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4월 2025 >>
  12345
6789101112
13141516171819
20212223242526
27282930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詩人 대학교

시작은 섣부른 감정을 억제하고 간접화법으로 노래하라...
2017년 04월 03일 01시 14분  조회:2394  추천:0  작성자: 죽림
 

<섣부른 감정을 억제하고 간접화법으로 노래하라> 
-이근배-

김기림의 수필 [길]을 읽어 드리겠습니다. 이 글은 1936년 그가 스물여덟 살 때 
쯤 발표한 것입니다. 김기림은 함경도 성징 태생으로 여섯 살 때 어머니를 여의었습니다. 
1914년, 즉 막 한일합방이 되던 무렵, 아버지는 계모를 들였고, 어린 소년이 어떻게 자라왔 
느냐를 짧은 수필에 담았습니다. 

'나의 소년 시절은 銀빛 바다가 엿보이는 그 긴 언덕길을 어머니의 喪輿와 함께 꼬부라져 
돌아갔다. 
내 첫사랑도 그 길 위에서 조약돌처럼 집었다가 조약돌처럼 잃어버렸다. 
그래서 나는 푸른 하늘 빛에 호져 때없이 그 길을 넘어 江가로 내려 갔다가도 노을에 함북 
젖어서 돌아오곤 했다. 
그 江가에는 봄이, 여름이, 가을이, 겨울이 나의 나이와 함께 여러번 다녀갔다. 
까마귀도 날아가고 두루미도 떠나간 다음에는 누런 모래둔과 그리고 어두운 내 마음이 남아 
서 몸서리쳤다. 그런 날은 항용 감기를 만나서 돌아와 앓았다. 
할아버지도 언제 난 지를 모른다는 마을 밖 그 늙은 버드나무 밑에서 나는 지금도 돌아오지 
않는 어머니, 돌아오지 않는 계집애, 돌아오지 않는 이야기가 돌아올 것만 같아 멍하니 기다 
려 본다. 그러면 어느새 어둠이 기어와서 내 뺨의 얼룩을 씻어준다.' 

이 수필은 몇 대목에서 우리가 음미할 대목이 있습니다. 즉 도입부는 한 문장입니다. 첫 문 
장에서 '은빛 바다가 엿보이는' 자기 마을의 풍경과 두 번째로는 '어머니의 상여와 함께'라 
는 대목으로 어머니를 일찍 여의였음을 말하고, 세 번째로는 '상여와 함께 꼬부라져 돌아갔 
다'라는 대목에서 유년 시절이 방황과 배회로 점철되어 있음을 나타냅니다. 두 번째 문장의 
'내 첫사랑도 그 길 위에서 조약돌처럼 집었다가 조약돌처럼 잃어버렸다.'는 얼마 전 작고하 
신 황순원 선생의 [소나기]에서와 같은 사랑을 그린 겁니다. 그래서 푸른 하늘 빛에 이끌려 
강가로 내려갔다가도 노을에 함북 자줏빛으로 젖어 돌아온다고 했습니다. 강가라는 공간과 
노을이 지는 시간이 자기 속에 어떻게 각인되느냐를 이미지로 그린 게 실감나게 그려졌습니 
다. 
아시는 바와 같이 가마귀는 텃새입니다. 반면에 두루미는 철새입니다. 그러나 이것은 단순히 
새를 가리키는 말은 아닙니다. 가마귀와 두루미로 상징되는, 어린 소년을 보살펴 주던 어머 
니며 누이들이 떠나갔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그 다음 '모래둔(모래언덕)'과 '어두운 내 마음 
'은 병치되어 있습니다. 쓸쓸한 마음을 깔깔하고 음산한 모래둔에 비긴 것입니다. 
'어느 새 어둠이 기어와서'에서는 동구 밖에 우두커니 서 있는 소년이 보이고, 뺨의 얼룩에 
서는 그 소년의 볼에 흐른 눈물이 보입니다. 어둠이 눈물을 가려주는 것을 수사법으로 그린 
것입니다. 
제가 이 수필을 굳이 들려 드리는 까닭은, 가령 저 같으면 한번쯤이라도 슬프다거나 울었다 
거나, 눈물이라거나 그립다거나 외롭다거나 하는 말들을 쓸 법한데 잘 절제되어 있기 때문 
입니다. 말을 쓸 때 직접적인 말을 쓰지 않고, 어떻게 간접화법으로 수필이며 시를 썼는가 
하는 것에 눈뜨게 하는 명편입니다. 모름지기 우리도 간접화법을 이용하여 말맛을 자아내면 
서 자신의 심상을 그리는 훈련을 게을리 하지 말아야 하겠습니다.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1570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690 살아있는 시는 류행에 매달리지 않고 시대를 초월한 시이다... 2017-09-02 0 2245
689 문제 시인, 유명 시인, 훌륭한 시인, 무명 시인... 2017-09-02 0 2107
688 어떤 시인들은 자기가 갖고 있는 자대를 늘 자랑하는데... ㅉㅉ 2017-09-02 0 2325
687 늘 헛시농사를 짓는 시지기는 죽을 때까지 시씨를 뿌리고지고... 2017-08-29 0 2250
686 녀성의 립장에서 쓴 시와 남성의 립장에서 쓴 시... 2017-08-28 0 2539
685 걸어온 길과 걷고 있는 길과 걸어가야 할 길... 2017-08-28 0 2187
684 시어의 보고는 비어, 속어, 사투리, 은어, 구어 곧 활어이다... 2017-08-24 0 2460
683 "이 아름다운 날들이 언제까지라도 계속되길"... 2017-08-24 0 2401
682 당신들은 아버지 사타구니를 닦아본적 있으십니까?!... 2017-08-23 0 3191
681 "님은 갔지마는 나는 님을 보내지 아니 하였습니다"... 2017-08-23 0 2567
680 시세계, 시나라 좁고 넓고 짧고 길다... 2017-08-22 0 2492
679 시는 짧은 세계, 짧은 시의 나라... 2017-08-22 0 2651
678 짧은 시의 나라, 시는 짧은 세계... 2017-08-22 0 2895
677 시를 쓴다는것은 상투적 껍질을 벗겨내는 작업이다... 2017-08-22 0 2363
676 "아버지의 성기를 노래하고싶다"... 2017-08-22 0 2688
675 "그때 사방팔방에서 저녁노을이 나를 바라보고 있었다"... 2017-08-22 0 2268
674 시는 활자화되기전, 랭정하게 다듬기에 온갖 피를 쏟으라... 2017-08-22 0 2202
673 시를 시의 나라로 던질때 진저리치며 받아주는 이, 그 누구?!... 2017-08-22 0 2290
672 시는 무의 세계, 침묵의 나라, 시다운 시여야 절에 들어가는것, 2017-08-22 0 2173
671 시는 멀리 있는것이 아니라 가까이에 살그머니 있다... 2017-08-22 0 1869
670 시속의 비밀은 모든 사람들에게 각기 다른 주파수를 준다... 2017-08-22 0 2229
669 시는 진술이 아니라 언어에 늘 새옷을 입히는 행위이다... 2017-08-22 0 2032
668 "온몸으로 불 밝히는 살구꽃나무 환하게 서서 있었다"... 2017-08-22 0 2019
667 시는 언어를 재료로 하는 예술이며 미학이지 철학은 아니다... 2017-08-22 0 2228
666 "한줄을 쓰기전에 백줄을 읽고 독파하라"... 2017-08-22 0 1965
665 시적 언어재현으로 시각적인 상(像)-이미지를 찾아 그려라... 2017-08-22 0 2125
664 "어미를 따라 잡힌 어린 게 한마리"와 군용트럭... 2017-08-21 0 2068
663 "저 모습 뒤편에는 무수한 시침이 꽂혀 있을것이다"... 2017-08-21 0 1880
662 "아, 이거 시가 되겠네"... 2017-08-21 0 1753
661 "장백산아, 이야기하라"... 2017-08-21 0 2015
660 "틀에만 얽매이지 말고 틀을 벗어나 살라"... 2017-08-21 0 2017
659 "한개 두개 세개" 동요동시야 나와 놀쟈... 2017-08-21 0 2898
658 시인은 전자아(全自我)를 대변할수 있는 화자를 발견해야... 2017-08-21 0 1998
657 "그 바보들 틈에서 노는것이 마냥 즐겁기만하다"... 2017-08-20 0 2182
656 시를 이렇게도, 저렇게도 해석할수 있는 시가 재미있는 시?!... 2017-08-20 0 2102
655 "...가실 때에는 말없이 고이 보내드리우리다"... 2017-08-19 0 1885
654 추억의 "되놀이" - 문득 "되놀이" 하고싶어짐은 또... 2017-08-18 0 2157
653 [땡... 복습시간이다...] - 중고생들 안녕하십니까... 2017-08-18 0 3354
652 [땡... 복습시간이다...]- 와- 동시를 쓰는 방법을 배워준대... 2017-08-18 0 2383
651 시적 상상력을 어떻게 구사할것인가... 2017-08-18 0 2271
‹처음  이전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