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보물 + 뒷간
학기 중에도, 방학 중에도 아이들을 귀찮게 만드는 매우 전통 있는 숙제가 하나 있다. 바로 '일기쓰기'이다. 이 숙제의 역사가 오래되어서 그런 것일까, 일기쓰기는 학교에서 당연히 아이들에게 주어야 하는 필수적인 과제처럼 여겨지고 있는 것 같다. 문제는 이를 초등학생이라면 당연히 해야 하는 '의무'로 생각하다보니, 일기를 쓰는 행위 본연의 의미를 놓치고 마는 경우가 많은 것이다.
일기쓰기는 무조건적으로 해야 하는 필수 활동인가? 아니다. 일기를 쓰지 않는다고 해서 학생의 발달에 큰 지장이 생기는 것도 아니며, 또 의무적으로 학생들이 꼬박꼬박 일기를 쓰게 만든다고 해서 학생의 삶이 크게 변하는 것도 아니다. 일기쓰기는 학생이 자신의 삶을 잘 가꾸게 만들 수 있는 한 가지 '도구'일 뿐이며, 교사나 부모가 이 도구를 어떻게 활용하느냐에 따라 그 영향력은 크게 달라진다.
일반적인 일기쓰기 상황을 살펴보자. 학교에서 선생님은 매일 일기 숙제를 내주고, 아이들은 선생님이 시키니까 어쩔 수 없이 일기를 쓴다. 그리고 이렇게 어쩔 수 없이 쓴 일기의 내용은 대부분 천편일률적이다.
"오늘 학교에 갔다. 친구랑 놀았다. 재밌었다. 학교를 마치고 태권도 학원을 갔는데
힘들었지만 보람있었다. 오늘은 이만 써야겠다."
혹시 우리 학급의 학생들이, 우리 아이가 이런 식의 일기를 쓰고 있는 것은 아닌지 살펴보아야 겠다. 일기를 1년 동안 꾸준히 써도 위와 같이 쓴다면 이게 과연 아이의 삶에 어떤 긍정적인 영향을 줄까.
일기쓰기의 진정한 의의는 일상의 '나'를 회상하며 자신을 되돌아보는데 있다. 자신이 보낸 24시간이라는 하루를 그냥 흘려보내지 않고, 일기를 쓰며 중요한 순간들, 의미 있는 순간들, 또는 그냥 지나쳤던 평범한 순간들에 대해 한 번 더 곱씹어 보는 것이다. (물론 일기쓰기를 하는 과정에서 사고력이나 글쓰기 능력이 향상되고, 사물에 대한 관찰력 등이 향상되지만, 이는 사실 일기쓰기의 목표가 아닌 부수적인 것들이다. 필자는 개인적으로 이런 부수적인 것들을 목표로 삼아 일기쓰기를 지도하는 것도 바람직하지 않다고 생각한다. '일기'라는 것은 사실 굉장히 감성적인 활동 아닌가?)
따라서 일기쓰기라는 활동이 아이의 삶에 있어서 어떤 긍정적인 효과를 내기 바란다면, 일기는 당연히 써야 되는 것이라는 의무적인 관점을 버리고 어떻게 하면 일기를 통해 아이가 자신의 삶을 좀 더 풍성하게 만들 수 있을까 고민해야 한다. 그리고 그런 고민이 구체적인 행동 지침으로 아이들에게 제시되어야 아이들의 일기쓰기가 실질적으로 개선될 수 있다. 그럼 일기쓰기는 어떻게 지도해야 하나?
1. 맞춤법 교정이 일기쓰기 지도의 목표가 아니다.
- 다시 말하지만, 일기쓰기는 아이들의 문법능력 향상이나 글쓰기 능력 향상이 주된 목표가 아니다. 따라서 교사가 만일 아이들의 일기를 확인하고 있다면, 맞춤법과 같은 요소에 대한 지적보다는 일기에 들어간 내용에 집중해야 한다. 일기 속에 그 아이의 하루가 얼마나 진솔하게 들어가 있는지, 오늘의 하루를 아이는 어떻게 느꼈는지를 보아야 한다. 그런데 이렇게 내용을 자세히 보려면 당연히 소요되는 시간이 많을 수 밖에 없는데, 일과가 바쁜 교사에게 이는 쉽지 않다. 그럴때는 간단하게 학생들이 일기를 쓰는 횟수를 줄이면 된다. 일기쓰는 횟수를 줄여주면 활동에 대한 부담이 학생과 교사 모두에게 줄어든다. 그리고 줄어든 부담만큼 더 섬세하게 접근할 수 있다. 양보다 질이다.
2. 특별한 일만이 대상이 되는 것이 아니다.
- 일기쓰기라고 하면 꼭 특별한 일만을 써야 한다고 생각하는 학생들이 있다. 하지만, 우리의 일상은 생각보다 단조로우며, 그런 단조로운 일상이 모여 하루가, 일주일이, 일년이 된다. 우리에게 중요한 순간은 어떤 특별한 일이 벌어지는 때가 아닌, 오히려 무심코 흘러가는 일상의 순간이다. 따라서 그런 평범한 하루 중에서 특별한 일을 억지로 찾아내는 것보다 일상의 순간을 좀 더 풍부하게 느끼는 것이 필요하다. 아이들이 일기를 쓸 때도 이 점에 유의하여 쓸 수 있도록 유도해야 한다.
3. 일기 쓰는 시간이 정해진 것이 아니다.
- 우리의 일과는 보통 '밤'에 마무리되지만, 일기도 꼭 '밤'에 써야 하는 것은 아니다. 일상의 순간이 새롭게 느껴지는 순간은 아침이 될 수도, 또는 아이들과 재밌게 노는 방과 후의 시간이 될 수도 있다. 그 순간을 잘 살려서 쓰는 것이 중요하지, 굳이 아껴놨다가 자기 전에 쓸 필요는 없다.
4. 일기쓰기를 어려워하면 '주제'를 제시해주어라.
- 그래도 일기를 쓰는 것이 어려운 학생들이 있을 것이다. 그렇다면 교사가 주제를 직접 정해주는 것도 좋다. 주제는 그 날 먹은 아침 밥상이 될 수도 있을 것이고, 우리 반 아이들의 모습이 될 수도 있을 것이다. 다만, 최대한 자세히 적을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오늘 아침을 먹었다. 밥이랑 국이 맛있었다." 이런 식으로 쓰는 학생이 있다면, 아침은 정확히 언제 먹었는지, 메뉴는 무엇이었는지, 각 반찬에서는 무슨 맛이 느껴졌는지, 그리고 밥을 먹으며 어떤 대화가 오갔는지 자세히 적도록 요청한다.
일기쓰기는 '잘' 쓰면 정말 좋은 활동이다. 영화 '어바웃 타임'을 보면, 시간여행을 할 줄 아는 주인공은 하루를 두 번 산다. 첫 번째 하루는 평범하게 보낸다. 즐거운 순간도 있고 예상치 못한 어려움에 난감한 순간도 있다. 시간을 되돌려 한 번 더 사는 하루는, 걱정과 긴장으로 인해 느끼지 못했던 것들은 다시 한번 음미하며 산다. 그렇게 일상의 순간이 주는 소중함을 느끼게 되고, 그 행복감은 주인공이 시간 여행을 할 필요도 없게 만든다.
필자가 생각하기에는 일기쓰기가 그런 활동이다. 평범한 우리가 남자주인공처럼 하루를 여러 번 살 수는 없다. 하지만, 일기는 우리 머릿 속에서라도 그것을 가능하게 만들어준다. 그렇게 회상되고 음미되는 하루는 분명 학생의 삶을 보다 풍요롭게 만들어 줄 것이다.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