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4월 2025 >>
  12345
6789101112
13141516171819
20212223242526
27282930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文人 지구촌

시인 - 주성화
2015년 03월 12일 22시 24분  조회:5237  추천:0  작성자: 죽림


현재 한국 한림대 언론정보학 박사과정을 하고 있는 주성화 시인의 시집 <숲에 떨어지는 해와 빛을 잃어가는 무리 >가 한국학술정보출판사에서 출간되였다. 

   <무한히 고맙다. 햇빛의 은혜의 영원함을 의심할 바 없어 늘 감격에 사무친다. 지금쯤 생명은 또 한 마디 늘어나고 있을 거다. 푸른 잎새를 통하여 나는 하늘의 높이를 가늠하여 보며 내일 아침에 반짝일 눈물 같은 이슬을 그 하늘에 담아본다. 투명하고 또 세상의 생김새처럼 둥그런 아름다움의 조각이겠다. >고 말하고 있는 주성화 시인은 

  오랜 기자생활을 해온 사람으로서 그만의 독특한 통찰력으로 이 세상을 가슴에 담아두고 또한 거기에서 느낀 바를 철학적 깊이가 있는 시로 독자들에게 선물하는 시인이다. 

   주성화 시인은 또한 최근 <중국 조선인 이주사>를 출간하였다.



 
주성화 시인 ‘중국조선인 이주 사진첩’(1권) 출간
 
 
2009.
트위터 페이스북 미투데이 요즘 네이버 구글 msn
   
 
 
 
   
 
 
 

‘중국 연변역사학회’의 기획과 한국재외동포재단의 후원 하에 주성화 시인이 수집하고 편찬한 ‘중국조선인 이주 사진첩’(1권)이 지난 3월 중순에 한국학술정보(주)에서 출간하였다.

 

총 4권으로 기획된 ‘중국조선인 이주 사진첩’은 건국 전 중국조선족의 이주, 사회, 문화, 교육, 위생, 종교, 경제, 금융, 교통, 투쟁, 민속 등 각 분야를 포함하고 있어 역사분야뿐만 아니라 중국조선족 전반 사회 연구에 가치 높은 사료를 제공하게 될 것으로 확신하고 있다.

 

올해 10월 한국학술정보에서 제2권을 출판할 예정이다.

 

중국 연변대학 김병민 총장은 추천사에서 “19세기 60년대 조선북부 지방의 흉년을 계기로 조선인의 중국으로의 대량 이주가 시작되어 현재 중국조선족은 이미 150여년의 이주 역사를 갖고 있다”며, “지난 세기 20~40년대 사진은 지금처럼 생활 향수의 수단이 아니라 기념 적이고 기록적인 의의가 차분하였고 또 고달픈 생활난과 전쟁, 자연재해로 인한 잦은 이동, 그 후에는 갈피를 잡을 수 없는 정치연건 등 여러 요인으로 하여 오늘날 당시 사진의 발굴과 정리는 어려울 수밖에 없었다”고 지적하고 나서, 앞으로도 ‘중국조선인사진첩’이 “조상들의 진실한 삶의 기록을 통하여 후세에게 역사의식을 심어주고 새로운 삶의 가치를 재정립하고 역사에 대한 깊이 있는 연구를 바탕으로 중국조선족의 오늘과 미래에 대하여 발전방양을 제시하고 문화가 있는 민족으로 거듭나기 위한 사명감을 제시”하는 역할을 해줄 것을 당부하였다.

 

 

주성화 시인은 연변대학교 수학학부 졸업생으로, 한국 한림대학교 대학원 언론정보학 석사과정을 마치고, 동 대학원 박사과정 수료, 현재 인터넷 해란강닷컴 주필.

 

주성화 시인의 저서로는 ‘연변인구연구’, ‘연변인구통계자료집’, ‘연변조선족자치주지’인구편, ‘중국조선인 이주사’, ‘숲에 떨어지는 해와 빛을 잃은 무리’(시집), ‘중국문화풍경’ 등이 있다.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2283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1403 詩와 자연의 축복 2016-05-06 0 6319
1402 연변작가협회에서 회원들 작품집 출간 전력 2016-05-05 0 4464
1401 [한밤중 詩 읊다]- 詩 몇쪼가리 2016-05-05 0 4992
1400 정호승 - 별들은 따뜻하다 2016-05-01 0 5006
1399 강은교 - 우리가 물이 되어 2016-05-01 0 4960
1398 박인환 - 목마와 숙녀 2016-05-01 0 4419
1397 문정희 - 한계령을 위한 연가 2016-05-01 0 4814
1396 기형도 - 빈집 2016-05-01 0 4838
1395 박용래 - 저녁눈 2016-05-01 0 4875
1394 최승호 - 대설주의보 2016-05-01 0 5000
1393 노천명 - 사슴 2016-05-01 0 4718
1392 오규원 - 한잎의 여자 2016-05-01 0 5256
1391 곽재구 - 사평역에서 2016-05-01 0 5195
1390 서정주 - 동천 2016-05-01 0 4773
1389 김춘수 - 꽃 2016-05-01 0 4957
1388 황동규 - 즐거운 편지 2016-05-01 0 5121
1387 이성복 - 남해 금산 2016-05-01 0 4653
1386 김수영 - 풀 2016-05-01 0 4601
1385 박두진 - 해 2016-05-01 0 4493
1384 김삿갓 竹詩 2016-05-01 0 4285
1383 나래를 펴는 엉뚱한 상상 2016-05-01 0 4356
1382 詩作은 온몸으로 하는것... 2016-05-01 0 4198
1381 [밤중 詩를 읊다]- 詩 몇토리 2016-05-01 0 4840
1380 소월 시 음미해보기 2016-04-26 0 4962
1379 내 문학의 고향, 어머니의 詩心 2016-04-25 0 4366
1378 [출근족들 왁짝지껄 하는 이 시각, 詩 한컷]- 늦봄 2016-04-25 0 4531
1377 [詩 미치광이]- 메아리 2016-04-25 0 4154
1376 [기온차가 심한 아침, 詩 한컷]- 문신 2016-04-25 0 3814
1375 [詩로 여는 월요일 아침]- 아이의 질문에 답하기 2016-04-25 0 4341
1374 공룡아~ 발자국을 가져가거라... 2016-04-23 0 4206
1373 한 <단어>앞에 문득 멈춰서게 하는... 2016-04-23 0 3630
1372 흑과 백, 문밖과 문안 2016-04-23 0 3873
1371 [詩와 詩評으로 여는 토요일]- 봄 셔츠 2016-04-23 0 3740
1370 김수영 시인 대표작 시모음 2016-04-22 0 6651
1369 다시 떠올리는 전위시인 - 김수영 2016-04-22 0 4382
1368 [밤에 올리는 詩 한컷]- 아이가 무릎에 얼굴을 묻고 있다 2016-04-22 0 4473
1367 [詩로 여는 금요일]- 앞날 2016-04-22 0 3712
1366 [안개 푹 낀 아침, 詩놈팽이 한컷]- 명함 2016-04-22 0 4157
1365 자루는 뭘 담아도 슬픈 무게로 있다... 2016-04-21 0 4328
1364 詩는 쓰는것이 아니라 받는것 2016-04-21 0 4653
‹처음  이전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