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2월 2025 >>
      1
2345678
9101112131415
16171819202122
232425262728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詩人 대학교

토템시/ 범= 남영전, 해설= 현춘산(8)
2020년 10월 10일 22시 34분  조회:3010  추천:0  작성자: 죽림
8. 범, 불선과 사악을 증오하는 산신령
2020년 09월 15일 /현춘산
“호랑이 담배 피우던 시절에…”
 
어린 시절 우리가 어른들에게서 늘 듣던 옛말의 첫마디이다. 그 '호랑이 담배 피우던 시절'이란 아주 까마득하게 흘러간 옛날, 즉 고대를 가리키는 말이다.
 
기원전 2333년, 지금으로부터 약 4,300여년 전에 범 한마리가 곰 한마리와 한굴에서 살면서 사람되기를 소원했다는 이야기가 단군신화에 있다. 그가 비록 참을성이 부족하여 금기를 지키지 못했지만 사람이 되려고 마음 먹었댔다는 전설로 보아 조상들의 관념세계에서 범은 사나운 야수이면서도 인간과 얼마든지 공존할 수 있는 동물이였다. 단군신화에서 곰과 한굴에 살면서 사람되기를 소원했던 범은 곰과 한가족이였다. 한가족이였기에 당연히 가족식구를 수호하기 마련으로 범은 웅녀가 낳은 단군 왕검(王俭)과 왕씨의 수호신토템이였다.
 
단군 왕검의 후손이며 고려태조의 5대 선조인 호경(虎景)이 길을 가다가 날이 저물어 여럿이 함께 동굴에서 쉬는데 범이 와서 “따웅-”하고 울부짖으며 굴 앞에 버티고 서서 가지 않았다. 아무래도 한사람이 범의 밥이 되여야 여럿이 무사하리라 여긴 일행은 일제히 머리에 썼던 관(冠)을 벗어 범의 앞으로 내던지되 범이 무는 관의 임자가 여럿을 위해 죽기로 했다. 관들을 던지자 범이 호경의 관을 제꺽 물었다. 호경이 죽음을 각오하고 밖으로 나오자 어느덧 범은 사라지고 뒤에서 동굴이 무너지는 요란한 소리가 났다. 결국 밖으로 나온 호경만 살아남았던 것이다. 범이 단군 왕검과 왕씨의 수호신토템이였기에 호경의 관을 무는 방식으로 왕씨의 후손을 보호한 것이였다.
 
후백제의 견훤(甄萱)을 아기 적에 부모들이 일밭에 나가며 나무 밑에 뉘여놓았는데 범이 와서 젖을 먹여주었다는 전설도 있다. 범은 리씨(李氏)의 토템이였다. 리씨 성은 구려(九黎)민족의 하나의 족칭(族)인데 고요(고陶€-소호의 후손으로 순임금 때의 법관)가 리씨 성의 시조(始祖)이며 려(黎)란 바로 범을 가리킨다. 리씨의 토템은 호(虎), 목(木), 자(子)로 구성되였는데 호(虎)는 고요의 시조 소호(少昊)씨를 대표하고 목(木)은 고요 현조족(玄鸟族)의 토템을 대표하고 자(子)는 제비알을 가리키는데 후손을 상징한다. 견훤은 원래 리씨의 후손이였으므로 범토템의 보호를 받은 것이다.
 
우리 민족의 범 숭배는 산악(山岳)숭배와 밀접하게 련관되여 있다. 《산해경》(山海经)에 묘사되여 있다싶이 고대 동이족(东夷族)의 생존환경은 흔히 산악지대와 산림이였다. 그처럼 첩첩 뭇산과 거치른 원시림은 고대인류의 생존환경이였을 뿐만 아니라 동물의 왕국이였다. 그 동물의 왕국에서 범은 뭇짐승들의 왕이였다. 범처럼 사납고 완강한 짐승이 아니고서는 험악한 생존환경에서 끄떡없이 살아나갈 수 없었을 것이다. 자연계에서 벗어나기 전의 고대인류와 우리 조상들의 시각에 범은 상설같은 위엄과 굴함없는 투지와 완강한 생명력의 신으로 우러러 보였고 또한 병귀(病鬼)나 사귀(邪鬼)를 물리치는 힘이 있다고 믿었다. 범그림이나 단오에 궁중에서 나누어주었다는 쑥으로 만든 범에서도 이 같은 뜻을 알 수 있다. 그래서 그를 인류의 고향과 서식처인 산악과 더불어 숭배하게 되였고 산의 신령으로 모시기 시작했던 것이다.
 
남영전시인은 우리 민족의 범 관련 신화와 범숭배에 근거하여 토템시 ‘범’을 창작해냈다. 시인은 토템으로서의 범의 선명한 형상과 고귀한 품질을 표현하고 있다.
 
“불의가 얄미워/불선이 얄미워/혼탁과 우매 꼴 사나와/따웅 포효”하는 범은 고대인의 의협심과 정의의 상징으로 나타난다.
 
“설사 폭풍우에 뼈와 살 썩는다 하더라도/뼈는 굽히지 않고/위풍은 삭지 않고/예기는 죽지 않는다//”시인은 범의 불요불굴의 의력과 불의와 사악에 맞서 싸우는 당당한 모습을 통하여 력사적 풍운을 헤쳐온 정의롭고 용감한 민족의 형상을 표현하였다.
 
범의 토템이미지는 산을 지키는 산의 신령으로서 불굴의 투지와 완강한 의력으로 고향을 지켜온 우리 겨레 영웅들의 상징이다.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1570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610 첫사랑아, 첫사랑아, 나에게 돌려다오... 2017-07-24 0 2402
609 시의 첫머리는 독자와 만나는 첫번째 고비이다... 2017-07-24 0 2060
608 장마야, 우리들은 널 싫어해... 2017-07-24 0 2230
607 "시인이 되면 돈푼깨나 들어오우"... 2017-07-24 0 2034
606 백합아, 나와 놀쟈... 2017-07-24 0 2285
605 "해안선을 잡아넣고" 매운탕 끓려라... 2017-07-24 0 2154
604 "언제나 그리운 사람이 있다는것은"... 2017-07-24 0 1955
603 시창작에서 가장 중요한 창조성의 요인은 바로 상상력이다... 2017-07-24 0 2504
602 동물들아, "시의 정원"에서 너희들 맘대로 뛰여 놀아라... 2017-07-24 0 2889
601 시인은 불확실한 세계의 창을 치렬한 사유로 닦아야... 2017-07-24 0 2163
600 초여름아, 너도 더우면 그늘 찾아라... 2017-07-24 0 2245
599 "내가 죽으면 한개 바위가 되리라"... 2017-07-24 0 2832
598 련꽃아, 물과 물고기와 진흙과 함께 놀아보쟈... 2017-07-24 0 2494
597 현대시야, 정말로 정말로 같이 놀아나보쟈... 2017-07-24 0 2265
596 선물아, 네나 "선물꾸러미"를 받아라... 2017-07-24 0 2600
595 "그립다 말을 할까 하니 그리워"... 2017-07-24 0 2267
594 채송화야, 나와 놀쟈... 2017-07-24 0 3784
593 시의 초보자들은 문학적인것과 비문학적것을 혼동하지 말기... 2017-07-24 0 2291
592 찔레꽃아, 나와 놀쟈... 2017-07-24 0 2565
591 상상력의 무늬들은 새로운 세계와 세상의 풍경을 만든다... 2017-07-24 0 2176
590 커피야, 너를 마시면 이 시지기-죽림은 밤잠 못잔단다... 2017-07-24 0 2695
589 시는 언어로 그린 그림이다... 2017-07-24 0 2502
588 담쟁이야, 네 맘대로 담장을 넘어라... 2017-07-24 0 2466
587 시인은 사막에서 려행하는 한마리 락타를 닮은 탐험가이다... 2017-07-24 0 2270
586 꽃들에게 꽃대궐 차려주쟈... 2017-07-24 0 2450
585 무의식적 이미지는 눈부신 은유의 창고이다... 2017-07-24 0 2599
584 유채꽃아, 나와 놀쟈... 2017-07-24 0 2149
583 음유시는 문자와 멜로디와의 두개 세계를 아우르는 시이다... 2017-07-24 0 2290
582 풀꽃들아, 너희들도 너희들 세상을 찾아라... 2017-07-24 0 2266
581 시인은 은유적, 환유적 수사법으로 시적 세계를 보아야... 2017-07-24 0 2543
580 풀들아, 너희들 세상이야... 2017-07-24 0 2561
579 시인은 날(生)이미지를 자유롭게 다룰 줄 알아야... 2017-07-24 0 2206
578 봄아, 봄아, "봄꽃바구니" 한트럭 보내 줄게... 2017-07-24 0 2589
577 시인은 그림자의 소리를 들을줄 알아야... 2017-07-24 0 2294
576 금낭화야, 나와 놀쟈... 2017-07-24 0 2075
575 시인은 절대 관념이나 정서의 노예가 아니다... 2017-07-24 0 2345
574 춘향아, 도련님 오셨다... 2017-07-24 0 2618
573 좋은 시는 그 구조가 역시 탄탄하다... 2017-07-24 0 2171
572 아카시아야, 나와 놀쟈... 2017-07-24 0 2476
571 시를 쓰는것은 하나의 고행적인 수행이다... 2017-07-24 0 2307
‹처음  이전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