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2월 2025 >>
      1
2345678
9101112131415
16171819202122
232425262728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詩人 대학교

마음의 휴식이 필요한 요즘, 시를 감상하기..
2018년 02월 02일 02시 08분  조회:2403  추천:0  작성자: 죽림

 

 

삶은 소유물이 아니라 순간순간의 있음이다.

영원한 것이 어디 있는가. 모두가 한때일 뿐,

그러나

그 한때를 최선을 다해 최대한으로 살 수 있어야 한다.

삶은 놀라운 신비요,아름다움이다 .

 

-버리고 떠나기 중에서 -

-----------------------------------------

 

 

기형도의 삶과 문학ㆍ그로테스크

 

|딱딱한 태양

시인으로서의 기형도의 힘은 그가 가난과 이별을 체험을 했다는 데 있는 것이 아니라, 그 체험에서 의미 있는 하나의 미학을 이끌어냈다는 데 있다

그 의미 있는 미학에 나는 크로테스크grotesque 리얼리즘이라는 이름을 붙여주고 싶다

이것은 그로테스크한 의미지들로 시를 만드는 것을 뜻하지 않는다

물론 그것은 일상 생활에서 보기 힘든 괴이한, 부정적 이미지들을 지칭할 수도 있다

그렇지만 그것만을 지칭하지는 않는다

가령, 기형도의 시에 나오는,

 

"어떤 날은 두꺼운 공중의 종잇장 위에

노랗고 딱딱한 태양이 걸릴 때까지"

비유하는 이미지나,

 

"청년들은 톱밥같이 쓸쓸해 보인다"

서로 엉키지 못하는 젊은이들의 비연대성을 보여주는 이미지나,

 

"하늘은 딱딱한 널빤지처럼 떠 있다"

에서 딱딱함이라는 의미소 주변으로 모인다 하더라도, 그것 때문에 그의 시가 그로테스크한 것은 아니다

그의 시가 그로테스크한 것은, 그런 괴이한 이미지들 속에, 뒤에, 아니 밑에, 타인들과의 소통이 불가능해져, 자신 속에서 암종처럼 자라나는 죽음을 바라다보는 개별자, 갇힌 개별자의 비극적 모습이, 마치 무덤 속의 시체처럼 뚜렷하게 드러나 있다는 데에 있다

시인은 우선 그의 모든 꿈이 망가져 있음을 깨닫는다

가난과 이별은 그 망가진 꿈의 완강한 배경 그림이다

꿈의 환멸은 삶을 "하찮은 문장 위에 찍힌/방점과도 같은"것으로 느끼게 한다

하찮은 문장 위에 찍힌 방점! 책 읽기와 잘못 강조된 삶의 교묘한 삼투

그래서 시인은 자기가 이미 늙었자고 느낀다

그에게 남은 것은 죽음뿐이다

그러나 그는 열심히 살려고 한다

 

"오랫동안 나는 곰팡이 피어

나는 어둡고 축축한 세계에서"

어떻게 살아야 하는지 알 수 없다

진눈깨비처럼 나는 곧 사라질 것이라는 생각에 집요하게 시달린다

"진눈깨비 쏟아진다

갑자기 눈물이 흐른다, 나는 불행하다/이런 것은 아니었다, 나는 일생 몫의 경험을 다했다, 진눈깨비"

이 도저한 자기 인식은, 젊어서 이미 지나치게 늙어버린 희귀하게 예민한 사람의 자기 인식이다

 

"나무들은 그리고 황폐한 내부를 숨기기 위해/크고 넓은 이파리들을 가득 피워냈다/나는 어디로 가는 것읽ㆍ, 돌아갈 수조차 없이/이제는 너무 멀리 떠새려온 이 길/나를 찾지 말라"

그러면서도 그는 계속 쓴다

글쓰기에 대한 이 미친 듯한 정열

그것이 우울한 정열이라는 것을 알면서도 그는 쓴다

 

"내 희망을 감시해온 불안의 짐짝들에게 나는 쓴다/이 누추한 육체 속에 얼마든지 머물다 가시라고/모든 길들이 흘러온다, 나는 이미 늙은 것이다《정거장에서의 충고》"

이미 늙은 시인에게 남은 것은 죽음뿐이다

 

"나와 죽음은 서로를 지배하는 각자의 꿈이"된다

죽음만이 망가져 있지 않은 시인의 유일한 꿈이다

 

기형도의 시가 아주 극단적인 비극적 세게관의 표현이라고 보고 있다

그의 시가 보여주는 부정성을 그 이전에 보여준 시인은 그리 많지 않다

아무리 비극적인 세계관에 침윤되어 있더라도, 대부분의 시인들은 낙관적인 미래 전망의 흔적을 보여준다

(김현, 문학평론가/1989)

 

나는 미래를 차단시킨 사람이 과거에 집착하는 모습을 기형도 시와 관련시켜 보고자 한다

시에서 "이미 늙었다"는 말을 자주 하는 데, 작품 속의 화자는 분명히 청년의 얼굴을 하고 있는데, 그의 입에서는 자신이 "늙었다"라는 것이다

늙었음을 강조하는 것은 인생의 비밀을 그가 젊은 나이에 벌써 다 알아버렸다는 의미도 될 것이고, 따라서 생에 대한 의욕이 더는 없다는 의미도 될 것이다

그러나 중요한 것은 그의 정신이 미래를 지향하고 있지 않다는 사실이다

미래를 생의 도표에서 차단시킨 사람에게 남는 것은 과거뿐이려니와 과거만이 누군가의 생을 지배한다는 것은 바로 지금이 이 시점이 그에게는 생이 마지막 지점과 다르지 않다는 의미가 된다

(정효구, 문학평론가/1992)

 

|아름다움

기형도나 벤야민이나 그들이 말하고자 했던 아름다움이란 '자신의 언어로 빚어낸 세계에서 괴로워하는 권리'같은 것(김경주)

 

《포도밭 묘지2》의 "이곳에서 너희가 완전히 불행해질 수 없는 이유는 신이 우리에게 괴로워할 권리를 스스로 사들이는 법을 아름다움이라 가르쳤기 때문이다"라는 구절을 기형도 시의 미학을 잘 보여주는 핵심적인 구절

(하재연)

 

그는 한때 시 쓰기란 말할 수 없는 것에 관해 말해야 하는 '불행한 쾌락'이라고 말했으니까(박해현)

 

가장 행복한 독자는 자기가 좋아하는 시인을 한 번도 만난 적이 없는 독자다

시인에 대한 이미지가 깨지는 것은 둘째 문제다

시인과 대화를 나누었거나, 시 낭송을 들었다면 그때부터 낭패다

그때부터 그 시인의 시를 자기 방식으로 읽기가 어려워진다 (이문재)

 

 

|저녁 풍경

"망자의 혀가 거리에 흘러넘치는"(《입 속의 검은 잎》) 서울이 두렵고 지겹고 힘겨운 사업살이에서 도망쳐 호수로 피난 온다

그러고는 하릴없이 물가에 앉아 이따금 불어오는 바람의 전언을 경청하고 노을에 비낀 붉은 구름 떼와 푸른 호수 물결과 무성한 나뭇잎들이 어울리는 고즈넉한 저녁 풍경에 잠기곤 한다

노을이 지면, 사치와 환락을 뽐내는 공원 앞 빌딩들의 이마엔 저마다 형형색색의 현란한 네온 불빛들이 켜지는 것인데, 그 번들데는 욕망의 빛들은 저 자신을 주체 쉼 없이 호수 속으로 무자맥질한다

인적이 뜸해진 밤이 오면, 풀벌레 소리 소소한 호숫가엔 낯선 가난한 혼령들의 허덕임 소리 조금씩 들려오고, 나는 한밤의 호숫가에서 "저 공중의 욕망은 어둠을 지치도록 내버려두지 않고 종교는 아직도 지상에서 헤매"(《포도밭 묘지2》)고 있음을 본다(임우기)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1570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50 시의 초보자들이 개척해야 할 부분은 시를 극적으로 쓰는것... 2016-12-20 0 2973
49 시는 "부서진, 흩어진, 주인이 없는, 부르다가 죽은" 령혼찾기. 2016-12-19 0 2796
48 [시문학소사전] - 자동기술법과 의식의 흐름기법 2016-12-18 0 6193
47 [시문학소사전] - 자동기술법이란? 2016-12-18 0 5026
46 시의 기원은 노래... 2016-12-18 0 4010
45 시 = "최초의 궁리" + "가장 오래한 궁리" 2016-12-18 0 3795
44 [시문학소사전] - 중국 현대시 류파에 관하여 2016-12-16 0 2821
43 문학을 일상생활속에서 이어가는 삶은 아름답다... 2016-12-15 0 2489
42 시가 세상을 외면...??? 세상이 시를 외면...??? 2016-12-15 0 3030
41 문학은 싸구려 련애질의 방패가 옳다?... 아니다!... 2016-12-15 0 4156
40 소네트와 세익스피어 2016-12-14 0 3319
39 [시문학소사전] - 소네트란? 2016-12-14 0 4287
38 [시문학소사전] - 랑만주의란?... 2016-12-14 0 3956
37 영국 랑만주의 시인 - 퍼시 비시 셸리 2016-12-14 0 6482
36 신문기자 총편 출신 박문희선생 詩배우고 발표까지 하다... 2016-12-14 0 2547
35 글쓰기는 고역의 고역을 치루어야 좋은 작품이 탄생된다... 2016-12-13 0 2629
34 시는 "깨달음"의 "사고묶음"이여야... 2016-12-13 0 2702
33 이 책은 책이 아니다와 이 책은 보물창고다와의 시적미학 2016-12-12 0 2590
32 <농부> 시모음 2016-12-12 0 2872
31 시작은 시작으로서의 "남다른 시작의 길"을 모색해야... 2016-12-12 0 2706
30 시는 "나만의 스타일"로 쓰라... 2016-12-12 0 2669
29 시작은 모든 것이 늘 "치밀하고 + 치렬하게" 해야... 2016-12-12 0 2596
28 시작할 때 "화학조미료"같은 관념어 절대 "반입금지 명령"!... 2016-12-12 0 2859
27 시작할 때 스토리는 잇어지고 한가지 이야기만 하라... 2016-12-12 0 2855
26 "엉뚱한 생각" + "살짝 맛 간 시인" +... = 좋은 시 빚기 2016-12-12 0 2870
25 상상 + 더 깊은 상상...+... = 좋은 시 빚기 2016-12-12 0 2601
24 시는 류행가 가사가 옳다?... 아니다!... 2016-12-12 0 2534
23 시를 "감춤"과 "드러냄"의 사이에서 맛갈스레 빚어야... 2016-12-12 0 2421
22 시인은 늘 예민한 촉수로 훌륭한 시를 빚기 위해 정진해야... 2016-12-12 0 2550
21 시쓰기는 "참 나를 찾고자"하는 고행이다... 2016-12-12 0 2542
20 시인도 "완전무장"을 해야 좋은 시를 쓸수 있다... 2016-12-12 0 2574
19 "썩을 놈! 어떻게 요런 시를 다 썼을깜?!..." 2016-12-11 0 2777
18 시작은 "가장 쉬운 말로, 최대한 짧게, 가장 깊은 울림"으로... 2016-12-11 0 2541
17 누가 뭐라고 해도 시는 시인이 쓰는것... 2016-12-11 0 2628
16 참 시인 되자면... 2016-12-11 0 2634
15 시 "승무"를 삭히는데 3년이나 걸리다... 2016-12-11 0 2373
14 <술> 시모음 2016-12-11 0 2526
13 [시문학소사전] - 실존주의란?... 2016-12-11 0 4491
12 詩作 잘하기와 관찰 잘하기... 2016-12-10 0 2922
11 詩人은 관찰력과 상상력이 진부해서는 절대 안된다... 2016-12-09 0 2475
‹처음  이전 34 35 36 37 38 39 40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