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4월 2025 >>
  12345
6789101112
13141516171819
20212223242526
27282930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詩人 대학교

윤동주 시 리해돕기와 "능금"
2018년 09월 06일 23시 33분  조회:4218  추천:0  작성자: 죽림

 
분류 속씨식물 > 쌍떡잎식물강 > 장미목 > 장미과 > 사과나무속
원산지 아시아 (대한민국,중국)
서식지 화강암계, 화강편마암계, 변성퇴적암계, 경상계 등의 토질
크기 약 10m
학명 Malus asiatica
꽃말 은화, 참애호자

요약 장미과에 속하는 낙엽교목.

 
능금나무(Malus aslatica)
능금나무(Malus aslatica)

ⓒ Łukasz Szczurowski/wikipedia | CC BY-SA 3.0

키는 10m 정도이며 어린가지에는 털이 많이 달려 있다. 잎은 난형 또는 타원형이고 어긋나며 잎가장자리에는 조그만 톱니가 있다. 꽃은 5월에 분홍색으로 피고 꽃잎과 꽃받침은 각각 5장이며 꽃받침은 뒤로 젖혀진다. 암술대 밑에는 털이 나 있다. 사과처럼 생긴 둥그런 열매는 8~10월에 노란빛이 도는 붉은색으로 익으며 겉에는 하얀 가루가 묻어 있다.

사과나무와 비슷하나 사과나무는 꽃받침 밑부분이 열매가 맺힐 때 혹처럼 커지지 않는 반면에 능금은 혹처럼 두드러지게 커진다. 경기도·황해도에서 마을 주변에 흔히 심고 그 열매를 먹어왔으나 외국에서 들어온 사과에 밀려 지금은 거의 심지 않고 있다.

능금이란 이름은 임금에서 나온 것으로, 전설에 따르면 임금은 왕을 뜻하는 임금과 똑같이 읽혀지므로 아마도 고귀한 과일이라고 생각되어 고려 때 수도인 개성에 능금 심는 것을 장려했고, 조선시대에 태조가 한양을 수도로 정하면서 역시 능금 심는 것을 장려했다고 한다. 사과보다는 열매가 작고 시며 떫은 맛이 난다.









 
분류 장미과
성격 식물, 나무, 과일
유형 동식물
크기 높이 10m
학명 Malus asiatica NAKAI
분야 과학/식물
개화기 5월

요약 장미과에 속하는 낙엽활엽소교목.

 

내용

학명은 Malus asiatica NAKAI이다. 우리나라 야생의 사과나무로 서울 자하문 밖과 강원도·황해도의 표고 100∼700m에서 자생한다.

나무의 높이는 10m에 달한다. 잎은 어긋나며 타원형이고 뒷면에 면모(綿毛)가 있으며, 가장자리에 잔 톱니가 있다. 엽병(葉柄)은 길이 1∼4㎝로서 털이 있다.

꽃은 양성(兩性)으로 5월에 피고, 짧은 가지에 우산모양으로 달린다. 소화경(小花梗)은 길이 1.8∼2.8㎝로서 털이 있다. 꽃잎은 다섯 개로 연한 홍색의 타원형이고, 수술은 5∼10㎜이며, 암술대는 5개로서 밑부분이 합쳐지며 털이 있다. 꽃받침의 밑부분이 혹처럼 부푼 것이 사과나무와 다르고, 열매는 지름 4.0∼5.5㎝로서 10월에 황홍색으로 익으며 겉에 하얀 가루가 덮여 있다.

전국 어디서나 잘 자라는 양수(陽樹)로서 음지에서는 개화결실이 불량하고, 바닷가에서는 피해를 입는다. 내건성(耐乾性: 가뭄에 견디는 성질)은 약하나 대기오염에 대한 저항성은 강하다.

줄기는 직립하여 원추형의 나무모양을 이루고 가지는 홍갈색이다. 봄에 피는 연분홍색 화사한 꽃은 아름답고, 가을에 무르익는 탐스러운 주홍색의 능금은 우리 고유의 참사과라 할 수 있다. 그러므로 우리 선조들이 가꾸어 온 재래종의 특산 과수로서, 유전자를 잘 보전하여야 할 것이다.

가을에 종자를 채취하여 노천에 매장하였다가 봄에 파종하거나, 확실한 품종을 얻으려면 아그배나무나 야광나무를 대목으로 하여 접목하여야 한다. 열매에 달린 꽃받침 밑부분이 혹처럼 되지 않은 것을 사과라 한다.

=====================///

 

綾衾능금

①무늬가 있는 비단(緋緞) 이불  
②무늬가 있는 비단(緋緞)으로 바른 미닫이

 

沙果사과

사과(沙果ㆍ砂果)나무의 열매.
-비타민 C가 풍부(豐富)하며, 신맛ㆍ단맛이 있음.

세는 단위(單位)는 개ㆍ알ㆍ접(100개)

 

능금1[능금]

[명사]

1.능금나무의 열매. 사과와 비슷한 모양이지만 훨씬 작다.

2.‘사과(사과나무의 열매)’의 잘못.

유의어 : 사과


 

능금2 (綾衾)

[명사]

1.무늬가 있는 비단 이불.

2.무늬가 있는 비단으로 바른 미닫이.

==========================///
 

 

능금은 능금나무의 열매로, 지름이 4∼5.5cm이며
10월에 노란빛을 띤 붉은 색으로 익고 겉에 흰 가루가 덮여 있습니다.

 

크기가 골프공보다 작거나 비슷하고,맛은 새콤달콤합니다.

 

사과보다 작고 지금의 사과의 원형이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이 능금을 품종 개량해서 많은 사과들이 만들어졌습니다.

 

지금 우리들이 먹는 것은 사과입니다.

 

능금은 작고 상품성이 없기 때문에 넓은 범위로 따로 재배하지는 않습니다.

 

주로 분재로 이용되거나, 관상수나 가로수로 심습니다.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1570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770 하늘은 시간의 진리가 투사되는 진실의 장소이다... 2017-10-10 0 2606
769 "시계초침이 거꾸로 돌고 돈다"... 2017-10-09 0 2465
768 시창작에서나 시감상에서나 모두 고정관념 틀을 깨버리는것 2017-10-09 0 2468
767 시인은 시를 천연덕스럽게 표현할줄 알아야... 2017-10-09 0 3329
766 난해함을 극복하는 가장 좋은 방법은 익숙해지기... 2017-10-09 0 3625
765 대추 한알속에 태풍 몇개, 천둥 몇개, 벼락 몇개... 2017-10-09 0 3839
764 "시계들이 날개를 활짝 펴고 0시의 바깥세계로 날아간다"... 2017-10-09 0 2172
763 "우리 한글이야말로 시를 위한 최적의 언어입니다"... 2017-10-09 0 2361
762 "글자들이 권총을 쏜다"... 2017-10-09 0 2448
761 문학은 국경과 언어의 장벽을 넘어서 인간성을 써라... 2017-10-07 0 2564
760 올해 노벨문학상 주인 나타나다... 2017-10-07 0 2295
759 고향에서 들었던 소리가 음악을 낳다... 2017-10-06 0 2191
758 [고향문단소식] - 룡정엔 문사 - 송몽규 고택과 유택이 있다... 2017-10-02 0 2281
757 윤동주 = "병원" = "하늘과 바람과 별과 詩" 2017-10-01 0 2830
756 불멸의 시인 - 윤동주와 불멸의 문사 - 송몽규의 판결문 2017-09-30 0 2955
755 윤동주네 기숙사에는 "팔도 사투리"가 욱실욱실하였다... 2017-09-30 0 2217
754 불멸의 문사 - 송몽규를 재다시 알아보기... 2017-09-30 0 3400
753 일본 포스트모던 시인 - 테라야마 슈우시 2017-09-27 0 2065
752 [이런저런] -마광수님, 인젠 님과의 인터뷰를 지옥에가 할가ㅠ 2017-09-26 0 2410
751 글을 개성적으로 쉽게 쓰는데 목표를 두고 열심히 습작하기... 2017-09-26 0 2190
750 마광수님의 "윤동주연구" = 한국 최초 "윤동주 시 장편논문" 2017-09-26 0 2180
749 동시를 "하이퍼"로 써도 됨둥... 아니 됨둥(ㄹ)... 2017-09-24 0 2205
748 "무슨 귀신 씨나락 까먹는 소리냐고요"?!... 2017-09-22 0 2106
747 "나는 가끔 주머니를 어머니로 읽는다"... 2017-09-22 0 2012
746 러시아 시인 - 네크라소프 2017-09-22 0 3642
745 마광수님, "창조적 불복종"때문에 저세상 길 택했을가... 2017-09-21 0 2364
744 마광수님, 력사앞에서 님의 "문단유사" 알아보기 2017-09-21 0 2479
743 마광수님, 오늘도 이 시지기-죽림은 님땜에 잠을 설칩니다... 2017-09-21 0 2175
742 "시계란 시계는 다 오후 다섯시였다"... 2017-09-20 0 2092
741 동시를 "하이퍼"로 써도 됨둥... 아니 됨둥(ㄷ)... 2017-09-19 0 2337
740 마광수님, 사라는 "사라"땜에 님께서 등천길 가신걸 알가ㅠ... 2017-09-19 0 2645
739 시가 언어이지만 시인은 그 언어의 장벽을 넘어설줄 알아야... 2017-09-19 0 2695
738 시는 메마르고 거친 세상을 뛰여넘는 행위예술이다.. 2017-09-19 0 2085
737 음유시인은 그 누구도 길들일수 없는 짐승이며 악마라고?!... 2017-09-17 0 2158
736 프랑스 음유시인 - 조르주 무스타키 2017-09-17 0 2169
735 반전을 노래한 음유시인- '밥 딜런' 대표곡 2017-09-17 0 3316
734 [시문학소사전] - "음유시가"란?... 2017-09-17 0 3460
733 섬과 파도 2017-09-17 0 2150
732 미국 시인, 환경운동가 - 게리 스나이더 2017-09-17 0 2549
731 시를 쓰는데는 음악과 그림이 아주 많이 도움이 된다... 2017-09-16 0 2028
‹처음  이전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