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4월 2025 >>
  12345
6789101112
13141516171819
20212223242526
27282930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詩人 대학교

어떤 시인들은 자기가 갖고 있는 자대를 늘 자랑하는데... ㅉㅉ
2017년 09월 02일 00시 05분  조회:2333  추천:0  작성자: 죽림


시는 가장 위험한 칼



최문자 (시인, 협성대학교 문창과 교수)


벌써 오래 전 얘기다.
시 쓰는 친구가 어느 날 내게 이런 얘기를 하면서 울고불고 하던 얘기가 생각난다.

“그 남자는 날 추억으로 남기고 싶어 하지만 나는 그 남자가 고통으로 남아서 견딜 수 없어, 어떤 칼로도 이걸 잘라낼 수 없다구.”

그때는 대중가요 가사쯤으로 들리던 그 이야기가 나이 들어 다시 생각해보니 깊은 의미가 담긴 말이라는 생각이 든다. 기억해봤자 상처만 깊이 내는 이별의 불행을 떨쳐버리지 못하고, 잘라내지도 못하던 그녀가 아직도 눈에 선하다.

누구나 가슴에 말 안 듣는 칼 하나씩을 품고 살고 있는 것 같다. 자신의 의식대로 움직여주지 않는 칼. 때로는 그 칼이 위기를 몰고 오기도 한다. 그 위험한 칼을 어떤 사람은 무심하게, 어떤 사람은 두려워해 가며 살아가고 있다.

잘 썰리지 않는 칼은 말썽만 부린다. 썰어야 할 물체의 부위 부위 상처만 내고 도마 위에 피만 낭자하게 고이게 만든다. 가끔 젊은 학생들과 이야기하다 보면 그들이 부러워진다. 그들에게서 잘 썰 수 있는 칼을 가지고 있다는 사실을 발견하게 된다. 개인차가 있다고 하겠지만 비교적 그들은 싫증나면 버리고, 더러우면 바로 침 뱉고, 아니다 싶으면 끊고 중지한다. 자기 의식대로 잘 썰어지는, 잘 드는 칼을 자율적으로 사용한다. 

나는 시인이다. 어려서부터 안 드는 칼에 익숙해져 있었다. 내 칼은 아무 힘이 없으며 그 누구의 사용 허락이 가능할 때만이 내 칼은 존재하고 작동할 수 있다고 믿어왔다.

그래서 외로움도, 소외도, 분노도, 싸움도, 심판도 이 모든 고통의 사실을 내 마음대로 썰거나 잘라내거나 수술하는 것에는 지극히 소극적이었다. 그래서 남이 사흘 앓고 일어날 고통도 나는 한 달이 넘도록 끙끙대며 앓아야 했다. 단숨에 잘라내는 성능 좋은 칼을 갖고 있지 못하기 때문이다.

그럴 때마다 <라 로쉐루꼬>의 말이 떠올랐다.

‘우리는 우리의 이성을 따라 살만큼 충분한 능력을 소유하지 못하고 있다’는 잠시 위안을 받을 수 있는 말이긴 하지만 오랫동안 나를 설득해내지는 못하는 말이다. 



그 동안 고통의 환부를 바로 수술하지 못해서 받는 고통은 엄청나게 많았다. 때로는 잘 들지 않는 칼로 섣부르게 자르려다, 오히려 환부만 건드려 더 큰 환부를 만드는 일도 자주 겪었다. 그 때마다 뼈를 깎는 수치감, 자괴감을 추스르는데 적지 않은 시간을 보냈다. 

그런데 중요한 문제는 여기에 멈추지 않는데 있다. 주변의 사람들이 내가 잘 안 드는 칼을 가지고 있다는 사실을 눈치채고 있다는 사실이다. 그래서 건드리고 또 건드리고 더 건드릴 수 없을 때까지 건드린다. 폭발 직전까지 일단 건드려 본다.

‘변변치 못한 칼로 뭘 어떻게 하려고?’

‘감히 나 같이 질기고 두꺼운 것을 그 칼로?’

하고 얕잡아 본다.



그 잘 안 드는 칼을 도구로 삼고 그러면서 여기까지 살아왔다. 모든 인간관계, 문단생활, 학문세계, 교회생활, 결혼생활 속에서도 이러한 상황은 마찬가지였다. 그러나, 나는 그 도구를 버릴 생각을 못한다. 그 도구 자체가 내가 갖고 싶어 가진 도구가 아니기 때문이다. 누가 깊이 사고하고 의도를 가지고 만들어 내 손에 들려준 도구이기 때문이다. 나는 어쩌지 못하고 그걸 사용하며 살아왔다.

그래서 나는 가끔 신에게 이렇게 호소했었다. ‘아예, 제 손에 아무 도구도 들려주시지 않았더라면 저는 이런 어설픈 일을 하지 않아도 되지 않습니까?’ 그러나 다른 한 편, 이런 생각도 해본다. 나에게 아마 잘 드는 칼을 도구로 쥐어주었다면 수많은 것들이 잘려나가고, 또……또…… 생각만 해도 두렵고 소름 끼치기도 한다.



그 동안 크리스쳔이라는 사실, 대학교수라는 사실, 시인이라는 사실들이 내 삶에서 더욱 더 칼날을 무능하게 만들 때가 많았다. 어느 평자가 내 시를 다루면서 월평에 쓴 글이 떠오른다. 

‘날카롭고 잘 드는 칼이 스치고 사라진 곳에 그의 시는 시작된다. 그래서 그의 시 속에는 날카로움이 숨어있고 그래서 그의 시는 흐느적거릴 수 없다. 그는 푸른 날을 수면 위로 나타내 독자에게 보여주지 않지만 그의 시세계 속에는 날선 감각이 번득인다.’

라고 했다. 부분적으로는 잘 짚은 얘기라고 보았다. ‘자기 이성이 사라진 곳에서 바로 신앙이 시작된다’라고 말한 키에르케고르의 말과 어느 정도 일치한다고 볼 수 있다. 

박노해 시인의 시 「부드러운 페니스로」라는 시에서 ‘착한 사람도 화날 때 보면/성난 무처럼 뿔 속으로 들어간다’라는 행이 새롭게 기억된다. 가장 부드러운 부분은 언제라도 뿔이 될 수 있는 용기를 품고 있다고 본다. 그러나 쇠처럼 강해 보이지 못하기 때문에 이중의 치열한 전쟁과 고통을 치르기도 한다. 그러나 이 무딘 칼 때문에 슬픔과 절망을 통해 정화를 거치는 힘이 생성되기도 한다.

많은 사람들이 자기가 갖고 있는 칼에 대하여 자신감을 가지고, 홍보전략을 갖는 21세기의 시점에서 나는 늘 위기를 느낀다. 요즘도 어이없게 시달리고 있다. 피만 흥건하게 괸 기분이다.

이 맘에 안 드는 보잘 것 없는 도구 때문에……. 잘 안 드는 칼은 가장 위험하다. 그래서 나는 늘 위험하지만, 주눅들지는 않는다. 뿔 속으로 들어갈 수 있는 새파란 무를 키우고 있기 때문에.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1570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50 시의 초보자들이 개척해야 할 부분은 시를 극적으로 쓰는것... 2016-12-20 0 3000
49 시는 "부서진, 흩어진, 주인이 없는, 부르다가 죽은" 령혼찾기. 2016-12-19 0 2843
48 [시문학소사전] - 자동기술법과 의식의 흐름기법 2016-12-18 0 6253
47 [시문학소사전] - 자동기술법이란? 2016-12-18 0 5088
46 시의 기원은 노래... 2016-12-18 0 4046
45 시 = "최초의 궁리" + "가장 오래한 궁리" 2016-12-18 0 3839
44 [시문학소사전] - 중국 현대시 류파에 관하여 2016-12-16 0 2845
43 문학을 일상생활속에서 이어가는 삶은 아름답다... 2016-12-15 0 2575
42 시가 세상을 외면...??? 세상이 시를 외면...??? 2016-12-15 0 3063
41 문학은 싸구려 련애질의 방패가 옳다?... 아니다!... 2016-12-15 0 4168
40 소네트와 세익스피어 2016-12-14 0 3333
39 [시문학소사전] - 소네트란? 2016-12-14 0 4331
38 [시문학소사전] - 랑만주의란?... 2016-12-14 0 4029
37 영국 랑만주의 시인 - 퍼시 비시 셸리 2016-12-14 0 6624
36 신문기자 총편 출신 박문희선생 詩배우고 발표까지 하다... 2016-12-14 0 2561
35 글쓰기는 고역의 고역을 치루어야 좋은 작품이 탄생된다... 2016-12-13 0 2645
34 시는 "깨달음"의 "사고묶음"이여야... 2016-12-13 0 2712
33 이 책은 책이 아니다와 이 책은 보물창고다와의 시적미학 2016-12-12 0 2628
32 <농부> 시모음 2016-12-12 0 2903
31 시작은 시작으로서의 "남다른 시작의 길"을 모색해야... 2016-12-12 0 2736
30 시는 "나만의 스타일"로 쓰라... 2016-12-12 0 2723
29 시작은 모든 것이 늘 "치밀하고 + 치렬하게" 해야... 2016-12-12 0 2636
28 시작할 때 "화학조미료"같은 관념어 절대 "반입금지 명령"!... 2016-12-12 0 2897
27 시작할 때 스토리는 잇어지고 한가지 이야기만 하라... 2016-12-12 0 2906
26 "엉뚱한 생각" + "살짝 맛 간 시인" +... = 좋은 시 빚기 2016-12-12 0 2915
25 상상 + 더 깊은 상상...+... = 좋은 시 빚기 2016-12-12 0 2668
24 시는 류행가 가사가 옳다?... 아니다!... 2016-12-12 0 2596
23 시를 "감춤"과 "드러냄"의 사이에서 맛갈스레 빚어야... 2016-12-12 0 2466
22 시인은 늘 예민한 촉수로 훌륭한 시를 빚기 위해 정진해야... 2016-12-12 0 2574
21 시쓰기는 "참 나를 찾고자"하는 고행이다... 2016-12-12 0 2581
20 시인도 "완전무장"을 해야 좋은 시를 쓸수 있다... 2016-12-12 0 2590
19 "썩을 놈! 어떻게 요런 시를 다 썼을깜?!..." 2016-12-11 0 2810
18 시작은 "가장 쉬운 말로, 최대한 짧게, 가장 깊은 울림"으로... 2016-12-11 0 2569
17 누가 뭐라고 해도 시는 시인이 쓰는것... 2016-12-11 0 2683
16 참 시인 되자면... 2016-12-11 0 2717
15 시 "승무"를 삭히는데 3년이나 걸리다... 2016-12-11 0 2439
14 <술> 시모음 2016-12-11 0 2542
13 [시문학소사전] - 실존주의란?... 2016-12-11 0 4522
12 詩作 잘하기와 관찰 잘하기... 2016-12-10 0 2950
11 詩人은 관찰력과 상상력이 진부해서는 절대 안된다... 2016-12-09 0 2510
‹처음  이전 34 35 36 37 38 39 40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