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블로그 -> 취미
나의카테고리 : 즐겨읽는 글
토지의 위치와 건물의 용도에 따라서 균형을 이뤄야 하며 외형은 단정하고 보기에도 부담이 없어야 좋다는 것이다.
막연히 미신 같은 느낌도 들지만 풍수에서는 자연적으로 형성된 산도 생긴 모양에 따라서 길흉을 가리고 따진다.
물이 흐르듯 너울진 산을 수산(水山), 하나의 정점을 갖고 솟은 산을 나무와 같다하여 목산(木山), 산이 뾰족뾰족한 것은 불같은 형상이라 하여 화산(火山), 정상이 평평하고 후덕한 산은 토산(土山), 정상이 둥근 형은 금산(金山)등 풍수에서는 모양에 따라서 오행(五行)으로 구분한다.
오행으로 구분한 산은 오성(五星)이라고 하고 각각의 모양이 수려하고 광채가 나면 청(淸)이라고 하여 길상으로 보았고, 살이 찌고 중후하면 탁(濁)이라 하여 길, 흉이 다르게 나타난다고 하며, 산모양이 추악하고 거칠면 흉(凶)이라 하여 풍수에서 피했던 것이다.
이렇게 구분한 것은 산의 모양에 따라 성격이 각기 다르게 나타나기에 풍수에서 외형적인 형상을 중히 여겨 길흉화복을 가렸던 것이다.
이것은 인간이 환경의 지배를 받는다는 것과 같은 것으로 사람이 살아가면서 알게 모르게 보고 지내는 산의 형상에 따라서 성격이 형성된다는 것을 경험적으로 알았던 것이다.
이와 같이 자신이 처해진 환경에 따라서 성격 등이 영향을 받는다는 것은 당연한 것이며 이러한 논리는 심리학적으로 보아도 틀리지 않는 것이다.
건축법에는 토지에 건물을 지을 수 있는 건폐율과 최대한 건평을 지을 수 있는 용적률이 있다.
또한 도로의 폭이나 방향에 따라서 도로 사선 제한과 일조권 제한이 있다.
요즘 건축물은 주거용이건 상업용이건 기본이 수천 평에서 수 만평 규모로 대규모 건축물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
비싼 토지를 최대로 활용하기 위해서 당연한 결과로 건축법에 위배되지 않는 한도에서 토지에 지을 수 있는 최대한도의 용적률을 확보하기 위해서 일조권 도로, 사선 제한을 피해 가며 최대의 용적률을 확보하기 위해 건물을 짓고 있다 .
이러다 보니 어느 건물은 층층 계단식으로 짓기도 하고 칼로 무를 자른 듯 삼각형이나 마름모꼴 등 다양한 모양의 건물도 보인다.
도시에서 이러한 형상의 건물이 의외로 많은 것을 볼 수 있다. 단순히 수익적인 면만을 보고 지은 건물이다. 사람도 외부로 나타나는 인상을 보고 선악과 빈부의 정도를 80~90%이상 판단하는 것과 같이 건물도 외형에 따라서 길상, 흉상이 정해지는 것이다.
물론 최대한도의 건평을 지으면 임대 시 수익이 많이 발생하여 수지 타산이 좋을 수도 있지만, 미관상 좋지도 않을 뿐 아니라 모난 형상의 기운이 거주자에 악영향을 주며 주변의 환경에도 피해를 주는 것이다.
그렇기에 풍수에서 산을 도심에서는 건물로 보기에 건축물을 지을 때 설계에서부터 신중을 기해야 한다.
단순히 외형적인 모양만을 내는 것이 아니라 주변과 조화를 이루며 무리 없이 설계되어 거주자나 외부인에게 편안한 느낌을 주며 결함 없이 지어져야 한다.
이와 같이 풍수에서 건축물의 외형을 중시하는 것은 풍수론을 떠나 모나지 않고 편안한 건축물이 좋다는 것은 상당한 설득력이 있다.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