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4월 2025 >>
  12345
6789101112
13141516171819
20212223242526
27282930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詩人 대학교

[그것이 알고싶다] - 중국 고대 道學 - 정자
2019년 11월 20일 22시 04분  조회:2695  추천:0  작성자: 죽림

철학사전

정자

 

 ]

출생 - 사망 미상 ~ 미상
직업 철학자
분야 유교
국적 중국
시대 송나라
관련인물 주염계

중국 송나라의 정명도(, 1032~1085)와 정이천(, 1033~1107) 두 형제를 말하며 이()정자라고도 한다. 모두 유교철학자. 주염계()에게서 배우고 '이'()를 최고의 범주로 삼아 도학()을 체계화하고 발전시켰다. 그들은 하늘()을 ()라고 하여 달이 냇물에 그 모습이 비치듯이 천하 만물은 이 유일하고 절대인 이()를 구현하고 있는 것이고, 천리()가 일정한 목적 하에 우주의 질서를 세운다고 하는 목적론적 세계관을 수립하였다. '부자ㆍ군신'도 '천하의 정리'()이기에 어느 누구도 이 관계로부터 벗어날 수 없다고 하여 불교의 출세간()주의를 비판하고 현실의 봉건적 신분질서를 절대화 시켰다.

그러나 이 두 사람은 그 사상, 성격에 차이점이 있다. 명도는 천지의 움직임을 '역'()에 기초하여 '생생'()이라고 보고, 만물(사물도 인간도 모두)은 모두 천지의 생의()를 받은 '일체'라고 생각하였으며, 천지생생의 을 '인'()이라고 하여 '만물 일체의 인'이란 관념을 수립하였다.

이것은 ()에 대한 새로운 해석으로서 후세에 큰 영향을 미쳤다. 인이 만물일체=물아()일체로 되고, 범위를 확장시켜 종래엔 인()과 병렬되어 있던 의ㆍ예ㆍ지ㆍ신()도 모두 인()으로 되어, 인()은 덕()의 근본이고 의ㆍ예ㆍ지ㆍ신은 그 한정으로서 오상()이 구조적으로 해석되어 왔으며, 이것은 주자학으로 완성되었다.

이리하여 인은 학자가 제1로 삼아야 할 것이며, 그 실현은 인의 규정에 따라서 천지 만물 만민의 생의를 직접 공감하는 체인()에 의해서 가능하다. 이와 같이 명도의 사상은 직관, 체인을 특징으로 한 데 비하여, 아우인 이천은 분석적, 사변적 태도와 엄격한 도덕주의를 본령으로 하였다.

이천은 '역'()의 '일음일양'() 즉 '도'()라는 명제에 대하여 음양은 ()로 형이하학적인 것이고 는 음양의 '이유'()로서 형이상학적인 것으로, 양자를 차원을 달리하는 것으로 보았다. 윤리설에서는 '성즉리'()의 명제를 세워 성선설을 천리로 삼아 절대화하고, 을 천명()의 성과 기질()의 성으로 나누고 또한 성과 정()을 구별하였다.

여기서 '천리'를 세우고 '인욕'()을 멸한다는 엄숙주의가 나오는 것이다. 이천은 '이'의 분석적 추구, '격물궁리'()를 강조함과 동시에 '경'()을 통하여 마음을 수양하는 '거경'( ; 마음의 집중)이란 방법을 중시한다. 유일 절대한 '이'를 대상으로 하는 '궁리'는 실증적인 것이 아니라 관념적이기 때문에 '거경'이 '궁리'의 정신적 태도로서 강조되었다. 주자()는 명도의 사상을 비판적으로, 이천의 사상을 전면적으로 수용하여 주자학의 골격을 세웠다.

주요저서

  • 明道文集, 5권. 易傳, 4권(이천). 伊川文集.

    [네이버 지식백과] 정자 [程子] (철학사전)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1570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250 시와 이미지는 쌍둥이 2017-02-19 0 2284
249 "자화상"으로 보는 낯설음의 미학 2017-02-19 0 2819
248 사랑의 서정시에서 사랑을 풀다... 2017-02-18 0 2737
247 "아리랑꽃" 우리의 것과, 타민족 타지역의 것과, 가슴 넓히기... 2017-02-18 0 2557
246 "매돌"과 "한복"을 넘어서 우주를 보여주다... 2017-02-18 0 2860
245 서정시, 낯설게 하기와 보기 2017-02-18 0 4431
244 시인은 언어라는 무기로 막강한 권력을 행사할수 있다... 2017-02-18 0 2956
243 작문써클선생님들께; - "기괴하다" = "괴기하다" 2017-02-18 0 5185
242 [시문학소사전] - "르네상스"란?... 2017-02-18 0 2662
241 작문써클선생님들께; - "함께하다"의 띄여쓰기는?...(우리 중국 조선어문 문법에서는 어떻게 하는지?...) 2017-02-18 0 2825
240 백명의 시민, 백년의 시인을 노래하다... 2017-02-17 0 2897
239 시조 한수는 마흔 다섯자안팎의 언어로 구성돼 있다... 2017-02-17 0 2999
238 시조문학의 지평선을 더 넓히자... 2017-02-16 0 3230
237 저기 폐지수레 끄는 할배할매들이 저희들의 친지입니다... 2017-02-15 0 2879
236 현대시 100년 "애송 동시" 한 달구지 2017-02-15 0 4177
235 "부끄럼"은 완숙된 시에서 우러나온 맛이다... 2017-02-15 0 2966
234 시는 만들어지는것이 아니라 몸을 찢고 태여나는 결과물이다 2017-02-15 0 2580
233 아일랜드 시인 - 사뮈엘 베케트 2017-02-14 0 4048
232 국어 공부 다시 하자, 시인들을 위하여!... 2017-02-14 0 2781
231 미국 신문 편집인, 발행인 - 퓨리처 2017-02-14 0 4171
230 작문써클선생님들께; - "방방곳곳"이냐? "방방곡곡"이냐!... 2017-02-13 0 4417
229 시작에서 좋지 못한 버릇에 길들면 고치기가 힘들다... 2017-02-13 0 3056
228 방방곡곡으로 못가지만 시로써 아무 곳이나 다 갈수 있다... 2017-02-13 0 3290
227 당신의 도시는 시속에 있어요... 친구의 시인이여!... 2017-02-13 0 2912
226 추천합니다, 노벨문학상 관련된 책 50 2017-02-13 0 2853
225 저항시인 윤동주에게 "명예졸업장"을... 2017-02-13 0 2854
224 동요동시 대문을 열려면 "열려라 참깨야"라는 키를 가져야... 2017-02-11 0 3508
223 동시를 낳고싶을 때에는 동시산실에 가 지도를 받으라... 2017-02-11 0 2747
222 동시인이 되고싶을 때에는 그 누구인가의 도움을 받고싶다... 2017-02-11 0 2946
221 상(賞)에 대한 단상 2017-02-11 0 2678
220 젊은 조선족 문학도 여러분들에게... 2017-02-11 1 3443
219 시란 "자기자신이 만든 세계를 깨부시는" 힘든 작업이다... 2017-02-11 0 2720
218 작문선생님들께 보내는 편지; - 우리 애들도 발음 좀 정확히... 2017-02-10 0 2985
217 시와 삶과 리듬과 "8복" 등은 모두모두 반복의 련속이다... 2017-02-10 0 2703
216 혁명이 사라진 시대, 혁명을 말하는것이 어색한 시대... 2017-02-09 0 3224
215 세계 47개 언어로 엮어서 만든 "인터내셔널가" 2017-02-09 0 3052
214 시인 백석 한반도근대번역문학사에 한획을 긋다... 2017-02-09 1 3860
213 불후의 명곡 "카츄샤"는 세계만방에 울러 퍼지다... 2017-02-09 0 3888
212 "카츄샤"는 떠나갔어도 "카츄샤"의 노래는 오늘도 불린다... 2017-02-09 0 4327
211 시의 형태는 시가 담겨지는 그릇과 같다... 2017-02-09 0 2719
‹처음  이전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