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4월 2025 >>
  12345
6789101112
13141516171819
20212223242526
27282930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詩人 대학교

...
2018년 12월 18일 23시 39분  조회:2637  추천:0  작성자: 죽림

[일상에 스민 문학] 

 

- 미야자와 겐지, <비에도 지지 않고> 

 

 

저는 아직도 종이신문을 구독합니다. 새벽에 막 구워낸 듯한 빵과 같이 옅게 배어있는 기름 냄새가 참 좋습니다. 광고지가 많이 들어오는 날에는 왠지 제가 그 광고들을 다 살 수 있을 것 같은 기분도 듭니다. 제가 맡아서 하는 토요일 쓰레기 분리 수거에 신문을 버리지 않아 가족들에게 타박을 받는 것도 제 몫이랍니다. 

 

신문에서 가장 좋아하는 면은 주말에 배달되는 <북섹션>입니다. 요즘은 토요일이 아니라 금요일에 나오면서 약간 소개란도 줄었습니다. 하지만, 최신 책에 대한 동향이나 해외 출판에 대해서 알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주어서 무척이나 즐겁습니다. 가끔씩은 작가들이 자신이 읽고는 소개해주소 싶은 책들을 소개하는 칼럼이 실릴 때가 있는데, 소개한 작품이 제가 읽어 본 작품일때는 왠지 모를 짜릿함 마저 느끼게 됩니다.

 

‘자신을 울게 만든 작품’이라는 내용으로 소설가 김연수가 인터뷰를 한 내용을 접했습니다. 그는 일본 아동문학가 ‘미야자와 겐지’의 시가 자신을 울게 만들었다고 이야기했습니다. 미야자와 겐지. 그는 동화 ‘강아지 똥’의 작가 권정생 선생님께서 생전에 존경했던 작가라고 합니다. 접해 본 적이 없어서 검색을 해 보았더니 일본에서는 국민 아동문학가였습니다. 

 

37세라는 젊은 나이에 늑막염으로 생을 마칠 때까지 농업 학교 교사로 일하면서, 평생 동화를 만들었다고 합니다. 어렸을 적 즐겨보았던 일본 만화 <은하철도 999>의 원작이 된, <은하철도의 밤>을 만들어 우리에게는 비교적 친숙한 작가이기도 합니다. 

 

내친김에 주말에 도서관에 들러 그의 책들을 모조리 찾아보았습니다. 말씀드렸던 <은하철도의 밤>을 비롯하여 <주문이 많은 음식점>, <첼로 켜는 고슈>와 자전적 이야기인<구스코부도리의 전기>등이 있었습니다. 가장 눈에 들어온 책은 <비에도 지지 않고>라는 책이었습니다. 이 책은 40페이지 밖에 되지 않는 짧은 책이었는데, 책 전체가 한 편의 짧은 시로 구성되어있는 책입니다.

 

 

 

 

비에 지지 않고 바람에도 지지 않고

 

눈보라와 여름의 더위에도 지지 않는

 

튼튼한 몸을 가지고 욕심도 없고

 

절대 화내지 않고 언제나 조용히 미소 지으며

 

 

 

(…)

 

 

 

동(東)에 병든 어린이가 있으면 찾아가서 간호해 주고

 

서(西)에 고달픈 어머니가 있으면 가서 그의 볏단을 대신 져 주고

 

남(南)에 죽어가는 사람 있으면 가서 무서워 말라고 위로하고

 

북(北)에 싸움과 소송이 있으면 쓸데없는 짓이니 그만두라 하고

 

 

 

가뭄이 들면 눈물을 흘리고

 

추운 겨울엔 허둥대며 걷고

 

누구한테나 바보라 불려지고

 

칭찬도 듣지 말고 괴로움도 끼치지 않는

 

그런 사람이 나는 되고 싶다.

 

 

 

김연수 작가의 동인문학상 수상작 <내가 아직 아이였을 때>에도 마지막에 수록된 <비에도 지지 말고 바람에도 지지 말고>라는 단편은 바로 이 시에서 모티브를 따온 작품이기도 합니다. 학교폭력 문제를 감각적으로 다룬 작품인데, 더 좋은 사람이 되는 과정을 겪고 있는 제 자신을 되돌아 볼 때 읽으면 좋을 것 같습니다. 

 

생명 존중 사상과 공생(共生)의 행복관을 담아내던 겐지의 동화들은 당시 주위 아시아 국가들에 대해 배타적이던 일본에서는 외면당했다고 합니다. 결국 겐지의 동화는 그가 살아있을 때 빛을 보지 못하고, 마쳤다고 합니다. 거의 70여 년이 지난 지금, 일본에서는 '겐지 붐'이라고 할 만큼 열광적인 독자군이 형성되어 있으며, 그의 작품은 일본 교과서에 오랫동안 수록되어 정서적 영감을 불어넣을 만큼 수작으로 인정받고 있다고 합니다. 바로 유튜브에만 들어가 보아도 그의 시를 암송하는 대회이며, 개인적으로 만든 비디오들이 즐비하니까요. 추운 겨울 날, 점심 식사 후에 한번 검색해보시고 암송해보시면 어떨까요?  

 

 

/정재엽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1570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50 시의 초보자들이 개척해야 할 부분은 시를 극적으로 쓰는것... 2016-12-20 0 2998
49 시는 "부서진, 흩어진, 주인이 없는, 부르다가 죽은" 령혼찾기. 2016-12-19 0 2810
48 [시문학소사전] - 자동기술법과 의식의 흐름기법 2016-12-18 0 6244
47 [시문학소사전] - 자동기술법이란? 2016-12-18 0 5081
46 시의 기원은 노래... 2016-12-18 0 4044
45 시 = "최초의 궁리" + "가장 오래한 궁리" 2016-12-18 0 3831
44 [시문학소사전] - 중국 현대시 류파에 관하여 2016-12-16 0 2844
43 문학을 일상생활속에서 이어가는 삶은 아름답다... 2016-12-15 0 2543
42 시가 세상을 외면...??? 세상이 시를 외면...??? 2016-12-15 0 3045
41 문학은 싸구려 련애질의 방패가 옳다?... 아니다!... 2016-12-15 0 4166
40 소네트와 세익스피어 2016-12-14 0 3332
39 [시문학소사전] - 소네트란? 2016-12-14 0 4324
38 [시문학소사전] - 랑만주의란?... 2016-12-14 0 4017
37 영국 랑만주의 시인 - 퍼시 비시 셸리 2016-12-14 0 6612
36 신문기자 총편 출신 박문희선생 詩배우고 발표까지 하다... 2016-12-14 0 2560
35 글쓰기는 고역의 고역을 치루어야 좋은 작품이 탄생된다... 2016-12-13 0 2645
34 시는 "깨달음"의 "사고묶음"이여야... 2016-12-13 0 2712
33 이 책은 책이 아니다와 이 책은 보물창고다와의 시적미학 2016-12-12 0 2609
32 <농부> 시모음 2016-12-12 0 2899
31 시작은 시작으로서의 "남다른 시작의 길"을 모색해야... 2016-12-12 0 2723
30 시는 "나만의 스타일"로 쓰라... 2016-12-12 0 2719
29 시작은 모든 것이 늘 "치밀하고 + 치렬하게" 해야... 2016-12-12 0 2636
28 시작할 때 "화학조미료"같은 관념어 절대 "반입금지 명령"!... 2016-12-12 0 2891
27 시작할 때 스토리는 잇어지고 한가지 이야기만 하라... 2016-12-12 0 2880
26 "엉뚱한 생각" + "살짝 맛 간 시인" +... = 좋은 시 빚기 2016-12-12 0 2912
25 상상 + 더 깊은 상상...+... = 좋은 시 빚기 2016-12-12 0 2654
24 시는 류행가 가사가 옳다?... 아니다!... 2016-12-12 0 2566
23 시를 "감춤"과 "드러냄"의 사이에서 맛갈스레 빚어야... 2016-12-12 0 2463
22 시인은 늘 예민한 촉수로 훌륭한 시를 빚기 위해 정진해야... 2016-12-12 0 2572
21 시쓰기는 "참 나를 찾고자"하는 고행이다... 2016-12-12 0 2563
20 시인도 "완전무장"을 해야 좋은 시를 쓸수 있다... 2016-12-12 0 2588
19 "썩을 놈! 어떻게 요런 시를 다 썼을깜?!..." 2016-12-11 0 2809
18 시작은 "가장 쉬운 말로, 최대한 짧게, 가장 깊은 울림"으로... 2016-12-11 0 2566
17 누가 뭐라고 해도 시는 시인이 쓰는것... 2016-12-11 0 2671
16 참 시인 되자면... 2016-12-11 0 2714
15 시 "승무"를 삭히는데 3년이나 걸리다... 2016-12-11 0 2432
14 <술> 시모음 2016-12-11 0 2541
13 [시문학소사전] - 실존주의란?... 2016-12-11 0 4521
12 詩作 잘하기와 관찰 잘하기... 2016-12-10 0 2943
11 詩人은 관찰력과 상상력이 진부해서는 절대 안된다... 2016-12-09 0 2501
‹처음  이전 34 35 36 37 38 39 40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