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영상 뉴스
"질투는 나의 힘" 영화 제목으로 잘 알려진 이 문구는 시인 기형도의 시에서 비롯됐지요. 시는 이렇게 끝납니다. '나의 생은 미친 듯이 사랑을 찾아 헤매었으나 단 한 번도 스스로를 사랑하지 않았노라.' 30년 전 오늘(7일) 기형도 시인은 29살 나이에 세상을 떠났습니다.
강나현 기자입니다.
[기자]
이젠 아무런 일도 일어날 수 없으리라.
그러나 언제부턴가 아무 때나 나는 눈물 흘리지 않는다.
- '희망' 기형도
세상을 떠난 날 시인 기형도가 남긴 가방 속 원고뭉치에 담겼던 시는 영화속에서도 불려집니다.
그 시를 모아, 한 권의 시집이 남았고, 여전히 너무나 많은 이의 가슴을 시리게 합니다.
[장옥순 여사/기형도 시인 어머니 (2015년) : 열무 삼십 단을 이고 시장에 간 우리 엄마 안 오시네. 해는 시든지 오래…]
- '엄마 걱정' 기형도
어릴 때부터 글 쓰기를 행복으로 알던 시인은 신문사 기자가 된 이듬해인 1985년 신춘문예에 당선됐습니다.
하지만 29살이던 1989년 세상을 떠났습니다.
삶은 갑작스레 멈춰섰지만 글은 남았습니다.
한없이 쓸쓸하고, 깊은 고독을 이야기하는 듯하지만 버릴 수 없는 한 자락 희망은 시대를 넘나들며 청춘들을 위로했습니다.
[이광호/문학평론가 : 영원한 청춘의 초상이기 때문에 늘 젊은 친구들은 기형도의 시를 일종의 젊음의 통과의례처럼 읽게 된다는 것이고요.]
시인이 떠난 지 30년, 시간이 지나도 그가 남긴 시는 낡지 않은 채 지금 여기, 우리의 이야기로 남았습니다.
(화면제공 : 기형도 문학관·문학과지성사)
/강나현 //[영상취재: 정철원 / 영상편집: 김동훈]
===//////////////////////////////////////////////////////////===
'거리의 상상력'
|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