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2월 2025 >>
      1
2345678
9101112131415
16171819202122
232425262728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詩人 대학교

불쌍한 시들을 위하여 시인들은 장인정신을 갖추어야...
2017년 04월 18일 17시 27분  조회:2390  추천:0  작성자: 죽림

 



정호정/수정작품과 단번에 완성한 작품


나는 시를 어림으로 고친다. 무슨 이유로 어떻게 고친다는 이론이나 전문 용어는 잘 모른다. 그러므로 ‘나의 시 이렇게 고쳤다’고 하기보다는 ‘나의 시 이렇게 썼다’고 밝히는 것이 마땅할 것 같다. 시를 완성해 가는 길이라는 동질성에서 감히. 
써 놓은 시에 수정을 가한 것과, 초점이 잘 맞아 단번에 완성할 수 있었던 작품 두 편을 예시하기로 한다.

1
‘능견난사(能見難思)’라는 유기 응기(應器)를 보았다. ‘잘 살펴보고도 보통의 이치로는 추측할 수 없는 일’이라는 뜻을 가진 ‘능견난사’의 정보에 충실하기로 한다.
송광사 박물관 소장. 고려 후기. 전남 유형문화재 제19호. 구경 16.7cm, 높이 4.7cm. 두께 1mm. 송광사 구전에 의하면 금(金)나라의 장종황제의 황후가 쓰러져 기도할 때 보조국사(普照國師)가 사용했던 접시라 한다.
숙종조에 사찰을 중창하며 나라에 진상하였으며, 어떤 대장장이도 그대로 만들어내지 못함에 왕이 어필로 ‘能見難思’라 써 내린 것이 이름이 되었다 한다. 어필은 남아 있지 않다.
송광사 기록에는 500개, 1828년 충청도관찰사 홍석주의 기행문 「여천옹유산록」에서는 50개를 보았다 하나, 지금의 송광사에는 30개가 현존한다.

조계산을 넘어 선암사로 가고 있었다. ‘능견난사’는 내내 나를 따라오고 있었다. 날아갈 듯이 고운 살결에 나의 모습이 어려 있었다. 그것은 나의 별이며 나의 시였다. 조계산의 밤하늘에서 총총히 빛나던, 나의 유년의 별이 아니라, 살아오는 동안에 갈개다 찢긴, 상처자국들 그득한, 빛을 잃은 별이었다. 부득부득 태어나고 있는 나의 시집이 세상에 나와 어떤 수모를 당할지, 많은 좋은 시들 앞에서 얼마나 초라할지 모를 불쌍한 나의 시였다. 

조계산을 넘으며①(초고분) 

능견난사能見難思에서 너를 본다②
(너는 많이 일그러져 있다 
능견난사는 송광사 박물관이 소장한 
방짜유기접시
숙종때 사찰을 중창하며 진상한, 
어떤 장인도 그대로 만들어내지 못해 
왕이 어필로 써서 내렸다는 이름) 
고운 살결에 가장자리를 가는 실금으로 말아올렸다③
(16.7cm의 구경이며 4.7cm의 높이, 1mm의 두께가 
한결같다 차곡차곡 겹쳐진다) 
겹쳐지는 놋쇠덩이를 주무른 망치의 힘을 본다④
스치며 날아앉는 얇은 사의, 
스미는 물소리의, 
깊이 가라앉은 하늘빛의,
유년의 냇가에 구르던 웃음소리의
춤,
춤의 흔적같은 
너의 살결은 뭉쳐 있는가 하면 창이 나려 한다 
돌산이 들판이 아무렇게나 널부러져 있다 

(‘능견난사’에 비치는 나의 너) 
돌각다리 길을 오르며 내릴 때 
내 안에서 이는 물 소리 바람 소리,
갈대의 서걱임마저 나를 깨운다
(누구도 재현하지 못한 신기만이 사랑이 아니라고
잘 생기지 못한 너를 다독인다.) 
쪻괄호는 수정에 필요한 것임.

⑴ ①에서 특별한 의미를 갖지 못하는 제목을 버리고, 구전을 참작하여 ‘누군가 방짜유기접시를 능경난사라 했네’로 개작하였다.
⑵ ②에서 ‘능견난사’를 ‘방짜유기접시’로 수정하였다.
⑶ 구전이나 사실의 서술 또는 군더더기로 여겨지는 괄호 안의 부분을 모두 삭제하였다. 
⑷ ③과 ④의 순서를 바꾸어 놓았다. 

누군가 방짜유기접시를 ‘能見難思’라 했네 (수정분)

방짜유기접시에서 너를 본다 
겹쳐지는 놋쇠덩이를 주무른 망치의 힘을 본다 
고운 살결에 
가장자리를 가는 실금으로 말아올린 
스치며 날아앉는 얇은 사의 
스미는 물소리의 
깊이 가라앉은 하늘빛의 
유년의 냇가에 구르던 웃음소리의 

춤의 흔적같은 
너의 살결은 뭉쳐 있는가 하면 창이 나려 한다 
돌산이 들판이 아무렇게나 널부러져 있다 

돌각다리 길을 오르며 내릴 때 
내 안에서 이는 물소리 바람소리 
갈대의 서걱임마저 나를 깨운다.


고산(孤山)의 세연지(洗然池)는 매우 아름답다. 굴뚝다리로 보(洑)를 삼은 계담(溪潭)으로 물이 소리 없이 스민다. 이리저리 늘어놓은 바위들을 돌며 ㄹ자의 물길을 따라 다시 회수담(回水潭)으로 흐른다. 나는 동산에 떠오르는 달이며, 춤추는 무희의 너울이 잠기는 물을 그려 보기로 하였다. 아무리 그려 보아도 세연지의 아름다움일 뿐 나와는 아무런 상관이 없었다. 나는 세연지의 홍보원이 아니지 않은가.
문득 고요한 물에서 묵묵한 인종이 보였다. 할머니의 할머니로부터 이어온 아름다운, 그것은 바로 나와의 관계였다. 이 여인들의 인종이 고요하게 가라앉아서 모든 힘의 원천이 되고 있었다. 굴뚝다리에서 한바탕씩 갈등이 풀리고 있었다. 울리는 물소리를 즐기고 싶었을지, 물의 갈등을 풀어주고 싶었을지, 굴뚝다리를 놓은 고산의 의도를 내가 헤아릴 필요는 없었다. 나는 다만 물의 입장을 헤아리면 그만이었다.

창으로 넘나드는 자연은 늘 신선하다 

고산은 흐르는 물에 굴뚝다리를 놓아 연못을 만들었습니다
물이 고개를 숙이며 돌틈으로 스며듭니다 
숨을 죽입니다 발뒤꿈치를 듭니다 소리 없이
이리저리 늘어놓은 바위며 배롱나무섬을 돕니다
산에서 흐른 암반 위에서 물은 맑고 고요합니다
맑고 고요한 물의 소리를 들어본 적이 있으신지요
큰 소리로 외치고 싶은, 서로 얼싸안고 싶은,
목놓아 울고 싶은, 위로받고 싶은,
살아 있음이며 반가움 서러움 고달픔들 

두드리면 통통 소리가 납니다 속이 텅 비어 있습니다
암반 위에 양쪽으로 돌판을 세우고, 다시 돌판으로 덮은,
평소에는 건너다니는 다리가 되고, 물이 넘치면 
폭포가 됩니다

물의 소리에 공명하는, 
모두 다 내어준 이의 가슴입니다
때때로 차오른 나의 갈등이 풀리는 가슴으로 하여 
계담의 물은 늘 아름답습니다.◑

◇정호정 경기 안산 생. 98년 『문학과 창작』 신인상 당선. 시집 『프로스트의 샘』.

---------------------------------------------------------------------------------

 

 

빈 무덤―잃어버린 마을, 무등이왓에서 ―문충성(1938∼ )

댓잎 바람 소리
봉분들
빈 무덤들
만들었네 시신들
찾지 못해

시뻘겋게 미쳐나
제주 하늘 떠돌다
시커멓게
멍든
혼들아!

50년도 더 지나
고작
눈물 무덤들
지어냈으니
와서
보아라!
무자년 그 처참한 삶과 죽음들

나라는 어디에 있지?
백의민족은?
우리가 창조해낸
삶, 아!
그 빈 무덤들! 

이 시를 옮긴 시집 ‘허물어진 집’은 금빛 햇살 물고 한가로이 파도치는 아름다운 제주 바다, 수심(水深) 깊이에서 자욱이 피어오르는 제주도 사람의 처연한 역사로 독자 가슴을 벤다. ‘제주어(제주 토박이말)가 사라져간다./제주도인도 사라져간다./사라지기 전에 이 언어로/제주 4.3사태 등에 대한 몇 편의 시를 썼다.’(‘시인의 말’에서) 사람들아, ‘와서/보아라!’ 아주 오래전 일이지만 그에 서린 애통함과 의분(義憤)이 언제까지고 가슴을 쑤시는 ‘무자년 그 처참한 삶과 죽음들’. 4·3사태 유적지 ‘무등이왓’, 정확히는 ‘무등이왓 터’에서 새삼 무너지는 시인의 억장이다.
 

 

‘왓’은 ‘밭’이라는 뜻의 제주도 방언이다. ‘무등이왓’에 대한 사진과 글이 인터넷에 많이 올라 있다. 1948년 11월에 ‘시뻘겋게 미쳐나’, 불을 내서 주민을 몰살시키고 폐촌을 만들었다지. ‘댓잎 바람 소리/봉분들/빈 무덤들/만들었네 시신들/찾지 못해’, 인터넷 사진 속의 돌담을 뒤덮은 무성한 대나무 숲, 솨솨 흔들리는 소리 들리는 듯하다. ‘행복한사람’이라는 블로거가 글을 맺은 말이 가슴에 남는다. ‘먹고살기 힘들다고/내가 겪은 일이 아니라고/잊어버리지 않기를/소홀히 하지 않기를/나는 제주인이니까!’

거칠게 선동하는 게 아니라 마음이 우러나 움직이게 하는 선생의 제주 시편들. 무너지는 억장에서 나오는 여리고 맑은 시어가 가슴에 촉촉이 젖어든다. 가령 ‘할로산과 흐르지 않는 남수각 시내/개떡 같은 초가 마을이/살았어요 검둥개와 조랑말/복숭게낭/돔박낭과 돔박생이/밥주리와 독수리/머쿠슬낭과 머쿠슬생이’(시 ‘회귀·回歸’에서), 언제까지고 나직나직 이어질 듯한 이 서럽고 아름다운 옛이야기 가락. 선생의 시집들을 다시 찾아 읽어야겠다.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1570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50 시의 초보자들이 개척해야 할 부분은 시를 극적으로 쓰는것... 2016-12-20 0 2973
49 시는 "부서진, 흩어진, 주인이 없는, 부르다가 죽은" 령혼찾기. 2016-12-19 0 2796
48 [시문학소사전] - 자동기술법과 의식의 흐름기법 2016-12-18 0 6193
47 [시문학소사전] - 자동기술법이란? 2016-12-18 0 5027
46 시의 기원은 노래... 2016-12-18 0 4011
45 시 = "최초의 궁리" + "가장 오래한 궁리" 2016-12-18 0 3795
44 [시문학소사전] - 중국 현대시 류파에 관하여 2016-12-16 0 2821
43 문학을 일상생활속에서 이어가는 삶은 아름답다... 2016-12-15 0 2489
42 시가 세상을 외면...??? 세상이 시를 외면...??? 2016-12-15 0 3030
41 문학은 싸구려 련애질의 방패가 옳다?... 아니다!... 2016-12-15 0 4156
40 소네트와 세익스피어 2016-12-14 0 3320
39 [시문학소사전] - 소네트란? 2016-12-14 0 4287
38 [시문학소사전] - 랑만주의란?... 2016-12-14 0 3956
37 영국 랑만주의 시인 - 퍼시 비시 셸리 2016-12-14 0 6483
36 신문기자 총편 출신 박문희선생 詩배우고 발표까지 하다... 2016-12-14 0 2547
35 글쓰기는 고역의 고역을 치루어야 좋은 작품이 탄생된다... 2016-12-13 0 2629
34 시는 "깨달음"의 "사고묶음"이여야... 2016-12-13 0 2702
33 이 책은 책이 아니다와 이 책은 보물창고다와의 시적미학 2016-12-12 0 2590
32 <농부> 시모음 2016-12-12 0 2872
31 시작은 시작으로서의 "남다른 시작의 길"을 모색해야... 2016-12-12 0 2707
30 시는 "나만의 스타일"로 쓰라... 2016-12-12 0 2669
29 시작은 모든 것이 늘 "치밀하고 + 치렬하게" 해야... 2016-12-12 0 2596
28 시작할 때 "화학조미료"같은 관념어 절대 "반입금지 명령"!... 2016-12-12 0 2860
27 시작할 때 스토리는 잇어지고 한가지 이야기만 하라... 2016-12-12 0 2856
26 "엉뚱한 생각" + "살짝 맛 간 시인" +... = 좋은 시 빚기 2016-12-12 0 2870
25 상상 + 더 깊은 상상...+... = 좋은 시 빚기 2016-12-12 0 2601
24 시는 류행가 가사가 옳다?... 아니다!... 2016-12-12 0 2534
23 시를 "감춤"과 "드러냄"의 사이에서 맛갈스레 빚어야... 2016-12-12 0 2421
22 시인은 늘 예민한 촉수로 훌륭한 시를 빚기 위해 정진해야... 2016-12-12 0 2552
21 시쓰기는 "참 나를 찾고자"하는 고행이다... 2016-12-12 0 2545
20 시인도 "완전무장"을 해야 좋은 시를 쓸수 있다... 2016-12-12 0 2576
19 "썩을 놈! 어떻게 요런 시를 다 썼을깜?!..." 2016-12-11 0 2779
18 시작은 "가장 쉬운 말로, 최대한 짧게, 가장 깊은 울림"으로... 2016-12-11 0 2544
17 누가 뭐라고 해도 시는 시인이 쓰는것... 2016-12-11 0 2630
16 참 시인 되자면... 2016-12-11 0 2636
15 시 "승무"를 삭히는데 3년이나 걸리다... 2016-12-11 0 2375
14 <술> 시모음 2016-12-11 0 2528
13 [시문학소사전] - 실존주의란?... 2016-12-11 0 4493
12 詩作 잘하기와 관찰 잘하기... 2016-12-10 0 2924
11 詩人은 관찰력과 상상력이 진부해서는 절대 안된다... 2016-12-09 0 2478
‹처음  이전 34 35 36 37 38 39 40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