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4월 2025 >>
  12345
6789101112
13141516171819
20212223242526
27282930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詩人 대학교

윤동주와 "이상한 주사"
2018년 11월 30일 23시 25분  조회:3181  추천:0  작성자: 죽림
 
1945년 3월 복간도 용정에서 열린 윤동주 장례식.

1945년 3월 복간도 용정에서 열린 윤동주 장례식.

 

#외마디 비명이 품은 뜻 

1945년 2월16일 후쿠오카형무소의 한 독방 감옥에서 외마디 비명이 내질러진다. 한 간수가, 혹시 그것이 독립만세를 외치는 소리가 아닌가 하고 바짝 청각을 돋우고 달려갔다. 그러나 그는 그것이 복역수 평소동주(平沼東柱, 도일 유학을 위해 창씨개명해 얻은 윤동주의 이름)가 이 지상에 남긴 마지막 소리였다는 사실을 알게 된다. 향년 만 27년2개월의 죽음이었다.

윤동주가 특수고등경찰에 체포된 것은, 42년 도쿄 닛교대학을 거쳐 편입해간 교토 도시샤 대학 시절인 43년 7월이었다. 치안유지법을 위반한 독립운동, 이른바 ‘재경도 조선인 학생 민족주의 그룹 사건’의 핵심 인물 중 한 사람이었다. 2년형으로, 45년 11월30일이 출감 예정일이었다. 윤동주보다 더 오래 옥살이를 해야 하는, 또 한 사람의 핵심인물은 송몽규였다. 송몽규는 윤동주의 고종사촌으로 같은 해 같은 마을에서 태어나 같이 성장한 죽마고우이며, 연희전문과 일본 유학을 함께 하고 같은 사건으로 같은 형무소에 투옥까지 된 평생의 지기였다. 

이해 들면서 두 사람은 형무소 복도에서 만날 때마다 서로에게서 죽음의 그림자를 느끼고 있었다. 그 무렵 거의 매일 규슈 제국대학의 레지던트들이 찾아와 복역수들의 팔뚝에 이름 모를 주사를 놓고는 했다. 이 주사를 두어 대 맞고부터 살이 빠지고 걸음이 느려졌다. 눈앞에 사람이 있고 물체가 있어도 그저 흐릿해 보였다. 강제 노역 때와는 차원이 전혀 다른 이상 증세였다.

아니나다를까, 독방을 쓰는 사람 몇이 밤 사이에 주검이 되어 나가는 일이 연이어 일어났다. 송몽규는 주사를 놓으려는 의사에게 소리쳤다. 

“난 이 주사가 싫어. 이 주사를 맞지 않겠소.” 

그래도 막무가내였다. 한 사람이 붙드는 정도인데도 도무지 힘을 쓸 수가 없었다. 어느날 윤동주가 주사를 맞고 나오는 걸 보았다. 얼이 빠진 표정으로 송몽규를 보며 지나가는데, 서로 아무 말도 하지 못했다. 이튿날부터 윤동주의 모습은 보이지 않았다. 윤동주가 죽었다는 사실을 알고도 송몽규는 통곡을 할 힘이 없었다. 

#이상한 주사, 끊이지 않을 증언과 발굴 
 

윤동주가 복역한 일본 후쿠오카 형무소의 1940년대 말 모습.

윤동주가 복역한 일본 후쿠오카 형무소의 1940년대 말 모습.

윤동주의 시신을 찾으러 오라는 연락을 받은 아버지 윤영석은 일본으로 건너가 사촌인 도쿄 유학생 윤영춘과 함께 후쿠오카 형무소로 갔다. 두 사람은 먼저, 살아 있는 송몽규를 면회했다.

알이 반쯤 깨진 안경을 간신히 걸치고 있는 송몽규를 두 사람은 쉽게 알아 보지 못했다. 피골이 상접한 그가 먼저 무슨 말인가 건네 오는데 그게 마치 저세상에 들려오는 말소리 같았다. 윤영춘이 간신히 입을 뗐다. 

“어째 모양이 이러냐?” 

“저놈들이 주사를 놓아서 이 모양이 됐고, 동주도 이 주사를 맞고….”

간수의 눈을 피해 몰래 간신히 주고 받은 우리말이었다. 

두 사람이 윤동주의 유해를 찾아간 지 한 달도 되지 않은 3월7일 송몽규 역시 감옥에서 숨을 거두었다. 

47년 윤동주의 시가 경향신문에 처음 소개되고 이듬해 유고 시집이 발간된 이래, 그의 문학은 시를 사랑하는 한국인들이 결코 빼놓지 않는 애송작이 되었다. 그를 거론할 때 또한 빠지지 않는 이야기가 그가 감옥에서 강제로 맞았다는 주사에 대해서이다. 결론을 말하면 그 주사는 일제의 생체실험용 주사다. 

80년 고노 에이지(鴻農映二·문학평론가)는 그 주사를 당시 규슈 제대에서 실험하고 있었던 혈장 대용 생리 식염수라고 주장했다. 혈장은 인체의 혈액 속에 있는 유형 성분 즉, 적혈구, 백혈구, 혈소판을 제외한 나머지의 액체 성분을 말한다. 그 실험은 사람 몸에서 피를 이루는 일부 액체 성분 대신에 소금물을 넣어서 견딜 수 있는 한계를 측정하는 생체실험으로, 말할 것도 없이 전쟁에서 부상을 입고 피를 흘린 병사에게 귀한 혈장 대신 값싼 생리 식염수를 주입해 살리는 방법을 얻으려는 실험이었다. 

이부키 고(伊吹鄕)도 당시 후쿠오카형무소 재소자들의 사망자 수와 사망률이 대단히 높은 수치를 보이고 있다는 통계 자료에 주목하면서 당시 후쿠오카 형무소의 생체실험을 외면할 수 없는 역사적 사실로 밝혀내고 있다. 

공공연한 사실로 인정되는 2차 대전 중의 생체실험마저도 여태 공식적으로는 부정되고 있는 현실에 비추어 볼 때, 윤동주와 송몽규가 맞았다는 그 주사가 진짜 생체실험용 주사였다는 사실을 입증할 만한 증거는 더 찾기가 쉽지 않을 것이다. 

그러나, 보라. 윤동주의 죽음을 송몽규가 증언하면서 그 ‘주사’의 실재가 사실로 알려지게 되었다. 송몽규에게 그 말을 들은 윤영춘이 그걸 전파하고, 그 증언을 믿게 된 고노 에이지와 이부키 고가 더 확실한 증거를 찾아 내지 않았는가. 윤동주의 생애를 샅샅이 추적해 역저 ‘윤동주 평전’을 낸 송우혜는 그 책에서 그들의 활약을 자세히 밝혀두고 있다. 

윤동주는 그냥 시인이 아니다. 그의 몸은 역사를 증언하는 실체로 살아남아 있다.

 

///박덕규/ 소설가·단국대 교수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1570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1250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달같이 2018-09-16 0 3442
1249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코스모스 2018-09-15 0 3842
1248 윤동주와 시 세편속의 "순이" 2018-09-15 0 2817
1247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사랑의 전당 2018-09-15 0 3823
1246 윤동주 시 리해돕기와 "갈릴리 호수" 2018-09-13 0 4600
1245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이적 2018-09-12 0 3574
1244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비 오는 밤 2018-09-12 0 3401
1243 윤동주 시 리해돕기와 "납인형" 2018-09-11 0 3960
1242 윤동주와 송몽규, 정병욱 2018-09-11 0 4122
1241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어머니 2018-09-11 0 5847
1240 윤동주 시 리해돕기와 "보헤미안" 2018-09-10 0 3962
1239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야행 2018-09-10 0 3584
1238 백석 / 자작나무 2018-09-08 0 2976
1237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유언 2018-09-08 0 3698
1236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명상 2018-09-07 0 4010
1235 윤동주와 윤혜원, 오형범 2018-09-06 0 3189
1234 윤동주와 "련인" 2018-09-06 0 2800
1233 윤동주 시 리해돕기와 "능금" 2018-09-06 0 4204
1232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그 녀자 2018-09-05 0 3600
1231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달밤 2018-09-03 0 3783
1230 윤동주와 "별"의 기호와 "코드"... 2018-08-31 0 3150
1229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리별 2018-08-31 0 5058
1228 김철호 /권력률 2018-08-30 0 3140
1227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고향집 2018-08-30 0 5315
1226 [사진한쪼박] - 그리워라 땡 땡 땡 종소리... 2018-08-25 0 2700
1225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남쪽하늘 2018-08-24 0 3041
1224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못 자는 밤 2018-08-24 0 2978
1223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태초의 아침 2018-08-23 0 4128
1222 {자료} - 산문시와 이야기시 2018-08-22 0 4459
1221 [詩소사전] - "산문시"란?... 2018-08-22 0 2857
1220 러시아 작가, 시인 - 투르게네프 산문시 7수 2018-08-22 0 3003
1219 윤동주 시 리해돕기와 투르게네프 2018-08-22 0 4179
1218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투르게네프의 언덕 2018-08-21 0 4941
1217 문학은 "금나와라, 뚝딱!"하는 도깨비 방망이가 아니다... 2018-08-21 0 2616
1216 [문단소식] - 리상각 시인 "두루미"를 타고 하늘가로... 2018-08-21 0 2901
1215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슬픈 족속 2018-08-20 0 5551
1214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비ㅅ뒤 2018-08-13 0 3167
1213 윤동주 "새로 발굴된" 시 8수 2018-08-11 0 2387
1212 {자료} - 일본의 윤동주, 일본의 톨스토이 2018-08-11 0 3213
1211 윤동주 시를 풀어서 산문으로 쓰다... 2018-08-11 0 2873
‹처음  이전 4 5 6 7 8 9 10 11 12 13 14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