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4월 2025 >>
  12345
6789101112
13141516171819
20212223242526
27282930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詩人 대학교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병아리
2018년 12월 19일 23시 30분  조회:2864  추천:0  작성자: 죽림

 

윤동주 /병아리

 

 

뾰뾰뾰

엄마 젖 좀 주

병아리 소리.

 

꺽꺽꺽

오냐 좀 기다려

엄마닭 소리.

 

좀 있다가

병아리들은.

엄마 품속으로

다 들어갔지요.

 

<카톨릭 소년 3월호>

 

이 시는 병아리와 암탉의 소리를 젖먹이 아이와 엄마의 관계로 생각하는 아동의 시선이 담긴 동시이다.
병아리가 뾰뾰뾰 내는 소리를 아기가 엄마에게 젖을 달라고 우는 소리와 같다고 생각하고 암탉이 꺽꺽꺽 내는 소리를
엄마가 아기 소리를 듣고 ‘오냐 좀 기다려’라고 이야기한다고 생각한다.
서로 소리 내며 운 뒤에 조금 있다가 병아리들 젖을 먹으로 엄마 품속으로 다 들어갔다고 말한다.
/전한성

 

윤동주 /봄

 

 

우리 애기는

아래발치에서 코올코올

 

고양이는

부뚜막에서 가릉가릉

 

애기 바람이

나뭇가지에서 소올소올

 

아저씨 햇님이

하늘 한가운데서 째앵째앵.

 

 

이 시는 봄의 풍경을 아기와 고양이의 낮잠과 솔솔 부는 봄바람과 따뜻한 햇볕을 통해 나태내고 있다.

 

봄은 춘곤증을 몰고오는 계절이다.
한 낮에 하늘은 햇볕으로 쨍쨍하고 작은 바람은 나뭇가지를 흔들며 솔솔 불고 아기는 엄마의 발치 아래에서 콜콜 자고 있다.
한가한 봄의 모습이다. ‘우리 애기’라 하는 이는 엄마가 아닐 수도 있다.
그러나 아래발치에 아기를 재우는 사람은 엄마가 가장 적당하다. 그러므로 아기 엄마라고 보는 것이 자연스럽다.
‘코올코올’, ‘가릉가릉’, ‘소올소올’, ‘째앵째앵’의 음성상징어를 써서 사실감을 높였다.
‘애기 바람’은 봄바람이 부드럽게 부는 모습을 보고 아기에 비유한 것이고
‘아저씨 햇님’은 그 빛이 따스할 정도가 넘어 뜨거움을 느낄 정도라 ‘아저씨’에 비유하여 의인화한 표현한 것으로 보인다./전한성

 

 

윤동주 /비행기

 

 

머리에 프로펠러가

연자간 풍체보다

더---- 빨리 돈다.

 

따에서 오를 때보다

하늘에 높이 떠서는

빠르지 못하다

숨결이 찬 모앙이야.

 

비행기는--

새처럼 나래를

펄럭거리지 못한다.

그리고 늘--

소리를 지른다.

숨이 찬가봐.

 

 

이 시는 프로펠러 비행기를 보고 어린 아이의 시선으로 본 것이다.
1연은 하늘을 나는 비행기의 프로펠러가 연자방아간 풍체(곡물에 섞인 쭉정이, 겨, 먼지 따위를 날려서 제거하는 데 쓰이는
농기구, ‘풀무’의 방언이다. 풀무 안에는 프로펠러처럼 생긴,
오늘날 선풍기 날개처럼 생긴 것이 돌아가서 이에 비교한 것이다)보다 더욱더 빨리 도는 것을 말하였다.

2연은 비행기가 땅에서 오를 때는 가까이에서 보니까 빨리 프로펠러가 빨리 돌아 빠르게 가는 것처럼 보이고
하늘에 높이 떳을 때는 멀어서 느리게 가는 것처럼 보이니까 숨이 차서 천천히 가는 것으로 보이는 것을 표현한 것이다.

3연은 새와 비행기를 비교하여 새처럼 날개를 펄럭이지 못하고
엔진 소리를 내는 것을 숨이 차서 소리를 지른다고 생각하는 것이다.
아이의 시선에서 잘 표현한 프로펠러 비행기의 모습이다.
/전한성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1570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1250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달같이 2018-09-16 0 3442
1249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코스모스 2018-09-15 0 3842
1248 윤동주와 시 세편속의 "순이" 2018-09-15 0 2815
1247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사랑의 전당 2018-09-15 0 3823
1246 윤동주 시 리해돕기와 "갈릴리 호수" 2018-09-13 0 4597
1245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이적 2018-09-12 0 3572
1244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비 오는 밤 2018-09-12 0 3400
1243 윤동주 시 리해돕기와 "납인형" 2018-09-11 0 3960
1242 윤동주와 송몽규, 정병욱 2018-09-11 0 4120
1241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어머니 2018-09-11 0 5847
1240 윤동주 시 리해돕기와 "보헤미안" 2018-09-10 0 3962
1239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야행 2018-09-10 0 3584
1238 백석 / 자작나무 2018-09-08 0 2974
1237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유언 2018-09-08 0 3697
1236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명상 2018-09-07 0 4008
1235 윤동주와 윤혜원, 오형범 2018-09-06 0 3188
1234 윤동주와 "련인" 2018-09-06 0 2797
1233 윤동주 시 리해돕기와 "능금" 2018-09-06 0 4203
1232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그 녀자 2018-09-05 0 3599
1231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달밤 2018-09-03 0 3783
1230 윤동주와 "별"의 기호와 "코드"... 2018-08-31 0 3149
1229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리별 2018-08-31 0 5056
1228 김철호 /권력률 2018-08-30 0 3125
1227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고향집 2018-08-30 0 5314
1226 [사진한쪼박] - 그리워라 땡 땡 땡 종소리... 2018-08-25 0 2700
1225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남쪽하늘 2018-08-24 0 3040
1224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못 자는 밤 2018-08-24 0 2978
1223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태초의 아침 2018-08-23 0 4127
1222 {자료} - 산문시와 이야기시 2018-08-22 0 4456
1221 [詩소사전] - "산문시"란?... 2018-08-22 0 2855
1220 러시아 작가, 시인 - 투르게네프 산문시 7수 2018-08-22 0 3003
1219 윤동주 시 리해돕기와 투르게네프 2018-08-22 0 4178
1218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투르게네프의 언덕 2018-08-21 0 4940
1217 문학은 "금나와라, 뚝딱!"하는 도깨비 방망이가 아니다... 2018-08-21 0 2615
1216 [문단소식] - 리상각 시인 "두루미"를 타고 하늘가로... 2018-08-21 0 2901
1215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슬픈 족속 2018-08-20 0 5549
1214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비ㅅ뒤 2018-08-13 0 3165
1213 윤동주 "새로 발굴된" 시 8수 2018-08-11 0 2387
1212 {자료} - 일본의 윤동주, 일본의 톨스토이 2018-08-11 0 3213
1211 윤동주 시를 풀어서 산문으로 쓰다... 2018-08-11 0 2873
‹처음  이전 4 5 6 7 8 9 10 11 12 13 14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