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4월 2025 >>
  12345
6789101112
13141516171819
20212223242526
27282930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詩人 대학교

윤동주와 "원산 송도원"
2018년 11월 26일 23시 40분  조회:4065  추천:0  작성자: 죽림

원산 송도원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검색하러 가기

송도원(松濤園)은 조선 강원도 원산시 송흥동에 있는 명승지이다. 해안을 따라 너비 40~100cm, 길이 2.7km의 1901년 개장한 해수욕장이 이어져 있으며, 수온 또한 적당해 해수욕장으로 인기가 있다. 육지로부터 100m 거리의 지점까지도 수심이 최대 2m 정도로 얕은데, 바다를 갈마반도가 둘러싸고 있기 때문이다. 소나무 숲이 우거져 있는데, 700여년 전 방풍림을 목적으로 심은 것이라고 한다. 일제 강점기 때에는 '송도원주식회사'가 설립되어 있었다.원산 시내와의 거리는 약 3km이다. 원산역에서 분기하는 철도인 송도원선이 있다.


=================/// <명사십리>

 
문화재 지정 조선 천연기념물 제193호
성격 사빈, 해수욕장
유형 지명
면적 길이 4∼6㎞, 너비 0.7∼1.3㎞
소재지 강원도 원산시 용천리
분야 지리/자연지리

요약 강원도 원산시 용천리에 있는 백사장.

개설

명사십리는 북쪽의 송도원해수욕장(松濤園海水浴場)과 더불어 수심이 얕은 좋은 해수욕장으로, 금강산·석왕사(釋王寺)·삼방협곡(三防陜谷) 등의 관광휴양지와 더불어 하나의 관광권을 형성한다.

사빈은 남북으로 길게 뻗어 있고, 그 길이가 두남산 기슭으로부터는 4㎞이고, 안변남대천 아래로부터는 6㎞이다. 사빈의 높이는 해면보다 1∼6m 가량 높고 너비는 0.7∼1.3㎞이다.

명칭 유래

십리 구간에 펼쳐진 이름난 사취라는 뜻에서 명사십리라고 한다.

자연환경

원산시 남동쪽 용천리남대천하구에서부터 길게 뻗은 갈마반도(葛麻半島) 끝에서 남쪽으로 끝없이 펼쳐 있는 하얀 백사장과 10여 리에 걸쳐 만발하여 있는 해당화의 군락, 그 뒤에 둘러져 있는 푸른 소나무와 푸른 바다가 어울려 명승을 이룬다.

명사십리의 북쪽 끝부분은 해발 100m 내외의 구릉으로 되어 있다. 이 구릉의 바다쪽 기슭은 해식애가 발달하였고 그 주변에는 소나무, 잣나무, 참나무가 자라고 있다.

명사십리의 입구에는 동해안에서 보기 드문 모감주나무가 있다.

형성 및 변천

금야만 해변에 솟아 있는 화강암산의 풍화와 바닷물의 침식작용에 의해 모래가 되고 안변남대천의 물흐름에 의하여 생긴 모래가 해변에 함께 쌓여 천연적인 사취를 형성하였다.

사취는 점점 발달하여 금야만으로부터 십리나 떨어진 바닷가 섬까지 이어지게 되었고, 섬은 육지와 연결되어 갈마반도를 형성하였다.

명사십리는 제4기 해성층으로 된 모래벌판으로서 지각의 운동과 바다와 육지의 변화과정을 보여주는 자연유물이다.

현황

명사십리와 관련하여 다음과 같은 노래도 있다. “명사십리 해당화야/꽃진다고 설워마라/잎진다고 설워마라/동삼(冬三)석달 꼭죽었다/명춘삼월(明春三月) 다시오리.”

또한, 원산항을 드나드는 기선과 범선, 그리고 웅도(熊島)·신도(薪島)·여도(驪島) 등을 조망할 수 있다.

1980년 1월 국가자연보호연맹에 의해 천연기념물 제193호로 지정되어 보호 관리되고 있다.

======================/// <갈마반도>
 

요약 강원도(북한) 원산시 동부에 있는 반도.

 

원산만 남쪽 연안에 자리하며, 원산시 동쪽에 있는 갈마에서 북쪽으로 돌출하여 호도반도와 마주하고 있다. 길이 약 5㎞, 평균너비 1㎞이다. 본래는 높이 100m 정도의 갈마도였으나, 안변 남대천의 퇴적작용에 의해 사주가 발달하면서 육계도화된 것이다. 반도는 남북으로 길게 뻗어 있으며 그 끝은 갈마각이다. 해안선은 비교적 단조롭고, 수심이 깊어 큰 배가 정박하기 편리하다. 사주는 명사십리 해수욕장으로 유명하며, 주변에는 해송과 해당화가 어우러져 일대장관을 이룬다. 특히 송도원관광지-원산-통천-고성으로 이어지는 조선의 해안관광지구로 개발되고 있다.
 

 

원산갈마해안관광지구의 모습. 2018.11.01. (사진=조선중앙TV 캡처) 

 

<원산 명사십리 해수욕장>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1570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690 살아있는 시는 류행에 매달리지 않고 시대를 초월한 시이다... 2017-09-02 0 2241
689 문제 시인, 유명 시인, 훌륭한 시인, 무명 시인... 2017-09-02 0 2102
688 어떤 시인들은 자기가 갖고 있는 자대를 늘 자랑하는데... ㅉㅉ 2017-09-02 0 2321
687 늘 헛시농사를 짓는 시지기는 죽을 때까지 시씨를 뿌리고지고... 2017-08-29 0 2243
686 녀성의 립장에서 쓴 시와 남성의 립장에서 쓴 시... 2017-08-28 0 2537
685 걸어온 길과 걷고 있는 길과 걸어가야 할 길... 2017-08-28 0 2180
684 시어의 보고는 비어, 속어, 사투리, 은어, 구어 곧 활어이다... 2017-08-24 0 2460
683 "이 아름다운 날들이 언제까지라도 계속되길"... 2017-08-24 0 2395
682 당신들은 아버지 사타구니를 닦아본적 있으십니까?!... 2017-08-23 0 3189
681 "님은 갔지마는 나는 님을 보내지 아니 하였습니다"... 2017-08-23 0 2567
680 시세계, 시나라 좁고 넓고 짧고 길다... 2017-08-22 0 2491
679 시는 짧은 세계, 짧은 시의 나라... 2017-08-22 0 2641
678 짧은 시의 나라, 시는 짧은 세계... 2017-08-22 0 2888
677 시를 쓴다는것은 상투적 껍질을 벗겨내는 작업이다... 2017-08-22 0 2362
676 "아버지의 성기를 노래하고싶다"... 2017-08-22 0 2688
675 "그때 사방팔방에서 저녁노을이 나를 바라보고 있었다"... 2017-08-22 0 2268
674 시는 활자화되기전, 랭정하게 다듬기에 온갖 피를 쏟으라... 2017-08-22 0 2197
673 시를 시의 나라로 던질때 진저리치며 받아주는 이, 그 누구?!... 2017-08-22 0 2289
672 시는 무의 세계, 침묵의 나라, 시다운 시여야 절에 들어가는것, 2017-08-22 0 2173
671 시는 멀리 있는것이 아니라 가까이에 살그머니 있다... 2017-08-22 0 1867
670 시속의 비밀은 모든 사람들에게 각기 다른 주파수를 준다... 2017-08-22 0 2225
669 시는 진술이 아니라 언어에 늘 새옷을 입히는 행위이다... 2017-08-22 0 2032
668 "온몸으로 불 밝히는 살구꽃나무 환하게 서서 있었다"... 2017-08-22 0 2018
667 시는 언어를 재료로 하는 예술이며 미학이지 철학은 아니다... 2017-08-22 0 2224
666 "한줄을 쓰기전에 백줄을 읽고 독파하라"... 2017-08-22 0 1956
665 시적 언어재현으로 시각적인 상(像)-이미지를 찾아 그려라... 2017-08-22 0 2120
664 "어미를 따라 잡힌 어린 게 한마리"와 군용트럭... 2017-08-21 0 2064
663 "저 모습 뒤편에는 무수한 시침이 꽂혀 있을것이다"... 2017-08-21 0 1878
662 "아, 이거 시가 되겠네"... 2017-08-21 0 1748
661 "장백산아, 이야기하라"... 2017-08-21 0 2013
660 "틀에만 얽매이지 말고 틀을 벗어나 살라"... 2017-08-21 0 2017
659 "한개 두개 세개" 동요동시야 나와 놀쟈... 2017-08-21 0 2893
658 시인은 전자아(全自我)를 대변할수 있는 화자를 발견해야... 2017-08-21 0 1997
657 "그 바보들 틈에서 노는것이 마냥 즐겁기만하다"... 2017-08-20 0 2177
656 시를 이렇게도, 저렇게도 해석할수 있는 시가 재미있는 시?!... 2017-08-20 0 2098
655 "...가실 때에는 말없이 고이 보내드리우리다"... 2017-08-19 0 1880
654 추억의 "되놀이" - 문득 "되놀이" 하고싶어짐은 또... 2017-08-18 0 2157
653 [땡... 복습시간이다...] - 중고생들 안녕하십니까... 2017-08-18 0 3350
652 [땡... 복습시간이다...]- 와- 동시를 쓰는 방법을 배워준대... 2017-08-18 0 2378
651 시적 상상력을 어떻게 구사할것인가... 2017-08-18 0 2264
‹처음  이전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