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1월 2025 >>
   1234
567891011
12131415161718
19202122232425
262728293031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詩人 대학교

마광수님의 "윤동주연구" = 한국 최초 "윤동주 시 장편논문"
2017년 09월 26일 23시 12분  조회:2072  추천:0  작성자: 죽림
홍익대 재직 중에 나는 드디어 박사학위 논문을 쓰게 되었다. 요즘에는 박사학위가 교수 
자격증 같이 되어가지고, 이른 나이 (대략 30세 후) 에 박사학위를 받는 일이 흔하다. 대
학원 박사학위 과정은 3년인데, 그래서 4, 5년 만에 학위를 받는 이들이 꽤 많은 것이다. 

그러나 내가 박사학위를 받을 때까지만 해도 학위를 줄 때 꼭 '나이'를 따졌다. 적어도 
35세는 넘겨야 박사학위를 받을 수 있는 나이로 인정했고, 보통은 40세를 넘겨야 학위를 
주었던 것이다. 말하자면 그때의 박사학위는 요즘의 '명예박사' 비슷한 의미로 통용되었
던 것이다. 또 꼭 대학교수로 재직하고 있어야만 학위를 주었다. 

그 대신에 당시에는 박사학위가 없더라도 대학의 전임교수가 될 수 있었다. 원칙적으로
는 석사 이상이었고, 내가 홍익대 전임교수가 될 때는 박사과정 수료 이상이었다. '수료'
란 대학원 박사과정에서 요구하는 학점을 다 이수하고 소정의 시험을 통과한 후, 학위논
문 제출만 남겨놓은 상태를 말한다. 

나는 박사과정을 막 수료한 상태에서 홍익대 교수가 되었다. 그리고 교수가 되자마자 박
사학위 논문을 집필했다. 하루라도 빨리 지긋지긋한 피교육자 신세를 면하고, 박사학위 
논문심사의 중압에서 벗어나고 싶어서였다. 

그래서 1979년 말에 나는 학위논문을 다 써가지고 연세대 대학원에 제출했는데, 국문학
과 교수회의에서는 내 나이가 어리다는 이유로 논문심사 자체를 보류시키기로 결정해
버렸다. 그때 내가 몹시 분노로 치를 떨었던 기억이 지금까지도 선명하게 떠오른다.

사실 내가 박사과정에 들어갈 때도 그 과정이 상당히 힘들었다. 나는연세대 국문과 대학
원 '신제(新制)' 박사과정의 현대문학 전공 첫번째 입학자였다. 그 이전까지는 '구제(舊
制)' 박사학위라고 해서, 대학교수로 10년 이상 재직한 경력이 있는 학자에게만 학위를 
주었고 (그런 이들에게는 학점 이수가 요구되지 않고 단지 논문만 가지고 심사했다), 학
점을 이수하는 '신제' 박사과정은 아예 없었다.

그러다가 신제 학위과정이 생기긴 했다. 하지만 입학시험을 너무 까다롭게 내서, 합격자
가 단 한 사람도 없었던 것이다. 또 내가 들어갈 당시에는 박사과정 신입생을 1년에 1명 
정도로 제한했었다. 

그때 내가 제출했던 학위논문은 『상징시학』이었다. 이 논문은 지금 단행본으로 나와 있
는데, 내가 출간한 문학이론서 가운데 가장 독창적인 것이라서 내가 제일 만족스러워하는 
논문이다. 

그러나 내가 몇년 있다가 다시 학위논문을 제출할 때는 그 논문은 접수가 안되었다. 일반 
문학이론이지 국문학 논문이 아니라는 이유에서였다. 그렇게 된 까닭은 애초의 논문 지도
교수가 은퇴하고 새 지도교수를 만나게 됐기 때문이었다. 그래서 나는 다시 새로 『윤동
주 연구』라는 논문을 썼는데, 쓸 때는 두 번 노동하는 게 무척이나 속이 상하고 억울했지
만, 결과적으로는 학술서적을 두 권 출간하게 되는 소득이 있었다. 

『윤동주 연구』는 윤동주의 시에 대한 한국 최초의 장편논문으로서, 지금까지도 계속 판
(版)을 거듭하며 윤동주 연구자들에게 단골로 인용되고 있다. 내가 그 논문을 쓸 당시만 
해도 윤동주의 인기는 그저 그랬었다. 그런데 지금 윤동주의 시는 국민 누구나가 좋아하
는 최고로 인기 있는 시가 되었다. 

그때는 검퓨터가 없어 원고를 일일이 손으로 써야 했다 (하긴 지금도 나는 원고를 200자 
원고지에다 손으로 쓰지만). 그리고 활판으로 인쇄를 해서 최종적으로 제출해야 하기 때
문에 돈이 많이 들었다. 활판인쇄란 인쇄소의 식자공들이 납으로 된 활자를 한 자 한 자 
골라내어 제판(製版)해서 찍는 인쇄를 말한다. 그리고 무엇보다 교정보는 절차가 무척이
나 복잡했다. 

어쨌든 나는 초고를 지저분한 필체로 다 썼고, 그것을 다시 원고지에 또박또박 손으로 정
서(淨書)하는 일이 남았다. 그걸 심사위원들에게 제출하여 일일이 지적을 받은 다음 비로
소 활자로 옮겨 인쇄하는 순서였다. 

그래서 나는 200자 원고지 1000매 분량의 초고 정서교정보기(뒤는 삭제함...) ㅡ마광수ㅡ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1570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290 시인의 고향 룡정에서 반세기만에 첫 기념회를 열었던 때가 ... 2017-02-27 0 2135
289 시가 스스로 울어야 독자들도 따라 운다... 2017-02-27 1 2617
288 시의 창으로 넘나드는 시어는 늘 신선해야... 2017-02-27 0 2483
287 "알파고"와 미래의 조선족 2017-02-24 0 2530
286 인공지능 번역기가 없다?... 있다!... 2017-02-24 0 2759
285 인공지능이 영화대본을 못쓴다?... 썼다!... 2017-02-24 0 4073
284 시도 모르는 비인간적인 사회는 배부른 돼지들만 사는 세계 2017-02-24 1 2769
283 인공지능이 천여편의 시를 못쓴다?...썼다!... 2017-02-24 0 2598
282 중국 연변 룡정 동산마루에 "별의 시인" 윤동주묘소가 있다... 2017-02-24 0 2644
281 시인은 궁핍(窮乏)으로 시인의 이름에 누를 끼치지 말아야... 2017-02-24 1 2448
280 윤동주 시와 이육사 시를 재조명해 보다... 2017-02-23 1 9109
279 책을 그렇게도 사랑했던 덕화 남평 길지籍 허봉남 문학가 2017-02-23 0 2632
278 시는 꽃씨와 불씨와 꿈을 지닌 여백(餘白)의 미학이다... 2017-02-23 0 2525
277 "하이쿠시"는 불교, 도교, 유교의 종합체이다... 2017-02-22 1 2862
276 덕화 남평의 "마당형님"이였던 허충남 문학가 2017-02-22 0 2332
275 시는 예쁜 포장지속에 들어있는 빛나는 보석이여야... 2017-02-22 0 2417
274 "한글통일"이 언제 오려나(4)... 2017-02-22 0 3512
273 "한글통일"이 언제 오려나(3)... 2017-02-22 0 2440
272 "한글통일"이 언제 오려나(2)... 2017-02-22 0 2774
271 "한글통일"이 언제 오려나... 2017-02-21 0 2802
270 세계가 기리는 100년의 시인... 2017-02-21 0 2333
269 진정한 시는 "찾아지는 감춤"의 미덕과 미학의 결과물이다... 2017-02-21 0 2756
268 안도현 시론을 재정리하여 알아보다... 2017-02-21 0 3360
267 시 안에서 "잔치"를 벌리라... 2017-02-21 0 2762
266 시는 발효와 숙성의 간고하고 처절한 시간과의 결과물이여야... 2017-02-21 0 2930
265 시인이여, 단순하고 엉뚱한 상상력으로 놀아라... 2017-02-21 0 3559
264 시어는 "관념어"와 친척이 옳다?... 아니다!... 2017-02-21 0 2942
263 멕시코 시인 옥타비오 파스가 "이미지"를 말하다... 2017-02-20 0 3402
262 애송시가 되는 비결은 우리 말로 우리 정서를 표현해야... 2017-02-20 0 2509
261 창조적 모방을 위하여 // 트럼블 스티크니 / 정지용 2017-02-19 0 4139
260 "아버지가 서점이고, 서점이 곧 아버지였다" 2017-02-19 0 3075
259 한국 최초의 번역시집, 최초의 현대 시집 / 김억 2017-02-19 0 4641
258 작문써클선생님들께; - "즈려밟다" 와 "지르밟다" 2017-02-19 0 3903
257 아르헨티나 극단주의적 모더니즘 시인 - 보르헤스 2017-02-19 0 4704
256 "내 시가 독자를 감동시키지 못한다면 죽어도 쉬지 않으리라" 2017-02-19 0 2377
255 시작은 탈언어화로부터 시작하라... 2017-02-19 0 2445
254 "낯설게 하기"를 처음 제시한 사람 - 러시아 작가 쉬클로프스키 2017-02-19 0 2579
253 시는 언어의 건축물이다... 2017-02-19 2 2583
252 시작을 낯설게 하기도 하고 낯익게 하기도 하라... 2017-02-19 0 2317
251 시인은 재료 공급자, 독자는 그 퍼즐맞추는 려행자 2017-02-19 0 2434
‹처음  이전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