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4월 2025 >>
  12345
6789101112
13141516171819
20212223242526
27282930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詩人 대학교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나무
2018년 11월 23일 00시 16분  조회:2672  추천:0  작성자: 죽림

 
나무는 백성·바람은 일제 강압 상징
식민지 지식인의 자기성찰 담긴 시

하늘·바람·별 등 서정적 표현
많았던 시인의 고뇌 가득 차
참담·우울한 시대 아니었다면
연기를 노래한 게송 같은 시

나무가 춤을 추면
바람이 불고
나무가 잠잠하면
바람도 자오

윤동주 / 나무 (1937.3. 추정.)

보통사람 같으면 “바람이 불면 나무가 춤을 추고/ 바람이 잠잠하면 나무가 자오”라고 읊었을텐데, 윤동주(1917~1945) 시인은 거꾸로 “나무가 춤을 추면 바람이 불고/ 나무가 잠잠하면 바람도 자오”라고 하였다. 인과가 거꾸로 나타난 역인과의 관계이다. 물론 좋은 원인이 좋은 결과를 만들고, 또 좋은 결과가 새롭게 좋은 원인을 만들기도 한다.

보통 인과관계가 하늘이 꾸물꾸물하여 먹구름이 끼면 비가 온다. 그러나 가랑비가 내리면 하늘에 먹구름이 몰려오기도 한다. 이렇게 시인이나 깨달음을 얻은 선사는 고정관념이 타파되어 생각의 관점이 다르다. 중국 당나라 육조 혜능선사의 ‘바람이 흔들리는가 깃발이 흔들리는가’ 공안 화두는 윤동주의 ‘나무’를 이해하는데 도움이 된다.

나무꾼 출신 혜능이 오조 홍인을 찾아가 가사와 발우를 전해 받고, 황매산을 떠나 남쪽 광동성 광주의 법성사에 이르게 되었다. 그곳에서 인종(印宗) 법사가 ‘열반경’을 설하고 있었는데, 그때 마침 바람이 불어서 당간(幢竿)의 깃발이 날리고 있었다. 한 스님이 “깃발이 움직인다”고 말하자 다른 스님이 “바람이 움직인다”며 서로 다투었다. 이 모습을 보고 혜능 스님이 “바람이 움직이는 것도 아니고, 깃발이 움직이는 것도 아니다. 다만 그대들의 마음이 움직일 뿐이다”라고 말하자, 인종법사는 예절을 갖추어 혜능 스님을 맞은 일화가 있다.

마음은 인식의 주체이기 때문에 마음이 보고 싶은 것만 보고, 보고 싶은 대로 본다. 따라서 윤동주 시인은 자신의 마음이 보고 느낀 대로 “나무가 흔들리면 바람이 분다”고 하였고, 혜능선사는 “바람이 움직이는 것도 아니고, 깃발이 움직인 것도 아니고, 다만 내 마음이 움직인 것이다”라고 하였다.

나무와 바람은 연기 관계이다. 나무는 움직일 수 없는 식물로서 평생을 자신의 뿌리를 땅에 묻고 서서 살아간다. 다만 바람이 다가와서 흔들어 주고 생명의 호흡을 할 수 있게 해 줘서 춤을 추기도 한다.

나무가 자라서 거대한 숲을 이루고 홍수도 막아주고, 사막화 되는 미세먼지도 걸러준다. 미당 서정주는 ‘자화상’에서 “자신을 키워준 것은 8할이 바람이다”고 노래하였다.

1940년대 일제강점기에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시인인 윤동주의 ‘하늘과 바람과 별과 시’의 시집 서문을 대신하여 쓴 시 ‘서시’에 “잎새에 이는 바람에도 나는 괴로워했다”고 하는 바람이 등장하고 있다. 여기서 바람은 괴로움이고, 별은 사랑과 희망을 나타내고 있다.

‘나무’의 “바람이 잠잠하면 나무가 자오”에서 일제의 탄압이 잠잠해지면 조선의 백성은 비로소 편안히 잠을 잔다고 하는, 그래서 ‘나무’는 우리 민족의 백성을 상징하고 ‘바람’은 일제의 매서운 강압을 상징한다고 볼 수도 있다.

윤동주의 시는 자연의 서정적인 표현을 하면서도 식민지 지식인의 고뇌와 자기 성찰의식이 담겨 있다. 시인이 일제의 참담하고 우울한 시대만 살지 않았다면 ‘나무’는 맑고 향기로운 바람과 나무의 순수한 연기(緣起)의 사랑을 노래한 24자의 간명(簡明)한 게송 같은 선시(禪詩)라고 이해해야 할 것이다. 운수자연을 노래한 운수시(雲水詩)이다.

윤동주는 조국의 광복을 눈앞에 두고 1945년 2월에 27세의 젊은 대학생 신분으로 일본 감옥에서 요절했다. 한국인이 가장 사랑하는 시인인 그의 시를 마음에 새겨서 광복절을 맞아 다시 임에게 헌사한다.

/김형중 동대부여중 교장·문학박사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1570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1010 시는 마음속의 뜻을 말로 조각해내는것... 2018-03-29 0 2551
1009 산문시는 고리끼 "해연의 노래"가 전범(典範)이다... 2018-03-29 0 2389
1008 글 농사는 뼈를 깎는 고행이다... 2018-03-29 0 2491
1007 "한알의 모래속에서 천국을 본다"... 2018-03-29 0 3620
1006 "태초부터 시인이 있었었다"... 2018-03-29 0 2577
1005 "최고의 정신적 보물을 젊은이들과 더불어..." 2018-03-28 0 2128
1004 "문제 그 자체를 사랑하라"... 2018-03-28 0 2543
1003 그대들은 "단발머리"를 떠올려 보았는가... 2018-03-28 0 2628
1002 그대들은 "내 귀에 캔디"를 먹어봤는가... 2018-03-28 0 2688
1001 그대들은 "오르막길"을 톺아봤는가... 2018-03-28 0 2364
1000 그대들은 "1178"를 불러봤는가... 2018-03-27 0 2448
999 그대들은 "그 겨울의 찻집"을 아는가... 2018-03-27 0 2412
998 그대들은 "총맞은것처럼" 아파봤는가... 2018-03-27 0 2750
997 그대들은 "빨간 맛"을 맛보았는가... 2018-03-27 0 2428
996 "보이지 않는것도 있는거야"... 2018-03-27 0 2541
995 "새는 하느님이 만든 가장 고운 악기"... 2018-03-24 0 4446
994 "응아 하면, 엄마 얼굴엔 웃음꽃 피지요"... 2018-03-23 0 2573
993 "골목대장이 된 바람" 2018-03-22 0 2482
992 "아가는 생살을 찢고 열달 은총의 문 나서다"... 2018-03-22 0 2604
991 다리를 천천히 건너는 사람과 다리를 발빨리 건너는 사람 2018-03-20 0 2443
990 [작문써클선생님께] - "과학동시"를 어떻게 쓸가ㅠ... 2018-03-19 0 4554
989 "어머니는 모든것을 둥글게 하는 버릇이 있다"... 2018-03-19 0 2544
988 [작문써클선생님께] - 산문시를 어떻게 쓸가ㅠ... 2018-03-19 0 4750
987 미국 시인 - 맥스 어맨 2018-03-19 0 3948
986 {장시} - 강천 려행 떠난 바람 이야기 / 박문희 2018-03-18 0 2655
985 <하늘> 시모음 2018-03-14 0 2387
984 산문시와 러시아 문호 뚜르게네프 2018-03-14 0 2608
983 "겨울이 왔으니 봄도 멀지 않으리"... 2018-03-13 0 2629
982 한편의 가사를 위해 2만편의 시를 쓰다... 2018-03-10 0 4008
981 "나는 너의 심장소리를 듣는다"... 2018-03-10 0 2318
980 노르웨이(스웨덴) 초현실주의 사진작가 - 에릭 요한슨 2018-03-07 0 7344
979 "얘야, 그건 날개가 아니란다"... 2018-03-07 0 3473
978 "백만장자 되는것보다 문맹의 인디언이 되는게 낫다"... 2018-03-06 0 2463
977 "보리밥방귀", 뿡, 뽕, 빵 그립다... 2018-03-05 0 3640
976 {자료} - 우리 조선민족 시단은 다원화 창작으로... 2018-03-04 0 2532
975 {자료} - 우리 조선민족의 시단에 귀한 시인들 있는한... 2018-03-04 0 2254
974 {자료} - 우리 조선민족의 문학의 희망적 사항은... 2018-03-04 0 1976
973 [동네방네] - 독립운동가 문사 송몽규는 죽지 않았다... 2018-03-04 0 3111
972 <고난> 시모음 2018-03-04 0 2706
971 <탐욕> 시모음 2018-03-04 0 4027
‹처음  이전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