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4월 2025 >>
  12345
6789101112
13141516171819
20212223242526
27282930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詩人 대학교

푸른 빛 / 주자청
2018년 04월 16일 00시 51분  조회:2653  추천:0  작성자: 죽림
 

                 푸  른   빛

                    綠

 

 

                                                주 자 청

 

 

 

 두 번째로 선암仙岩에 갔을 때, 나는 매우담梅雨潭의 푸르름에 경탄 하였다. 매우담은 하나의 폭포였다. 선암에는 세 개의 폭포가 있는데, 그 가운데 매우담이 가장 낮은 곳에 있다. 산에 오르면 이내 콸콸거리는 물소리가 들린다. 고개를 들면 양쪽의 축축한 어둠을 뚫고 흐르는 하얗게 빛나는 물줄기가 눈앞에 펼쳐진다.

 

 우리는 먼저 매우정에 올랐다. 매우정은 폭포와 마주보고 있어 정자에 앉으면 고개를 들 필요 없이 바로 폭포 전체가 보인다. 정자 아래로 매우 깊숙한 곳이 매우담이다. 이 정자는 밖으로 툭 튀어나온 편편한 바위덩이 한쪽 귀퉁이에 자리 잡고 있다. 그 형상이 마치 날개를 활짝 편 한 마리의 매가 하늘에 떠있는 것 같다. 삼면이 모두 산으로 둥근 옥처럼 둘러싸여 있어 우리는 마치 우물 안에 와 있는 느낌이다. 세털 구름 몇 자락이 우리 머리 위로 떠있고, 바위와 풀숲은 축축한 습기가 감도는 푸르름 속에서 싱그러움만 더해 간다.

 

 폭포 소리 또한 매우 우렁차다. 그 폭포가 크고 작은 몇 갈래의 물줄기로 흩어지며 아래로 떨어지는 모양은 더 이상 한결같이 평평하게 미끄러지는 물이 아니었다. 폭포수는 뾰쪽한 바위 모서리와 부딪칠 때마다 세찬 충격으로 꽃이 흩날리듯 옥이 부서지듯 어지러이 뿌려 날린다. 사방으로 튕겨 오르는 물보라는 아득히 반짝이며 빛난다. 멀리서 보면 마치 하얀 매화꽃이 송이송이 가랑비처럼 계속해서 떨어지는 것 같다.

 매우담이 유명해진 까닭이 바로 이러한 장관 때문이다. 그러나 나는 매화보다는 버들강아지가 더 적절하다고 본다. 바람이 솔솔 불어오면 바람에 날려 흩어지는 버들강아지. 순간 우연히 날아온 버들강아지는 우리의 따뜻한 가슴속으로 파고들지만 다시 찾아 볼 수 없다.

 매우담의 번쩍번쩍 빛나는 푸르름이 우리를 부른다. 우리는 잠깐 나타났다가 사라지는 그 눈부신 빛을 쫓아가기 시작했다. 풀숲을 헤치고 험난한 바위를 기어오르며 조심스럽게 살펴간다. 몸을 굽혀 석궁문石穹門을 지나 물이 깊고 푸른 연못가에 다다랐다. 폭포가 바로 눈앞에 있지만 내 마음속에 들어오지 않는다. 연못의 푸르름이 마음의 동요를 일으킨다.

 아, 사람의 마음을 도취시키는 푸르름이여 ! 그것은 마치 커다란 연잎을 깔아놓은 듯 신비함이 가득한 푸르름이었다. 나는 두 팔을 크게 벌려 안아보고 싶지만 한낱 헛된 생각에 지나지 않는다.

 

 물가에 앉아 폭포 쪽을 바라보니 의외로 멀리 있는 느낌이다. 이렇게 고르게 펼쳐 있으면서 겹겹이 쌓여있는 푸르름이 너무도 사랑스럽기만 하다. 그 푸르름은 새색시의 치마가 살며시 끌리듯이 보일 듯 말 듯 주름 잡히고, 첫사랑에 가슴 두근거리는 처녀의 마음인 양 가만히 드러내 보인다. 또한 번지르르하게 윤기 흐르는 것이 기름을 발라 놓은 것 같다.

 그것은 달걀 흰자위처럼 부드럽고 연하여 예전에 만져보았던 곱고도 순한 피부를 연상케 한다. 티끌 한 점 없이 매끄러운 푸른 옥과도 같이 프르름 일색으로 깨끗하기만 하다. 그러나 당신은 그 아름다움을 알아차리지 못한다.

  

 나는 북경北京에서 열 군데의 사찰을 둘러본 적이 있다. 그곳 잔디나 버드나무 빛깔은 너무 옅어 누런 거위빛이나 다름없었다. 그리고 항주杭州 호포사 부근의 거대하면서도 깊고 빽빽한 ‘녹벽綠壁’을 본 적이 있다. 촘촘히 겹겹으로 끝없이 펼쳐진 새파란 풀과 푸른 잎은 또 너무 짙어 보였다. 그밖에 서호西湖의 물결은 너무 밝고, 진회하秦淮河는 또 너무 어두웠다.

 

 사랑스러움이여, 내 그대를 무엇으로 비유하리. 내 어찌 비유할 수 있으리요. 아마도 못이 깊고 그윽한 탓에 이렇듯 신비스런 푸르름을 간직할 수 있었으리라. 마치 짙은 남색 빛의 하늘 한 모퉁이를 떼어다 녹여 놓은 듯 선명하기 그지없구나.

 아 ! 사람을 도취시키는 푸르름이여 ! 내 그대를 청색 띠로 여겨 마를 수만 있다면, 나 살포시 춤추는 무녀에게 주리라. 그녀는 바람에 나부끼듯 하늘대며 춤을 추리. 내 그대를 번뜩이는 눈으로 여겨 담아갈 수 있다면, 나 노래를 잘 부르는 눈 먼 소녀에게 주리라. 그녀는 분명 밝은 눈동자로 환히 보이게 되리. 나 정말 떠나기 싫구나. 내 어찌 그대를 떠날 수 있으리.

 

 열두세 살 소녀에게 그러하듯 나 그대를 토닥거리고 어루만진다. 내 그대를 두 손으로 받들어 입에 넣으니 입맞춤하는 것이네. 그대에게 이름 하나 지어주니 ‘푸른 소녀’라고 부르면 어떨까 ?

 

 두 번째로 선암에 갔을 때, 나는 매우담의 푸르름에 경탄을 금치 못했다.

 

                                     ( 1924년 2월 8일 )

 

                           주자청朱自淸 (1898~1948) 강소성江蘇省 동해현東海縣 출생으로

                                                       북경대학 철학과졸업, 청화대학 중국문학과 교수

                                                       중국현대문학의 저명작가이며 학자.

                                                       대표작 <아버지의 뒷모습> <여인> <봄>등이 있음.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1570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690 살아있는 시는 류행에 매달리지 않고 시대를 초월한 시이다... 2017-09-02 0 2241
689 문제 시인, 유명 시인, 훌륭한 시인, 무명 시인... 2017-09-02 0 2099
688 어떤 시인들은 자기가 갖고 있는 자대를 늘 자랑하는데... ㅉㅉ 2017-09-02 0 2317
687 늘 헛시농사를 짓는 시지기는 죽을 때까지 시씨를 뿌리고지고... 2017-08-29 0 2242
686 녀성의 립장에서 쓴 시와 남성의 립장에서 쓴 시... 2017-08-28 0 2535
685 걸어온 길과 걷고 있는 길과 걸어가야 할 길... 2017-08-28 0 2179
684 시어의 보고는 비어, 속어, 사투리, 은어, 구어 곧 활어이다... 2017-08-24 0 2458
683 "이 아름다운 날들이 언제까지라도 계속되길"... 2017-08-24 0 2394
682 당신들은 아버지 사타구니를 닦아본적 있으십니까?!... 2017-08-23 0 3188
681 "님은 갔지마는 나는 님을 보내지 아니 하였습니다"... 2017-08-23 0 2567
680 시세계, 시나라 좁고 넓고 짧고 길다... 2017-08-22 0 2489
679 시는 짧은 세계, 짧은 시의 나라... 2017-08-22 0 2640
678 짧은 시의 나라, 시는 짧은 세계... 2017-08-22 0 2886
677 시를 쓴다는것은 상투적 껍질을 벗겨내는 작업이다... 2017-08-22 0 2360
676 "아버지의 성기를 노래하고싶다"... 2017-08-22 0 2688
675 "그때 사방팔방에서 저녁노을이 나를 바라보고 있었다"... 2017-08-22 0 2268
674 시는 활자화되기전, 랭정하게 다듬기에 온갖 피를 쏟으라... 2017-08-22 0 2195
673 시를 시의 나라로 던질때 진저리치며 받아주는 이, 그 누구?!... 2017-08-22 0 2289
672 시는 무의 세계, 침묵의 나라, 시다운 시여야 절에 들어가는것, 2017-08-22 0 2168
671 시는 멀리 있는것이 아니라 가까이에 살그머니 있다... 2017-08-22 0 1866
670 시속의 비밀은 모든 사람들에게 각기 다른 주파수를 준다... 2017-08-22 0 2222
669 시는 진술이 아니라 언어에 늘 새옷을 입히는 행위이다... 2017-08-22 0 2031
668 "온몸으로 불 밝히는 살구꽃나무 환하게 서서 있었다"... 2017-08-22 0 2016
667 시는 언어를 재료로 하는 예술이며 미학이지 철학은 아니다... 2017-08-22 0 2220
666 "한줄을 쓰기전에 백줄을 읽고 독파하라"... 2017-08-22 0 1953
665 시적 언어재현으로 시각적인 상(像)-이미지를 찾아 그려라... 2017-08-22 0 2114
664 "어미를 따라 잡힌 어린 게 한마리"와 군용트럭... 2017-08-21 0 2061
663 "저 모습 뒤편에는 무수한 시침이 꽂혀 있을것이다"... 2017-08-21 0 1877
662 "아, 이거 시가 되겠네"... 2017-08-21 0 1745
661 "장백산아, 이야기하라"... 2017-08-21 0 2013
660 "틀에만 얽매이지 말고 틀을 벗어나 살라"... 2017-08-21 0 2017
659 "한개 두개 세개" 동요동시야 나와 놀쟈... 2017-08-21 0 2888
658 시인은 전자아(全自我)를 대변할수 있는 화자를 발견해야... 2017-08-21 0 1997
657 "그 바보들 틈에서 노는것이 마냥 즐겁기만하다"... 2017-08-20 0 2164
656 시를 이렇게도, 저렇게도 해석할수 있는 시가 재미있는 시?!... 2017-08-20 0 2096
655 "...가실 때에는 말없이 고이 보내드리우리다"... 2017-08-19 0 1879
654 추억의 "되놀이" - 문득 "되놀이" 하고싶어짐은 또... 2017-08-18 0 2155
653 [땡... 복습시간이다...] - 중고생들 안녕하십니까... 2017-08-18 0 3348
652 [땡... 복습시간이다...]- 와- 동시를 쓰는 방법을 배워준대... 2017-08-18 0 2373
651 시적 상상력을 어떻게 구사할것인가... 2017-08-18 0 2258
‹처음  이전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