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7월 2025 >>
  12345
6789101112
13141516171819
20212223242526
2728293031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詩人 대학교

"윤동주는 기적, 우리 문학 축복"="윤동주처럼 멋진 시인이 꿈"
2017년 09월 12일 01시 28분  조회:2408  추천:0  작성자: 죽림
이미지[SBS funE연예뉴스팀]
'불멸의 윤동주'…마광수 "윤동주는 기적, 우리 문학의 축복"

지난 2016년 3월 6일 저녁, KBS 공사창립 '불멸의 청년 윤동주'가 조명.

“윤동주는 기적이에요, 기적. 친구들이 없었다면 지금까지 육필원고가 보존될 수 없었을 것입니다. 생전에 시인으로 공인받은 적이 없었던 그의 시가 친구들의 힘으로 발굴된 것은 우리나라 문학의 축복입니다.” (마광수·연세대학교 국문과 교수)

방송에서 마광수 연세대 교수는 시인 윤동주에 대해 이 같이 평했다.

마광수 교수는 1980년대 중반 최초로 윤동주 시 연구 논문을 발표한 바 있다. 그는 윤동주 시의 미학을 본격적으로 연구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시인 윤동주는 1945년 해방을 여섯 달 앞둔 채 만 스물일곱의 나이로 후쿠오카 감옥에서 생을 마감했다.

비록 생전에는 시집 한 권 조차 펴내지 못한 무명의 청년 시인이었지만 현재 그는 한국인이 가장 사랑하는 시인 1위에 올라 있다. 

이럴 수 있던 데에는 그의 시를 부활시킨 친구들의 헌신 때문이었다.

방송에 따르면 윤동주의 연희전문학교의 후배 정병욱은 당시로서는 위험했던 윤동주의 육필시고를 생가의 마루 밑에 깊숙이 숨겨뒀다.

윤동주 동기 강처중은 해방전후의 혼란기에 끝까지 윤동주의 유품과 편지에 담긴 시들을 지켜냈고, 윤동주의 시는 오늘까지 부활될 수 있었다.

방송은 여러 전문가들의 말을 통해 윤동주 시인의 시가 왜 감동적인지를 들려준다.

“영혼이 굉장히 아름답다는 것이 시에 나타나 있어요. 영혼의 아름다움, 슬픔이 거기에 있어요. 한 영혼의 아름다움이 아니라 세계 그 자체가 아름답게 빛나는 것처럼 느껴지는 정말 훌륭한 시입니다.” (가와즈 키 요에·일본 현대시수첩상 수상 시인)

“윤동주의 시는 결코 한 민족의 것이 아니라 인류, 인간 그 모든 것의 근원으로 통하는 시입니다. 그 중심에 있는 것은 역시 사랑이죠. 인류입니다. 인류와 사랑.” (니시오카 겐지·일본 후쿠오카현립대 명예교수)

“윤동주의 소장도서에 접근한 한국인은 제가 최초였습니다. 윤동주는 서정시인으로 여겨졌지만 그가 소장하고 있는 책들은 비평서나 이론서가 많았어요. 아름다움으로 제국주의를 극복하고자 하는 것이 그의 독서체험의 중심이었습니다. (왕신영·단국대 일본어과 교수)

“전 윤동주 시 중 ‘해바라기 얼굴’을 가장 좋아합니다. 많은 독자들이 그 시를 읽으면서 떠올리는 지점이 70년대, 80년대가 아닐까요. 사람들이 윤동주의 시를 좋아하는 수도 없이 많은 이유가 있지만, 아주 슬픈 이야기를 하면서도 희망의 단서를 놓지 않는 그만의 특징이 있어요.” (이정록·윤동주문학상 수상시인)

"가슴이 철렁하고 이렇게 감동적이 시가 있구나 느꼈던 기억이 생생합니다. 시어가 문어체가 아니고 구어체죠. 해방 이전, 아니 해방 전후까지도 지금까지 생생하게 읽히는 시를 대봐라, 윤동주밖에 없어요."(마광수 교수)

매년 윤동주의 기일이 되면 일본 곳곳에서 시인의 숭고함을 추모하는 추도회와 윤동주의 시를 연구하는 강연회가 개최한다.

현재 윤동주의 시는 일본뿐 아니라 프랑스, 독일, 스페인 등 8개국에 번역되어 전 세계인의 사랑을 받고 있다.

(사진 출처 : KBS '불멸의 청년 윤동주')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1570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930 남미주 아르헨티나 시인 - 보르헤스 2018-01-10 0 4771
929 하이퍼시의 뿌리는 중국시전통에 있으며 대간을 이루고있다... 2018-01-10 0 3503
928 {쟁명} - 하이퍼시는 은유와 환유의 잔치, 설명과 해석은 금물. 2018-01-10 0 2629
927 <서시> 시모음 2018-01-10 0 2731
926 [시단소사전] - "글쓰기 충전구멍가게"... 2018-01-10 0 3199
925 "모든 죽어가는것" 中 하나가 "조선어"였던것 같다... 2018-01-09 0 2553
924 <해빛> 시모음 2018-01-09 0 2606
923 <별> 시모음 2018-01-09 0 2254
922 <콩나물> 시모음 2018-01-09 0 2568
921 보이지 않는것들을 볼수있는 4차원적 발견의 눈을 길러라... 2018-01-07 0 2375
920 항상 수첩을 가지고 다니며 늘 기록하라... 2018-01-07 0 2303
919 [작문써클선생님께] - 동시를 어떻게 쓸가ㅠ... 2018-01-07 0 2544
918 "과연 당신만의 '십자가'를 짊어질수 있는 용기가 있는기여?"... 2018-01-07 0 2600
917 {쟁명} - 하이퍼시는 단일체가 아니라 다양체와의 춤사위이다 2018-01-05 0 2804
916 {쟁명} - 하이퍼시는 자아가 아니라 타자와 노는것이다... 2018-01-05 0 2606
915 詩人 김파님께서는 갔으나 詩伯 김파님께서는 가지 않았다... 2018-01-05 0 2926
914 이상(李箱)의 시는 이상(李箱) 이상(以上)이었다... 2018-01-04 0 2750
913 "솔숲은 늘 푸른데, 숲에 난 발자국은 모두 다르더라"... 2017-12-28 0 3618
912 교육선구자 김약연과 명동학교를 아십니까?!... 2017-12-28 0 3191
911 <시간> 시모음 2017-12-28 0 3157
910 해골의 노래에 맞춰 무도회는 잘도 돌아간다... 2017-12-27 0 3576
909 "네 젊음을 가지고 뭘 했니?"... 2017-12-26 0 3402
908 <말(言)> 시모음 2017-12-24 0 2585
907 시와 시작론 2017-12-22 0 2205
906 친구들아, 어서 빨리 "동시조"랑 같이 놀아보쟈...7 2017-12-22 0 2465
905 친구들아, 어서 빨리 "동시조"랑 같이 놀아보쟈...6 2017-12-22 0 2276
904 친구들아, 어서 빨리 "동시조"랑 같이 놀아보쟈...5 2017-12-22 0 2538
903 친구들아, 어서 빨리 "동시조"랑 같이 놀아보쟈...4 2017-12-21 0 2782
902 친구들아, 어서 빨리 "동시조"랑 같이 놀아보쟈...3 2017-12-21 0 2564
901 [작문써클선생님들께] - 시조, 동시, 시 차이점?... 2017-12-21 0 3746
900 친구들아, 어서 빨리 "동시조"랑 같이 놀아보쟈...2 2017-12-21 0 2783
899 친구들아, 어서 빨리 "동시조"랑 같이 놀아보쟈... 2017-12-21 0 2419
898 세상에서 제일 보배로운 동요동시를 내 눈언저리에 붙혀주렴... 2017-12-21 0 2632
897 웃음은 모든 인간들의 모든 독을 제거하는 해독제이다... 2017-12-20 0 2608
896 <돌> 시모음 2017-12-19 0 2825
895 산골물 / 윤동주 2017-12-17 0 3094
894 애독자 비행기 조종사가 유명한 작가 비행기 조종사를 죽이다... 2017-12-17 0 4008
893 윤동주, 백석, 릴케 - "삼종(三鐘)의 종소리 웁니다"... 2017-12-16 0 4281
892 "암울한 시대에 시를 써보겠다고 생각했던 내가 어리석었다!"... 2017-12-16 0 3734
891 치욕의 력사에서 참회의 역사로 바꾸어 놓은 시인 - 윤동주 2017-12-16 0 3888
‹처음  이전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