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4월 2025 >>
  12345
6789101112
13141516171819
20212223242526
27282930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文人 지구촌

기형도 - 빈집
2016년 05월 01일 18시 55분  조회:4847  추천:0  작성자: 죽림

 

빈  집

 

기형도

 

 

사랑을 잃고 나는 쓰네 

잘 있거라, 짧았던 밤들아 

창밖을 떠돌던 겨울안개들아 

아무것도 모르던 촛불들아, 잘 있거라 

공포를 기다리던 흰 종이들아 

망설임을 대신하던 눈물들아 

잘 있거라, 더 이상 내 것이 아닌 열망들아 

장님처럼 나 이제 더듬거리며 문을 잠그네 

가엾은 내 사랑 빈집에 갇혔네 

<1989년>

▲ 일러스트 / 권신아
 
 

기형도(1962~1989) 시인의 마지막 시다. 1989년 봄호 문예지에서 이 시를 읽었는데 일주일 후에 그의 부음을 접했다. 이제 막 개화하려는 스물 아홉의 나이에, 삼류 심야극장의 후미진 객석에서 홀로 맞아야 했던 그의 죽음에 이 시가 없었다면 그의 죽음은 얼마나 어처구니없고 초라했을 것인가.

어릴 적부터 살던 집에서 이사를 계획하고 쓰여졌다는 후일담도 있지만 이 시는 사랑의 상실을 노래하고 있다. 사랑으로 인해 밤은 짧았고, 짧았던 밤 내내 겨울 안개처럼 창 밖을 떠돌기도 하고 촛불 아래 흰 종이를 펼쳐놓은 채 망설이고 망설였으리라. 그 사랑을 잃었을 때 그 모든 것들은 '더 이상 내 것이 아닌 열망'이 되었으리라. 실은 그 모든 것들이 사랑의 대상이었을 것이다. 

사랑을 떠나보낸 집은 집이 아니다. 빈집이고 빈 몸이고 빈 마음이다. 잠그는 방향이 모호하기는 하지만 '문을 잠근다'는 것은, '내 사랑'으로 지칭되는 소중한 것들을 가둔다는 것이고 그 행위는 스스로에 대한 잠금이자 감금일 것이다. 사랑의 열망이 떠나버린 '나'는 '빈집'에 다름 아니고 그 빈집이 관(棺)을 연상시키는 까닭이다. 삶에 대한 지독한 열망이 사랑이기에, 사랑의 상실은 죽음을 환기하게 되는 것일까.

'사랑을 잃고 나는 쓰네'라고 나직이 되뇌며 '더 이상 내 것이 아닌 열망들'을 하나씩 불러낸 후 그것들을 떠나보낼 때, 부름의 언어로 발설되었던 그 실연(失戀)의 언어는 시인의 너무 이른 죽음으로 실연(實演)되었던가. 죽기 일주일 전쯤 "나는 뇌졸중으로 죽을지도 몰라"라고 말했다던 그의 사인은 실제로 뇌졸중으로 추정되었다. "나의 영혼은 검은 페이지가 대부분"('오래된 서적')이라 했던 그가, 애써 "미안하지만 나는 이제 희망을 노래하련다"('정거장에서의 충고')라고 스스로를 다독이기도 했건만. 

그가 소설가 성석제와 듀엣으로 불렀던 팝송 'Perhaps Love'를 들은 적이 있다. 플라시도 도밍고의 맑은 고음이 그의 몫이었다. "Perhaps, love is like a resting place…"로 시작하던 화려하면서 청량했던 그의 목소리가 떠오른다. "나의 생은 미친 듯이 사랑을 찾아 헤매었으나/ 단 한번도 스스로를 사랑하지 않았노라"('질투는 나의 힘')라는 그의 독백도.[정끝별 시인]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2283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1403 詩와 자연의 축복 2016-05-06 0 6345
1402 연변작가협회에서 회원들 작품집 출간 전력 2016-05-05 0 4479
1401 [한밤중 詩 읊다]- 詩 몇쪼가리 2016-05-05 0 5020
1400 정호승 - 별들은 따뜻하다 2016-05-01 0 5021
1399 강은교 - 우리가 물이 되어 2016-05-01 0 5116
1398 박인환 - 목마와 숙녀 2016-05-01 0 4454
1397 문정희 - 한계령을 위한 연가 2016-05-01 0 4827
1396 기형도 - 빈집 2016-05-01 0 4847
1395 박용래 - 저녁눈 2016-05-01 0 4893
1394 최승호 - 대설주의보 2016-05-01 0 5031
1393 노천명 - 사슴 2016-05-01 0 4792
1392 오규원 - 한잎의 여자 2016-05-01 0 5274
1391 곽재구 - 사평역에서 2016-05-01 0 5214
1390 서정주 - 동천 2016-05-01 0 4858
1389 김춘수 - 꽃 2016-05-01 0 4976
1388 황동규 - 즐거운 편지 2016-05-01 0 5135
1387 이성복 - 남해 금산 2016-05-01 0 4688
1386 김수영 - 풀 2016-05-01 0 4617
1385 박두진 - 해 2016-05-01 0 4523
1384 김삿갓 竹詩 2016-05-01 0 4298
1383 나래를 펴는 엉뚱한 상상 2016-05-01 0 4377
1382 詩作은 온몸으로 하는것... 2016-05-01 0 4208
1381 [밤중 詩를 읊다]- 詩 몇토리 2016-05-01 0 4890
1380 소월 시 음미해보기 2016-04-26 0 5037
1379 내 문학의 고향, 어머니의 詩心 2016-04-25 0 4390
1378 [출근족들 왁짝지껄 하는 이 시각, 詩 한컷]- 늦봄 2016-04-25 0 4535
1377 [詩 미치광이]- 메아리 2016-04-25 0 4238
1376 [기온차가 심한 아침, 詩 한컷]- 문신 2016-04-25 0 3954
1375 [詩로 여는 월요일 아침]- 아이의 질문에 답하기 2016-04-25 0 4353
1374 공룡아~ 발자국을 가져가거라... 2016-04-23 0 4267
1373 한 <단어>앞에 문득 멈춰서게 하는... 2016-04-23 0 3678
1372 흑과 백, 문밖과 문안 2016-04-23 0 3885
1371 [詩와 詩評으로 여는 토요일]- 봄 셔츠 2016-04-23 0 3763
1370 김수영 시인 대표작 시모음 2016-04-22 0 6678
1369 다시 떠올리는 전위시인 - 김수영 2016-04-22 0 4420
1368 [밤에 올리는 詩 한컷]- 아이가 무릎에 얼굴을 묻고 있다 2016-04-22 0 4498
1367 [詩로 여는 금요일]- 앞날 2016-04-22 0 3740
1366 [안개 푹 낀 아침, 詩놈팽이 한컷]- 명함 2016-04-22 0 4184
1365 자루는 뭘 담아도 슬픈 무게로 있다... 2016-04-21 0 4385
1364 詩는 쓰는것이 아니라 받는것 2016-04-21 0 4681
‹처음  이전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