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7월 2025 >>
  12345
6789101112
13141516171819
20212223242526
2728293031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詩人 대학교

하나가 여럿이고, 여럿이 하나이다...
2017년 04월 19일 00시 14분  조회:2830  추천:0  작성자: 죽림
'서정시 동서고금 모두 하나'

(서울=연합뉴스) 김계연 기자 =

"소설이 '一卽多'(일즉다)라면, 서정시는 '多卽一'(다즉일)이다.

소설은 사람은 누구나 사람이면서 얼마나 다르게 사는지 보여준다.

서정시는 각기 다른 사람들이 같은 생각을 하는 것을 알려준다."

국문학계 원로인 조동일(78) 서울대 명예교수는 불교 화엄철학의 세계관인 '일즉다 다즉일'(하나가 여럿이고, 여럿이 하나이다)을 가져와 소설과 서정시의 지향점을 명확하게 대비시킨다.
소설이 시간과 장소에 따라 다양하게 겪는 체험을 보여주는 반면,
서정시는 서로 다른 세계의 모습을 그대로 드러내지 않고 자아로 끌어들여 속마음이 하나라는 점을 내보인다.

 

이런 관점에서 동서양의 이름난 서정시들을 속마음의 성격에 따라 나눠 묶은 시선집 '서정시 동서고금 모두 하나'가 최근 출간됐다. 실향·이별·유랑·위안·자성·항변 등 주제별로 100여 편씩 6권에 싣고 작품마다 해설을 달았다.

독일 낭만주의 시인 프리드리히 횔덜린은 '고향'에서 "나를 키워주던 그대 거룩한 강가여,/ 사랑의 괴로움을 진정시켜주겠나."라며 고향으로 돌아가 위안을 얻고자 한다. 100여 년 뒤 김소월 시인도 "죽어서만은 천애일방 헤매지 말고/ 넋이라도 있거들랑 고향으로 네 가거라."라고 썼다. 고향 상실은 결핍의 일종이고 실향시는 이 결핍을 보완하려는 시도라고 조 교수는 설명한다.

서정시의 주제는 고향과 사랑하는 사람의 상실에서 시작해 먼 곳으로 가 유랑하고 시에서 위안을 얻는 데까지 나아간다. 시인 노릇에 대한 자성과 그릇된 세상을 바로잡으려는 항변이 뒤따른다.

 

세계의 부조리, 그에 대한 투쟁 의지를 속마음으로 표현한다는 점에서 저항·참여시도 엄연한 서정시다. 조 교수는 김지하의 '타는 목마름으로'와 프랑스 시인 폴 엘뤼아르의 '자유'를 나란히 놓는다. 표절 시비로 비화할 만큼 빼닮은 두 작품의 차이를 조 교수는 이렇게 말한다.

"공중에서 내려다보면서 모든 것을 포괄하는 총체적 자유를 말할 수 있는 여유가 김지하에게는 없었다. 엘뤼아르의 초현실주의는 상상과 연상의 공중비행을 가능하게 했으나, 김지하는 사실주의의 노선을 견지하면서 탄압을 무릅쓰고 부당한 현실과 대결해야 했다."

조 교수는 현역 시절 '소설의 사회사 비교론' 등 저서로 서사문학을 체계화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하지만 "고등학교 시절에 시 짓는 것을 즐거움으로 삼고, 대학에서 불문학을 전공하면서 상징주의 시에 심취했다"는 소회를 보면 서정시에 대한 애정도 남달라 보인다. 조 교수는 "상징주의 시를 시가 되게 번역해 공감을 나누고 싶은 소망을 오랫동안 간직하다가 이제야 조금 실현한다"며 "소설을 편애한 잘못도 바로잡고 시정하고 싶다"고 말했다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1570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450 수필의 허구문제를 알아보다(2) 2017-05-05 0 3321
449 수필의 허구문제를 알아보다(1) 2017-05-05 0 2967
448 시인은 자국자국마다 시향을 흩날려야... 2017-05-05 0 3240
447 시의 파문이 느리게 오래 지속되는 시를 써야... 2017-05-05 0 2801
446 시인은 위대한 상상력의 소유자이다... 2017-05-05 0 2871
445 시는 자기 자신의 삶을 발견하는것이다... 2017-05-05 0 2480
444 [고향문단소식] - 시내물 흘러 흘러 강물이 되여 바다로 간다... 2017-05-04 0 2680
443 시인은 령혼이 없는 시, 5차원이 없는 시를 쓰지 말아야... 2017-05-04 0 2597
442 시인은 함께 하는 눈과 멀리 보는 눈이 있어야... 2017-05-04 0 2681
441 시인은 화폭같은 이미지를 잘 구사할줄 알아야... 2017-05-02 0 2960
440 시는 짧은 속에서 시인의 시력과 시야가 압축되여 있어야... 2017-05-01 0 2829
439 시인은 언어란 이 괴물을 쉽게 휘여잡을줄 알아야... 2017-05-01 0 2845
438 시인은 고독한 원을 긋으며 도망친다... 2017-05-01 0 2908
437 시란 잘 고양된 수학이다... 2017-05-01 0 3516
436 [시문학소사전] - "이미지스트"란?... 2017-05-01 0 4191
435 [시문학소사전] - "무운시"란?... 2017-05-01 0 4210
434 시인은 자기자신만의 시론으로 시창작에 림하면 행복하다... 2017-04-30 0 2375
433 시의 정신활동은 가장 중요하게 통찰력과 상상력 이다... 2017-04-30 0 2656
432 시를 배울 때 이전에 배운 지식들을 다 버리시ㅠ... 2017-04-30 0 2588
431 시를 공부하는 과정에는 "이미지"가 한 필수조건 이다... 2017-04-30 0 2612
430 시지기라는 눔에게 "치매 걸린 엄마"라도 있었으면... 2017-04-30 0 2453
429 시인은 고독을 줄기차게 친구 삼고 문제의식을 늘 가져라... 2017-04-30 0 2377
428 우물쭈물하다가 내 이럴 줄 알았다... 2017-04-24 0 3625
427 [작문써클선생님들께] - 크릴로프의 우화를 읽게 해야... 2017-04-24 0 3519
426 시란 무경계 세상에서 희노애락의 꽃을 꽃피우는 행위이다... 2017-04-24 0 2780
425 시인은 자기자신만의 시를 찾아야 생명력이 있다... 2017-04-23 0 2261
424 "시인"이랍시고?-, 당신의 "구두"는 젖어보았는가... 2017-04-21 0 2635
423 윤동주 묘비의 각인을 살펴보다... 2017-04-21 0 3782
422 아프리카 세네갈 대통령 시인 - 상고르 2017-04-20 0 2980
421 시인은 시를 오랫동안 삭힐줄 알아야... 2017-04-20 0 2238
420 [쉼터] - "연변말"이 "마지막 수업"으로만 되지 말기만을... 2017-04-19 0 2671
419 아리랑은 영원한 아리랑이다... 2017-04-19 0 2505
418 시속에 무르녹아 있는 시어와의 만남을 류의하라... 2017-04-19 0 2919
417 [시문학소사전] - "산문시"란?... 2017-04-19 0 3322
416 하나가 여럿이고, 여럿이 하나이다... 2017-04-19 0 2830
415 절대적으로 정신을 차려야 할 편집들께= "표절은 절대 금물" 2017-04-18 0 3151
414 그대들의 마음속엔 어떤 나무를 심었는가?!... 2017-04-18 0 2483
413 <화투> 잡설시 2017-04-18 0 2804
412 서사시는 敍事詩로서 장시(長詩)이다... 2017-04-18 0 2540
411 사상 최초이자 최고의 서사시를 지은 시인 - 호메로스 2017-04-18 0 2944
‹처음  이전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