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보물 + 뒷간
나침반 보는 방법
일상생활에서 사용하시는건 수평을 유지한 상태에서 그냥 보면 되죠. N이라고 쓰인 바늘이 북쪽을 향하고, S라 쓰인 바늘이 남쪽을 가리키니까요.
독도용 나침반의 경우 뚜껑을 열고 가늠자를 세운후 가늠자의 홈과 뚜껑에 달린 실을 목표물과 일치 시켜요. (나침반을 수평으로 든 상태에서 나침반을 눈앞에 두고 가늠자의 홈 가운데에 실이 오도록 맞춰요. 이상태에서 방향을 조절하여 목표물과 실, 가늠자가 겹쳐보이게하면 되요) 그리고 가늠자에 달린 구명(렌즈가 달려있기도 해요)으로 나침반에 적힌 방위를 읽으면 되요.
이걸 좀더 정확히 사용하려면 독도법을 배워야 해요.간단히 말씀 드리면 ......
1.지도를 평평한곳에 편다.
2. 지도상의 자북과 나침반을 일치시킨다. -지도 구석에 별모양이나 4자 모양으로 방향이 표시되 있어요. 별에 N이라고 쓰인방향이나 4자의 위 꼭지점이 북쪽이죠.이 세로선에 나침반 옆면 의 직선인 모서리를 맞춘후 지도를 돌려서 정확한 방위를 맞춰요. 이렇게 하면 실제 지형지물과 지도가 닮은꼴이 되죠)
3. 현위치를 확인한다. -2 개 이상의 지도상 확인 가능한 목표물의 방위를 측정하고 지도상에 목표로부터 각도계로 각을 제어 작도(선긋기)하여 2선이 교차하는곳이 현재 내 위치
4. 지도상에서 현위치로부터 목적지까지의 각도와 거리를 잰다.
5. 축척을 이용하여 거리를 환산하고, 나침반으로 방향을 확인한다. -축척이란 지형을 줄인 비율로써. 예를들어 10m의 거리를 지도상에 1Cm로 표기하면 1/1000이라고 표기하죠. 방향 확인은 지도상 현위치와 목적지 사이의 선과 남북 방향사이의 각을 각도기로 측정하고 그 각도만큼 나침판 을 돌려 가리키는 방향을 확인하면 되요(각이 북쪽에서 동쪽으로 20도라면 나침반의 N 바늘이 좌측으로 20도만큼 돌아가게 조절하면 나침반이 향하는 방향이 목적기, 보다 정확하게 하려면 실과 가늠자를 이용하세요) 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북 서 4 동 남
|
East - 동쪽
West - 서쪽
South - 남쪽
North - 북쪽
나침반 보는 방법으로는 나침반을
평평한 곳에 놓기 전
바늘이 N으로 향하게 맞춘 뒤
보는거라고 하네요~
그렇게
북쪽으로 향해 있을 때
왼쪽이 서쪽 ,
오른쪽이 동쪽으로 보고
방향을 확인하시면 됩니다!
◈ 막대기 그림자를 이용
나침반이 없어도 그림자가 생길 정도의 햇볕이 있으면 그 그림자로 방향을 알 수 있다.
① 먼저 그림자가 뚜렷하게 보이도록 지면을 판판하게 한 다음, 1m 길이의 막대기를 세운다. 정확한 수직이 아니라도 좋다.
② 막대기를 세운 뒤, 그림자의 끝부분에 표시를 한다. 표시 방법으로는 작은 돌이나 나뭇가지를 이용해도 되고 땅에 그려도 된다. 또 눈이 덮여 있으면 손가락으로 눈 위에 구멍을 내도 된다.
③ 15분 정도 지나서, 그림자의 끝이 이동했을 때 거기에 또 표시를 한다.
④ 다음에 첫 번째 표시에서 두 번째 표시 쪽으로 직선을 긋고 그 선을 30㎝정도 연장한다.
⑤ 첫 번째 표시에 왼쪽 발을 놓고 두 번째 표시 쪽으로 그려놓은 직선의 끝 부분에 오른쪽 발을 놓는다. 그러면 그 자세로 보았을 때 앞이 북이고 오른쪽이 동, 왼쪽이 서쪽이다.
이방법은, 지구위의 어디에서나 태양은 동쪽에서 뜨고 서쪽으로 이동하지만, 막대기의 그림자는 이와 반대로 첫 번째 표시가 서쪽, 두 번째 표시가 동쪽에 위치한다는 기본 원리를 응용한 것이다. 따라서 북반구, 남반구에 관계없이 지구 위에서는 어디서나 사용할 수 있는 방법이다.
◈ 시계와 태양을 이용
바늘이 있는 시계로 대체적인 방위를 알수 있다. 다만 이것은 북반구, 남반구 모두 23°30'에서 66°30'까지의 중위도 지역에서만 사용할 수 있다.
① 북반구의 경우, 먼저 시계를 수평으로 쥐고 짧은 바늘이 태양을 바라보게 한다. 그리고 짧은 바늘과 글자판이 12시의 중간점을 본다. 그때 그곳이 남쪽이다. 또 그곳에서 시계의 중앙을 지나서 남북선이 달리게 되므로 반대쪽이 북이다. 다만 이것은 그 지방의 표준시에 시간이 맞춰진 경우이므로 시차에 따라서 수정을 해야 한다.
② 남반구의 경우는 북반구 때와 반대로 글자판의 12시를 태양쪽으로 돌리고 짧은 바늘과의 중간 방향을 북으로한다.
③ 날이 흐려서 해가 보이지 않을 때에는 시계의 중앙에 성냥개비 크기의 나무를 세우고 그 그림자가 시계의 짧은 바늘과 일치할 때까지 시계를 돌려서 그림자와 12시와의 중간점을 본다. 그때 그 방향이 북이 된다.
@@시계라면 가능합니다
작은 막대기를 세움 ㅡ 시침과 일치시킴
ㅡ 12시와 시침 일치점의 중간이 북쪽임
@@
나무의 가지가 무성한 쪽이 남쪽
나이테의 촘촘한 쪽이 북쪽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