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4월 2025 >>
  12345
6789101112
13141516171819
20212223242526
27282930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詩人 대학교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눈(1)
2018년 10월 30일 00시 38분  조회:3481  추천:0  작성자: 죽림

눈 -윤동주.

 

지난밤에 
눈이 소오복이 왔네

지붕이랑 
길이랑 밭이랑 
추워 한다고 
덮어주는 이불인가바 

그러기에 
추운 겨울에만 나리지

 

분명 시의 배경은 한 겨울인데 마음이 따뜻해지는 시입니다.

너무나 매서웠던 추위도 이제 점점 멀어지고 있는~

윤동주님의 따뜻한 시 한편 읽으며 봄을 기다려봅니다~


====================///

 

 

 

 

 

- 윤동주

 

 

 

지난밤에

눈이 소ㅡ복이 왔네

 

지붕이랑

길이랑 밭이랑

추워한다고

덮어주는 이불인가 봐

 

그러기에

추운 겨울에만 나리지

 

**********************************************************

윤동주 시인의 글은 무척이나 암울하고 무겁기도하지만 이 '눈'은 마치 어린아이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보는 듯한 시각이 보입니다.

시대의 어두움을 항상 마음의 그림자로 삼고 살다가 간 '윤동주'에게 이런 순진한 어린 꼬마의

모습이 비쳐지는 것이 조금 새삼스럽게 생각됩니다.

 


===============///


만주의 12월 ‘지난 밤’은 누군가 죽지 않았을까

염려스러운 을씨년스러운 밤이다.

그런 밤에 내리는 눈이란 모든 사물을 얼려버리는,

생명을 죽여버리는 적대적 대상이다.

그런데 윤동주는 악한으로 상징될 눈을

‘소복이 왔네’라고 표현한다.

싸늘한 ‘지난 밤’에

‘지붕이랑 길이랑 밭’을 이불같은 눈이 덮는다.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1570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1410 윤동주는 왜... 2019-09-17 0 3063
1409 에드윈 마크햄 - "원" 2019-09-16 0 3287
1408 [시공부] - ... 2019-08-04 0 2777
1407 [시공부] - ... 2019-08-04 0 2948
1406 시는 무용이다... 2019-07-09 0 3008
1405 [그것이 알고싶다] - 백서 "도덕경" 2019-06-29 0 4175
1404 [문단소식] - 림금산시인 "달을 만나고" 시집 낳다 ... 2019-06-16 0 2988
1403 100년 뒤... 뒤...뒤... 2019-05-26 0 3447
1402 [평, 評, 평, 評] - 작품과 상과 인간과 그리고... 2019-05-13 0 3418
1401 윤동주를 알리는 골수팬 일본인- 야스코 2019-04-23 0 3545
1400 시를 암송하면 삶이 더 즐겁다... 2019-04-23 0 3253
1399 "또 다른 고향"을 찾아가는 미완의 려정... 2019-04-23 0 3811
1398 인도주의는 윤동주 시인이 이 땅에 심은 자산입니다... 2019-03-23 0 3588
1397 윤동주, 그는 절대로 "문약한" 학생이 아니었다... 2019-03-23 0 3568
1396 시인은 떠났어도 희망은 "낡지 않"았다... 2019-03-07 0 3810
1395 [그것이 알고싶다] - "옥중가"와 100여년... 2019-03-02 0 3406
1394 "한글, 이번에는 제가 배울 차례입니다"... 2019-02-16 0 3796
1393 [동네방네] - "윤동주", 실시간 알리기... 2019-02-16 0 3702
1392 [명작 쟁명] - 프랑스 작가 알퐁스 도데 "마지막 수업" 2019-02-15 0 4890
1391 "풀꽃" 2019-02-06 0 3585
1390 윤동주 시 또 중국어로 번역되다... 2019-01-27 0 4614
1389 윤동주와 "아리랑" 2019-01-27 0 3876
1388 윤동주와 명동, 룡정, 평양, 서울, 도쿄, 교토... 2019-01-24 0 3612
1387 윤동주 시를 지켜준것은 "우정"이였다... 2019-01-24 1 3376
1386 윤동주 유고 시집과 시인 정지용 "서문", 친구 강처중 "발문"... 2019-01-24 0 3780
1385 윤동주 시집과 여러 사람들... 2019-01-24 0 3757
1384 윤동주 시집 원 제목은 "병원"이였다... 2019-01-24 0 4334
1383 정지용과 윤동주 2019-01-24 0 3814
1382 윤동주는 시를 들고 일제와 싸웠다... 2019-01-22 0 3820
1381 서시(윤동주)를 리해하기...3 2019-01-22 0 3364
1380 서시(윤동주)를 리해하기...2 2019-01-22 0 3983
1379 서시(윤동주)를 리해하기...1 2019-01-22 0 3180
1378 "서시" 일본어 번역본에 오류가 있다??? 2019-01-22 1 4804
1377 서시(윤동주)와 서시 영어 번역본 2019-01-22 0 5842
1376 [매일(끝)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서시 2019-01-22 0 4099
1375 윤동주와 친구 강처중 "발문" 2019-01-20 0 3943
1374 윤동주와 정지용 2019-01-20 0 3561
1373 윤동주, 시 한수가 씌여지기까지... 2019-01-20 0 3256
1372 {자료} - 윤동주 시의 무궁무진한 힘과 그 가치... 2019-01-20 0 3529
1371 연세대의 건물들은 기억하고 있다... 2019-01-20 0 4173
‹처음  이전 1 2 3 4 5 6 7 8 9 10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