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4월 2025 >>
  12345
6789101112
13141516171819
20212223242526
27282930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文人 지구촌

시인 - 주성화
2015년 03월 12일 22시 24분  조회:5234  추천:0  작성자: 죽림


현재 한국 한림대 언론정보학 박사과정을 하고 있는 주성화 시인의 시집 <숲에 떨어지는 해와 빛을 잃어가는 무리 >가 한국학술정보출판사에서 출간되였다. 

   <무한히 고맙다. 햇빛의 은혜의 영원함을 의심할 바 없어 늘 감격에 사무친다. 지금쯤 생명은 또 한 마디 늘어나고 있을 거다. 푸른 잎새를 통하여 나는 하늘의 높이를 가늠하여 보며 내일 아침에 반짝일 눈물 같은 이슬을 그 하늘에 담아본다. 투명하고 또 세상의 생김새처럼 둥그런 아름다움의 조각이겠다. >고 말하고 있는 주성화 시인은 

  오랜 기자생활을 해온 사람으로서 그만의 독특한 통찰력으로 이 세상을 가슴에 담아두고 또한 거기에서 느낀 바를 철학적 깊이가 있는 시로 독자들에게 선물하는 시인이다. 

   주성화 시인은 또한 최근 <중국 조선인 이주사>를 출간하였다.



 
주성화 시인 ‘중국조선인 이주 사진첩’(1권) 출간
 
 
2009.
트위터 페이스북 미투데이 요즘 네이버 구글 msn
   
 
 
 
   
 
 
 

‘중국 연변역사학회’의 기획과 한국재외동포재단의 후원 하에 주성화 시인이 수집하고 편찬한 ‘중국조선인 이주 사진첩’(1권)이 지난 3월 중순에 한국학술정보(주)에서 출간하였다.

 

총 4권으로 기획된 ‘중국조선인 이주 사진첩’은 건국 전 중국조선족의 이주, 사회, 문화, 교육, 위생, 종교, 경제, 금융, 교통, 투쟁, 민속 등 각 분야를 포함하고 있어 역사분야뿐만 아니라 중국조선족 전반 사회 연구에 가치 높은 사료를 제공하게 될 것으로 확신하고 있다.

 

올해 10월 한국학술정보에서 제2권을 출판할 예정이다.

 

중국 연변대학 김병민 총장은 추천사에서 “19세기 60년대 조선북부 지방의 흉년을 계기로 조선인의 중국으로의 대량 이주가 시작되어 현재 중국조선족은 이미 150여년의 이주 역사를 갖고 있다”며, “지난 세기 20~40년대 사진은 지금처럼 생활 향수의 수단이 아니라 기념 적이고 기록적인 의의가 차분하였고 또 고달픈 생활난과 전쟁, 자연재해로 인한 잦은 이동, 그 후에는 갈피를 잡을 수 없는 정치연건 등 여러 요인으로 하여 오늘날 당시 사진의 발굴과 정리는 어려울 수밖에 없었다”고 지적하고 나서, 앞으로도 ‘중국조선인사진첩’이 “조상들의 진실한 삶의 기록을 통하여 후세에게 역사의식을 심어주고 새로운 삶의 가치를 재정립하고 역사에 대한 깊이 있는 연구를 바탕으로 중국조선족의 오늘과 미래에 대하여 발전방양을 제시하고 문화가 있는 민족으로 거듭나기 위한 사명감을 제시”하는 역할을 해줄 것을 당부하였다.

 

 

주성화 시인은 연변대학교 수학학부 졸업생으로, 한국 한림대학교 대학원 언론정보학 석사과정을 마치고, 동 대학원 박사과정 수료, 현재 인터넷 해란강닷컴 주필.

 

주성화 시인의 저서로는 ‘연변인구연구’, ‘연변인구통계자료집’, ‘연변조선족자치주지’인구편, ‘중국조선인 이주사’, ‘숲에 떨어지는 해와 빛을 잃은 무리’(시집), ‘중국문화풍경’ 등이 있다.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2283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1563 詩作을 할때 한쪽 다리를 들고 써라... 2016-07-28 0 4383
1562 詩속에 음악성을 듬뿍듬뿍 띄워야... 2016-07-27 0 4295
1561 흑룡강의 시혼과 함께...강효삼론/허인 2016-07-26 0 4258
1560 詩의 文脈은 山脈, 血脈 등과 간통해야 한다... 2016-07-26 0 4383
1559 보리피리 시인=파랑새 시인 2016-07-25 0 3914
1558 詩의 리론을 깨끗이 잊는것도 공부이다... 2016-07-25 0 4416
1557 詩의 언어는 암시성을 강하게 장치해야 한다... 2016-07-25 0 4593
1556 詩作은 도자기를 만드는것과 같다... 2016-07-23 0 4486
1555 詩作을 할때 詩적 은유를 많이 리용하라... 2016-07-21 0 4688
1554 詩란 진부한 표현을 말살하는 작업이다... 2016-07-20 0 4760
1553 詩란 內美之象적 언어를 뿜어내는 것... 2016-07-19 0 4576
1552 詩作은 그림을 그리는 것... 2016-07-18 0 4384
1551 詩란 의미전달목적과 론리설명언어표현도 아닌 정서적 울림! 2016-07-17 0 4443
1550 시어의 운률미/최균선//방순애시집평론/허인//김금용... 2016-07-15 0 4944
1549 詩란 전례를 타파하는것, 고로 쓰기가 힘든것... 2016-07-15 0 4469
1548 詩作은 풍부한 사유를 많이 하는 것... 2016-07-14 0 4527
1547 詩에 상상의 날개를 달아주자... 2016-07-14 0 4156
1546 詩란 나와의 싸움의 결과물이다... 2016-07-12 0 4378
1545 詩作는 날마다 숙제를 하듯 쓰는 습관을 가져야... 2016-07-11 5 4309
1544 詩는 예리한 눈에서 탄생한다... 2016-07-11 0 4286
1543 詩作은 많은 문학적 경험에서 나온다... 2016-07-11 0 4443
1542 詩란 언어와의 사랑이다... 2016-07-07 0 4385
1541 詩란 고정관념틀을 깨고 그속의 비밀, 맘의 눈으로 보기 2016-07-06 0 4738
1540 [재미있는 詩뒷이야기]-杜牧 唐代詩人의 詩 <淸明>과 련관되여 2016-07-05 0 5532
1539 詩는 제천의식(祭天儀式)에서 유래 2016-07-05 0 3908
1538 李相和와 李陸史 2016-07-04 0 4948
1537 詩는 문학의 정점, 곧 시작과 끝... 2016-07-04 0 4489
1536 名詩들 앞에 선 초라하고 불쌍한 자아의 詩여!!! 2016-07-02 0 3927
1535 詩란 유산균이 풍부한 잘 곰삭은 맛깔스러운 국물! 2016-07-01 0 4601
1534 詩는 안이 밖이 되고 밖이 안이 되는 것... 2016-06-30 0 4327
1533 가짜 詩人과 진짜 詩人 2016-06-29 0 3974
1532 [생각하는 詩 여러 컷] - 탁발 / 소금 ... ... 2016-06-27 0 4739
1531 사람과 사람 사이에 섬이 없다? 있다!... 2016-06-27 0 4471
1530 <조문(弔問)과 죽음 묵상> 시모음 2016-06-26 0 4377
1529 詩적 상상력을 키워야... 2016-06-25 0 5122
1528 詩作은 금기를 풀고 틀을 깨는것... 2016-06-25 0 4961
1527 詩는 時와 空을 초월해야... 2016-06-23 0 5469
1526 詩는 광고정보 전달 수단이 아니다... 2016-06-23 0 4697
1525 [장마전, 한무더운 아침 詩 둬컷] - 밥 / 산경 2016-06-23 0 4266
1524 詩란 천장을 뚫고 하늘의 높이를 재보는것... 2016-06-21 0 4797
‹처음  이전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