄴ 2015-02-19 0 2688
172 7월 시 모음 2015-02-19 0 3036
171 6월 시 모음 ㄹ 2015-02-19 0 2170
170 6월 시 모음 ㄷ 2015-02-19 0 3291
169 6월 시 모음 ㄴ 2015-02-19 0 2321
168 6월 시 모음 2015-02-19 0 3263
167 5월 시 모음 ㄷ 2015-02-19 0 2529
166 5월 시 모음 ㄴ 2015-02-19 0 2882
165 5월 시 모음 2015-02-19 0 2526
164 4월 시 모음 ㄹ 2015-02-19 0 2773
163 4월 시 모음 ㄷ 2015-02-19 0 3058
162 4월 시 모음 ㄴ 2015-02-19 1 2875
161 4월 시 모음 2015-02-19 1 2472
160 3월 시 모음 ㄹ 2015-02-19 0 3642
159 3월 시 모음 ㄷ 2015-02-19 1 2668
158 3월 시 모음 ㄴ 2015-02-19 0 2741
157 3월 시 모음 2015-02-19 2 3580
156 2월 시 모음 2015-02-19 0 2957
155 1월 시 모음 2015-02-19 0 2853
154 겨울 시 모음 2015-02-19 0 5274
153 가을 시 모음 2015-02-19 0 9527
152 여름 시 모음 2015-02-19 0 3160
151 봄 시 모음 2015-02-19 0 3039
150 단풍 시 모음 2015-02-19 1 3754
149 시; 당신의 뇌는 건강합니까 2015-02-18 0 2285
148 아방가르드詩 몇수 2015-02-18 0 2590
147 황지우 시모음 2015-02-17 0 2603
146 <詩 다시 보기 - 詩畵> - 중국 력사상 가장 유명한 시 2015-02-16 0 2790
145 인도 시성 - 타고르 2015-02-16 0 2669
‹처음  이전 3 4 5 6 7 8 9 10 11 12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