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2월 2025 >>
      1
2345678
9101112131415
16171819202122
232425262728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詩人 대학교

토템시/ 범= 남영전, 해설= 현춘산(8)
2020년 10월 10일 22시 34분  조회:3004  추천:0  작성자: 죽림
8. 범, 불선과 사악을 증오하는 산신령
2020년 09월 15일 /현춘산
“호랑이 담배 피우던 시절에…”
 
어린 시절 우리가 어른들에게서 늘 듣던 옛말의 첫마디이다. 그 '호랑이 담배 피우던 시절'이란 아주 까마득하게 흘러간 옛날, 즉 고대를 가리키는 말이다.
 
기원전 2333년, 지금으로부터 약 4,300여년 전에 범 한마리가 곰 한마리와 한굴에서 살면서 사람되기를 소원했다는 이야기가 단군신화에 있다. 그가 비록 참을성이 부족하여 금기를 지키지 못했지만 사람이 되려고 마음 먹었댔다는 전설로 보아 조상들의 관념세계에서 범은 사나운 야수이면서도 인간과 얼마든지 공존할 수 있는 동물이였다. 단군신화에서 곰과 한굴에 살면서 사람되기를 소원했던 범은 곰과 한가족이였다. 한가족이였기에 당연히 가족식구를 수호하기 마련으로 범은 웅녀가 낳은 단군 왕검(王俭)과 왕씨의 수호신토템이였다.
 
단군 왕검의 후손이며 고려태조의 5대 선조인 호경(虎景)이 길을 가다가 날이 저물어 여럿이 함께 동굴에서 쉬는데 범이 와서 “따웅-”하고 울부짖으며 굴 앞에 버티고 서서 가지 않았다. 아무래도 한사람이 범의 밥이 되여야 여럿이 무사하리라 여긴 일행은 일제히 머리에 썼던 관(冠)을 벗어 범의 앞으로 내던지되 범이 무는 관의 임자가 여럿을 위해 죽기로 했다. 관들을 던지자 범이 호경의 관을 제꺽 물었다. 호경이 죽음을 각오하고 밖으로 나오자 어느덧 범은 사라지고 뒤에서 동굴이 무너지는 요란한 소리가 났다. 결국 밖으로 나온 호경만 살아남았던 것이다. 범이 단군 왕검과 왕씨의 수호신토템이였기에 호경의 관을 무는 방식으로 왕씨의 후손을 보호한 것이였다.
 
후백제의 견훤(甄萱)을 아기 적에 부모들이 일밭에 나가며 나무 밑에 뉘여놓았는데 범이 와서 젖을 먹여주었다는 전설도 있다. 범은 리씨(李氏)의 토템이였다. 리씨 성은 구려(九黎)민족의 하나의 족칭(族)인데 고요(고陶€-소호의 후손으로 순임금 때의 법관)가 리씨 성의 시조(始祖)이며 려(黎)란 바로 범을 가리킨다. 리씨의 토템은 호(虎), 목(木), 자(子)로 구성되였는데 호(虎)는 고요의 시조 소호(少昊)씨를 대표하고 목(木)은 고요 현조족(玄鸟族)의 토템을 대표하고 자(子)는 제비알을 가리키는데 후손을 상징한다. 견훤은 원래 리씨의 후손이였으므로 범토템의 보호를 받은 것이다.
 
우리 민족의 범 숭배는 산악(山岳)숭배와 밀접하게 련관되여 있다. 《산해경》(山海经)에 묘사되여 있다싶이 고대 동이족(东夷族)의 생존환경은 흔히 산악지대와 산림이였다. 그처럼 첩첩 뭇산과 거치른 원시림은 고대인류의 생존환경이였을 뿐만 아니라 동물의 왕국이였다. 그 동물의 왕국에서 범은 뭇짐승들의 왕이였다. 범처럼 사납고 완강한 짐승이 아니고서는 험악한 생존환경에서 끄떡없이 살아나갈 수 없었을 것이다. 자연계에서 벗어나기 전의 고대인류와 우리 조상들의 시각에 범은 상설같은 위엄과 굴함없는 투지와 완강한 생명력의 신으로 우러러 보였고 또한 병귀(病鬼)나 사귀(邪鬼)를 물리치는 힘이 있다고 믿었다. 범그림이나 단오에 궁중에서 나누어주었다는 쑥으로 만든 범에서도 이 같은 뜻을 알 수 있다. 그래서 그를 인류의 고향과 서식처인 산악과 더불어 숭배하게 되였고 산의 신령으로 모시기 시작했던 것이다.
 
남영전시인은 우리 민족의 범 관련 신화와 범숭배에 근거하여 토템시 ‘범’을 창작해냈다. 시인은 토템으로서의 범의 선명한 형상과 고귀한 품질을 표현하고 있다.
 
“불의가 얄미워/불선이 얄미워/혼탁과 우매 꼴 사나와/따웅 포효”하는 범은 고대인의 의협심과 정의의 상징으로 나타난다.
 
“설사 폭풍우에 뼈와 살 썩는다 하더라도/뼈는 굽히지 않고/위풍은 삭지 않고/예기는 죽지 않는다//”시인은 범의 불요불굴의 의력과 불의와 사악에 맞서 싸우는 당당한 모습을 통하여 력사적 풍운을 헤쳐온 정의롭고 용감한 민족의 형상을 표현하였다.
 
범의 토템이미지는 산을 지키는 산의 신령으로서 불굴의 투지와 완강한 의력으로 고향을 지켜온 우리 겨레 영웅들의 상징이다.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1570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770 하늘은 시간의 진리가 투사되는 진실의 장소이다... 2017-10-10 0 2537
769 "시계초침이 거꾸로 돌고 돈다"... 2017-10-09 0 2431
768 시창작에서나 시감상에서나 모두 고정관념 틀을 깨버리는것 2017-10-09 0 2395
767 시인은 시를 천연덕스럽게 표현할줄 알아야... 2017-10-09 0 3305
766 난해함을 극복하는 가장 좋은 방법은 익숙해지기... 2017-10-09 0 3555
765 대추 한알속에 태풍 몇개, 천둥 몇개, 벼락 몇개... 2017-10-09 0 3797
764 "시계들이 날개를 활짝 펴고 0시의 바깥세계로 날아간다"... 2017-10-09 0 2138
763 "우리 한글이야말로 시를 위한 최적의 언어입니다"... 2017-10-09 0 2334
762 "글자들이 권총을 쏜다"... 2017-10-09 0 2414
761 문학은 국경과 언어의 장벽을 넘어서 인간성을 써라... 2017-10-07 0 2458
760 올해 노벨문학상 주인 나타나다... 2017-10-07 0 2241
759 고향에서 들었던 소리가 음악을 낳다... 2017-10-06 0 2157
758 [고향문단소식] - 룡정엔 문사 - 송몽규 고택과 유택이 있다... 2017-10-02 0 2208
757 윤동주 = "병원" = "하늘과 바람과 별과 詩" 2017-10-01 0 2738
756 불멸의 시인 - 윤동주와 불멸의 문사 - 송몽규의 판결문 2017-09-30 0 2917
755 윤동주네 기숙사에는 "팔도 사투리"가 욱실욱실하였다... 2017-09-30 0 2149
754 불멸의 문사 - 송몽규를 재다시 알아보기... 2017-09-30 0 3319
753 일본 포스트모던 시인 - 테라야마 슈우시 2017-09-27 0 2005
752 [이런저런] -마광수님, 인젠 님과의 인터뷰를 지옥에가 할가ㅠ 2017-09-26 0 2339
751 글을 개성적으로 쉽게 쓰는데 목표를 두고 열심히 습작하기... 2017-09-26 0 2147
750 마광수님의 "윤동주연구" = 한국 최초 "윤동주 시 장편논문" 2017-09-26 0 2097
749 동시를 "하이퍼"로 써도 됨둥... 아니 됨둥(ㄹ)... 2017-09-24 0 2164
748 "무슨 귀신 씨나락 까먹는 소리냐고요"?!... 2017-09-22 0 2081
747 "나는 가끔 주머니를 어머니로 읽는다"... 2017-09-22 0 1970
746 러시아 시인 - 네크라소프 2017-09-22 0 3582
745 마광수님, "창조적 불복종"때문에 저세상 길 택했을가... 2017-09-21 0 2249
744 마광수님, 력사앞에서 님의 "문단유사" 알아보기 2017-09-21 0 2407
743 마광수님, 오늘도 이 시지기-죽림은 님땜에 잠을 설칩니다... 2017-09-21 0 2104
742 "시계란 시계는 다 오후 다섯시였다"... 2017-09-20 0 2052
741 동시를 "하이퍼"로 써도 됨둥... 아니 됨둥(ㄷ)... 2017-09-19 0 2311
740 마광수님, 사라는 "사라"땜에 님께서 등천길 가신걸 알가ㅠ... 2017-09-19 0 2562
739 시가 언어이지만 시인은 그 언어의 장벽을 넘어설줄 알아야... 2017-09-19 0 2646
738 시는 메마르고 거친 세상을 뛰여넘는 행위예술이다.. 2017-09-19 0 2030
737 음유시인은 그 누구도 길들일수 없는 짐승이며 악마라고?!... 2017-09-17 0 2088
736 프랑스 음유시인 - 조르주 무스타키 2017-09-17 0 2111
735 반전을 노래한 음유시인- '밥 딜런' 대표곡 2017-09-17 0 3258
734 [시문학소사전] - "음유시가"란?... 2017-09-17 0 3416
733 섬과 파도 2017-09-17 0 2103
732 미국 시인, 환경운동가 - 게리 스나이더 2017-09-17 0 2472
731 시를 쓰는데는 음악과 그림이 아주 많이 도움이 된다... 2017-09-16 0 2011
‹처음  이전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