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4월 2025 >>
  12345
6789101112
13141516171819
20212223242526
27282930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詩人 대학교

유채꽃아, 나와 놀쟈...
2017년 07월 24일 03시 58분  조회:2269  추천:0  작성자: 죽림

유채꽃 바다 / 이향아 
  
유채꽃 보러 그와 갔었다 
남쪽 섬 제주도 
초봄이었어 
우리는 웃으면서 사진을 찍었지

 


유채꽃처럼 
유채꽃처럼 하늘하늘 웃는 얼굴로 
아린 듯 슬픈 듯 가슴이 조였었지


유채꽃은 지칠 듯이 아슴한 바다 
빠져 죽고 싶은 바다였었지 
함께 죽는다면야 죽고 싶었지

 

 

 

유채꽃  / 초 월

수평선 너머 물새들도 
순풍에 한가로이 노닐다 
지나는 화물선 뱃머리에 
몸을 맡기고, 

어부들은 고기잡이에 
여념없지만 떨리는 손길이 
바빠 질 때 꾸역꾸역 해가 
바다 속으로 기울면 우린 
황금빛으로 물든다. 

어느새 바람은 
동백꽃을 잠재우고 노란 
유채꽃과 개나리를 깨운다. 
남쪽 끝자락 제주로부터 
봄소식이 들려온다.

 

 

유채꽃 밭 / 임영준

 

노랑이면 다 노랑인 줄 아세요 
유채꽃밭 한번 찾아보세요 
만발했다는 말 가끔 쓰시나요 
그 곳을 제대로 보고나서나 쓰시지요 

그때 그녀와 함께 바라보던 
유채꽃밭에서 
아롱거리던 현기증을 
우리 사랑의 증표인 줄만 알았지요 

웬만한 열정이 아니라면 
엄벙덤벙 유채꽃밭 가지마세요 
일평생 뿌리내린 잔상으로 
모호하게 헛디딜 때가 많답니다 

어지간한 사이가 아니라면 
유채꽃밭에서 오래 머물지도 마세요 
그 시절이 하염없이 파고들어 
자꾸만 돌아가고 싶어질 겁니다

 

 

 

 

 

유채꽃 필 무렵 / 반기룡

움켜쥐면 쥘수록 
노란 물감이 파레트 위에서 정사를 시도한다 

흥건히 파고드는 물줄기 앞에 
노란  저고리 전율을 하고 
겨우내 움츠렸던 이목구비 활짝 열면 
온 천하가  제주도처럼 환하다 

유채 밭 이랑마다 
푹 익은 꽃으로 애무를 하고 
자분자분 비벼대는 입김은 
노란 가문에 족보처럼 파고든다 

 

유채꽃 흔들릴 때 /유응교 

바람 앞에 
흔들리지 않는 게  어디 있으랴 
갈대도 
하염없이 바람에 흔들리고 
그대의 
옷자락도 바람 앞에 흔들리네. 

그러나 그대여 
우리의 사랑은 
흔들려서는 안 되리. 
길고 긴 겨울 
어두운 고통의 터널을 나와 
이제 따뜻한 봄을 맞이하였으니 
그때 다짐하며 함께 잡은 손 
언제나 놓지 말고  걸어가야 하리. 

거세게 부는 바람 앞에 
흔들리지 않은 사람 어디 있으랴 
그러나 그대여 
그대는 결코 바람 앞에 
중심을 잃고 흔들려서는 안 되리.


끝없이 유혹의 손짓을 보내는 
노란 욕정의 파도위에서 
그대 결코 흔들려서는 안 되리. 
우리의 영원한 사랑을 위하여!

 

 

 

유채꽃 /조성심 
  
봄날 
소금끼 실은 바람 속에서 
까실한 이파리 말리며 무더기로 피어 
해를 바라고 
달을 바라다 
오지 않는 님 
이젠 지쳐 버렸다고 소리쳐 볼라요. 

볼 수 없으메 
생각하지도 않으리라던 
까맣게 멀어져버린 그대 모습이 
바람타는 오늘 
배 밑에서부터 덩어리로 뭉친 그리움으로 
목이 꺽꺽이도록 
이리 섧게 차고 올라온다요. 

바람에 흔들리며 
화분도 향기도 모두 날려보냈는데 
그대 기리는 심사는 
도무지 덜어지지가 않소. 
다시 또 받아 안아야 되는가 보오. 
아마 더 많은 세월을 
깊은 곳에 묻어야 하는가 보오.

 

 

유채꽃 하늘

닫쳤던 하늘이 문을 열면
그대의 손길처럼 부드러운
강 언덕 위에
그리운 발길들이 몰려와
초록 물감을 푼다.

여기저기서
끝없이 흔들어대는 손길들

바람이 멎어도
가슴이 떨리고
굳었던 마음이 금시
황금물결로 출렁인다.

오월 언덕에는
그리운 사람은 그리움으로
애타는 사람은 심한 갈증으로
슬픈 사람은
꽃잎 같은 눈물로 섰을 일이다.
동구 밖
유채 밭에 나서면
사랑하는 사람들의
눈길들은
온통 금모래 빛이다.

낮에는
땅에서 별빛으로
밤에는
하늘에서 꽃 보라로
피어 오르는 유채꽃.

끝없이 흔들어 대던
그 손길 못 잊어
바람이 멎어도
가슴이 떨리고
굳었던 마음이 금시
황금물결로 출렁인다.     -정용진,

 

 

                     유채꽃 하늘

닫쳤던 하늘이 문을 열면
그대의 손길처럼 부드러운
강 언덕 위에
그리운 발길들이 몰려와
초록 물감을 푼다.

여기저기서
끝없이 흔들어대는 손길들

바람이 멎어도
가슴이 떨리고
굳었던 마음이 금시
황금물결로 출렁인다.

오월 언덕에는
그리운 사람은 그리움으로
애타는 사람은 심한 갈증으로
슬픈 사람은
꽃잎 같은 눈물로 섰을 일이다.
동구 밖
유채 밭에 나서면
사랑하는 사람들의
눈길들은
온통 금모래 빛이다.

낮에는
땅에서 별빛으로
밤에는
하늘에서 꽃 보라로
피어 오르는 유채꽃.

끝없이 흔들어 대던
그 손길 못 잊어
바람이 멎어도
가슴이 떨리고
굳었던 마음이 금시
황금물결로 출렁인다.     -정용진,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1570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50 시의 초보자들이 개척해야 할 부분은 시를 극적으로 쓰는것... 2016-12-20 0 3010
49 시는 "부서진, 흩어진, 주인이 없는, 부르다가 죽은" 령혼찾기. 2016-12-19 0 2860
48 [시문학소사전] - 자동기술법과 의식의 흐름기법 2016-12-18 0 6263
47 [시문학소사전] - 자동기술법이란? 2016-12-18 0 5105
46 시의 기원은 노래... 2016-12-18 0 4050
45 시 = "최초의 궁리" + "가장 오래한 궁리" 2016-12-18 0 3847
44 [시문학소사전] - 중국 현대시 류파에 관하여 2016-12-16 0 2845
43 문학을 일상생활속에서 이어가는 삶은 아름답다... 2016-12-15 0 2601
42 시가 세상을 외면...??? 세상이 시를 외면...??? 2016-12-15 0 3078
41 문학은 싸구려 련애질의 방패가 옳다?... 아니다!... 2016-12-15 0 4169
40 소네트와 세익스피어 2016-12-14 0 3334
39 [시문학소사전] - 소네트란? 2016-12-14 0 4339
38 [시문학소사전] - 랑만주의란?... 2016-12-14 0 4037
37 영국 랑만주의 시인 - 퍼시 비시 셸리 2016-12-14 0 6629
36 신문기자 총편 출신 박문희선생 詩배우고 발표까지 하다... 2016-12-14 0 2563
35 글쓰기는 고역의 고역을 치루어야 좋은 작품이 탄생된다... 2016-12-13 0 2650
34 시는 "깨달음"의 "사고묶음"이여야... 2016-12-13 0 2719
33 이 책은 책이 아니다와 이 책은 보물창고다와의 시적미학 2016-12-12 0 2645
32 <농부> 시모음 2016-12-12 0 2907
31 시작은 시작으로서의 "남다른 시작의 길"을 모색해야... 2016-12-12 0 2743
30 시는 "나만의 스타일"로 쓰라... 2016-12-12 0 2725
29 시작은 모든 것이 늘 "치밀하고 + 치렬하게" 해야... 2016-12-12 0 2637
28 시작할 때 "화학조미료"같은 관념어 절대 "반입금지 명령"!... 2016-12-12 0 2902
27 시작할 때 스토리는 잇어지고 한가지 이야기만 하라... 2016-12-12 0 2917
26 "엉뚱한 생각" + "살짝 맛 간 시인" +... = 좋은 시 빚기 2016-12-12 0 2918
25 상상 + 더 깊은 상상...+... = 좋은 시 빚기 2016-12-12 0 2678
24 시는 류행가 가사가 옳다?... 아니다!... 2016-12-12 0 2601
23 시를 "감춤"과 "드러냄"의 사이에서 맛갈스레 빚어야... 2016-12-12 0 2469
22 시인은 늘 예민한 촉수로 훌륭한 시를 빚기 위해 정진해야... 2016-12-12 0 2581
21 시쓰기는 "참 나를 찾고자"하는 고행이다... 2016-12-12 0 2584
20 시인도 "완전무장"을 해야 좋은 시를 쓸수 있다... 2016-12-12 0 2600
19 "썩을 놈! 어떻게 요런 시를 다 썼을깜?!..." 2016-12-11 0 2812
18 시작은 "가장 쉬운 말로, 최대한 짧게, 가장 깊은 울림"으로... 2016-12-11 0 2586
17 누가 뭐라고 해도 시는 시인이 쓰는것... 2016-12-11 0 2684
16 참 시인 되자면... 2016-12-11 0 2725
15 시 "승무"를 삭히는데 3년이나 걸리다... 2016-12-11 0 2444
14 <술> 시모음 2016-12-11 0 2542
13 [시문학소사전] - 실존주의란?... 2016-12-11 0 4525
12 詩作 잘하기와 관찰 잘하기... 2016-12-10 0 2958
11 詩人은 관찰력과 상상력이 진부해서는 절대 안된다... 2016-12-09 0 2514
‹처음  이전 34 35 36 37 38 39 40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