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4월 2025 >>
  12345
6789101112
13141516171819
20212223242526
27282930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詩人 대학교

마광수님의 "윤동주연구" = 한국 최초 "윤동주 시 장편논문"
2017년 09월 26일 23시 12분  조회:2192  추천:0  작성자: 죽림
홍익대 재직 중에 나는 드디어 박사학위 논문을 쓰게 되었다. 요즘에는 박사학위가 교수 
자격증 같이 되어가지고, 이른 나이 (대략 30세 후) 에 박사학위를 받는 일이 흔하다. 대
학원 박사학위 과정은 3년인데, 그래서 4, 5년 만에 학위를 받는 이들이 꽤 많은 것이다. 

그러나 내가 박사학위를 받을 때까지만 해도 학위를 줄 때 꼭 '나이'를 따졌다. 적어도 
35세는 넘겨야 박사학위를 받을 수 있는 나이로 인정했고, 보통은 40세를 넘겨야 학위를 
주었던 것이다. 말하자면 그때의 박사학위는 요즘의 '명예박사' 비슷한 의미로 통용되었
던 것이다. 또 꼭 대학교수로 재직하고 있어야만 학위를 주었다. 

그 대신에 당시에는 박사학위가 없더라도 대학의 전임교수가 될 수 있었다. 원칙적으로
는 석사 이상이었고, 내가 홍익대 전임교수가 될 때는 박사과정 수료 이상이었다. '수료'
란 대학원 박사과정에서 요구하는 학점을 다 이수하고 소정의 시험을 통과한 후, 학위논
문 제출만 남겨놓은 상태를 말한다. 

나는 박사과정을 막 수료한 상태에서 홍익대 교수가 되었다. 그리고 교수가 되자마자 박
사학위 논문을 집필했다. 하루라도 빨리 지긋지긋한 피교육자 신세를 면하고, 박사학위 
논문심사의 중압에서 벗어나고 싶어서였다. 

그래서 1979년 말에 나는 학위논문을 다 써가지고 연세대 대학원에 제출했는데, 국문학
과 교수회의에서는 내 나이가 어리다는 이유로 논문심사 자체를 보류시키기로 결정해
버렸다. 그때 내가 몹시 분노로 치를 떨었던 기억이 지금까지도 선명하게 떠오른다.

사실 내가 박사과정에 들어갈 때도 그 과정이 상당히 힘들었다. 나는연세대 국문과 대학
원 '신제(新制)' 박사과정의 현대문학 전공 첫번째 입학자였다. 그 이전까지는 '구제(舊
制)' 박사학위라고 해서, 대학교수로 10년 이상 재직한 경력이 있는 학자에게만 학위를 
주었고 (그런 이들에게는 학점 이수가 요구되지 않고 단지 논문만 가지고 심사했다), 학
점을 이수하는 '신제' 박사과정은 아예 없었다.

그러다가 신제 학위과정이 생기긴 했다. 하지만 입학시험을 너무 까다롭게 내서, 합격자
가 단 한 사람도 없었던 것이다. 또 내가 들어갈 당시에는 박사과정 신입생을 1년에 1명 
정도로 제한했었다. 

그때 내가 제출했던 학위논문은 『상징시학』이었다. 이 논문은 지금 단행본으로 나와 있
는데, 내가 출간한 문학이론서 가운데 가장 독창적인 것이라서 내가 제일 만족스러워하는 
논문이다. 

그러나 내가 몇년 있다가 다시 학위논문을 제출할 때는 그 논문은 접수가 안되었다. 일반 
문학이론이지 국문학 논문이 아니라는 이유에서였다. 그렇게 된 까닭은 애초의 논문 지도
교수가 은퇴하고 새 지도교수를 만나게 됐기 때문이었다. 그래서 나는 다시 새로 『윤동
주 연구』라는 논문을 썼는데, 쓸 때는 두 번 노동하는 게 무척이나 속이 상하고 억울했지
만, 결과적으로는 학술서적을 두 권 출간하게 되는 소득이 있었다. 

『윤동주 연구』는 윤동주의 시에 대한 한국 최초의 장편논문으로서, 지금까지도 계속 판
(版)을 거듭하며 윤동주 연구자들에게 단골로 인용되고 있다. 내가 그 논문을 쓸 당시만 
해도 윤동주의 인기는 그저 그랬었다. 그런데 지금 윤동주의 시는 국민 누구나가 좋아하
는 최고로 인기 있는 시가 되었다. 

그때는 검퓨터가 없어 원고를 일일이 손으로 써야 했다 (하긴 지금도 나는 원고를 200자 
원고지에다 손으로 쓰지만). 그리고 활판으로 인쇄를 해서 최종적으로 제출해야 하기 때
문에 돈이 많이 들었다. 활판인쇄란 인쇄소의 식자공들이 납으로 된 활자를 한 자 한 자 
골라내어 제판(製版)해서 찍는 인쇄를 말한다. 그리고 무엇보다 교정보는 절차가 무척이
나 복잡했다. 

어쨌든 나는 초고를 지저분한 필체로 다 썼고, 그것을 다시 원고지에 또박또박 손으로 정
서(淨書)하는 일이 남았다. 그걸 심사위원들에게 제출하여 일일이 지적을 받은 다음 비로
소 활자로 옮겨 인쇄하는 순서였다. 

그래서 나는 200자 원고지 1000매 분량의 초고 정서교정보기(뒤는 삭제함...) ㅡ마광수ㅡ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1570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490 시는 산문적 운문(韻文)으로서 문학의 가장 핵심 장르이다... 2017-05-22 0 2536
489 윤동주론 / 김호웅 2017-05-20 0 2800
488 [그것이 알고싶다]-윤동주 비석에 새겨진 비문을 알아보다... 2017-05-20 0 3004
487 시인 윤동주의 녀동생 윤혜원녀사는?... 2017-05-20 0 2899
486 [그것이 알고싶다] - 윤동주 사진 살펴보다... 2017-05-20 0 2740
485 시인은 일상적 시각으로부터 탈피해야... 2017-05-20 0 2193
484 "어머니, 그 먼 나라를 알으십니까"... 2017-05-20 0 2582
483 시작할 때 남의 글을 흉내내지 말아야... 2017-05-20 0 2459
482 [작문써클선생님들께]-(자료) 중고생들과 문학 대화하고싶다... 2017-05-20 0 3986
481 시는 극점에 달한 미적 언어이다... 2017-05-19 0 2804
480 훌륭한 시작품은 부단한 습작에서 얻은 시행착오의 결과물... 2017-05-17 0 2580
479 시를 통하여 시인의 마음을 읽어내는 지름길을 찾아라... 2017-05-17 0 2417
478 [쉼터] - 우리 말의 가치와 그리고 그 반성... 2017-05-15 0 2510
477 시어란 일상적 언어가 시작품의 재료로 선택될 때 일컫는 말... 2017-05-15 0 2986
476 시의 목표는 언어의 순수성과 일관성이다... 2017-05-13 0 3068
475 시는 찰나, 비극적 불확정적인 하나의 세계이다... 2017-05-13 0 3137
474 시인은 자화자찬에 빠지지 말아야... 2017-05-12 0 2751
473 "윤동주앓이" 2017-05-11 0 2738
472 시인의 특권은 감정의 표현을 누리는것이다... 2017-05-11 0 2712
471 시인은 습작에 습작을 거듭하는 아픈 작업을 련속 걸쳐야... 2017-05-11 1 2773
470 시인은 그 어떠한 령혼을 흔들수 있는 시를 써야... 2017-05-11 1 2654
469 시는 쉽고 군더더기 없는 시어로 다듬어야... 2017-05-11 1 2482
468 [작문써클선생님들께] - 마음을 다스리는 글귀들... 2017-05-06 0 3962
467 [작문써클선생님들께] - 파스칼 명언... 2017-05-06 0 3753
466 시인은 시의 구절구절 섬세한 언어적 쾌감을 줄줄 알아야... 2017-05-06 1 2590
465 수필의 허구문제를 알아보다(17) 2017-05-06 0 2580
464 수필의 허구문제를 알아보다(16) 2017-05-06 0 2521
463 수필의 허구문제를 알아보다(15) 2017-05-06 0 3259
462 수필의 허구문제를 알아보다(14) 2017-05-06 0 2829
461 수필의 허구문제를 알아보다(13) 2017-05-05 0 2207
460 수필의 허구문제를 알아보다(12) 2017-05-05 0 2856
459 수필의 허구문제를 알아보다(11) 2017-05-05 0 2671
458 수필의 허구문제를 알아보다(10) 2017-05-05 0 2649
457 수필의 허구문제를 알아보다(9) 2017-05-05 0 2767
456 수필의 허구문제를 알아보다(8) 2017-05-05 0 2552
455 수필의 허구문제를 알아보다(7) 2017-05-05 0 2569
454 수필의 허구문제를 알아보다(6) 2017-05-05 0 2532
453 수필의 허구문제를 알아보다(5) 2017-05-05 0 2704
452 수필의 허구문제를 알아보다(4) 2017-05-05 0 3518
451 수필의 허구문제를 알아보다(3) 2017-05-05 0 2695
‹처음  이전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