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4월 2025 >>
  12345
6789101112
13141516171819
20212223242526
27282930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詩人 대학교

시작은 섣부른 감정을 억제하고 간접화법으로 노래하라...
2017년 04월 03일 01시 14분  조회:2405  추천:0  작성자: 죽림
 

<섣부른 감정을 억제하고 간접화법으로 노래하라> 
-이근배-

김기림의 수필 [길]을 읽어 드리겠습니다. 이 글은 1936년 그가 스물여덟 살 때 
쯤 발표한 것입니다. 김기림은 함경도 성징 태생으로 여섯 살 때 어머니를 여의었습니다. 
1914년, 즉 막 한일합방이 되던 무렵, 아버지는 계모를 들였고, 어린 소년이 어떻게 자라왔 
느냐를 짧은 수필에 담았습니다. 

'나의 소년 시절은 銀빛 바다가 엿보이는 그 긴 언덕길을 어머니의 喪輿와 함께 꼬부라져 
돌아갔다. 
내 첫사랑도 그 길 위에서 조약돌처럼 집었다가 조약돌처럼 잃어버렸다. 
그래서 나는 푸른 하늘 빛에 호져 때없이 그 길을 넘어 江가로 내려 갔다가도 노을에 함북 
젖어서 돌아오곤 했다. 
그 江가에는 봄이, 여름이, 가을이, 겨울이 나의 나이와 함께 여러번 다녀갔다. 
까마귀도 날아가고 두루미도 떠나간 다음에는 누런 모래둔과 그리고 어두운 내 마음이 남아 
서 몸서리쳤다. 그런 날은 항용 감기를 만나서 돌아와 앓았다. 
할아버지도 언제 난 지를 모른다는 마을 밖 그 늙은 버드나무 밑에서 나는 지금도 돌아오지 
않는 어머니, 돌아오지 않는 계집애, 돌아오지 않는 이야기가 돌아올 것만 같아 멍하니 기다 
려 본다. 그러면 어느새 어둠이 기어와서 내 뺨의 얼룩을 씻어준다.' 

이 수필은 몇 대목에서 우리가 음미할 대목이 있습니다. 즉 도입부는 한 문장입니다. 첫 문 
장에서 '은빛 바다가 엿보이는' 자기 마을의 풍경과 두 번째로는 '어머니의 상여와 함께'라 
는 대목으로 어머니를 일찍 여의였음을 말하고, 세 번째로는 '상여와 함께 꼬부라져 돌아갔 
다'라는 대목에서 유년 시절이 방황과 배회로 점철되어 있음을 나타냅니다. 두 번째 문장의 
'내 첫사랑도 그 길 위에서 조약돌처럼 집었다가 조약돌처럼 잃어버렸다.'는 얼마 전 작고하 
신 황순원 선생의 [소나기]에서와 같은 사랑을 그린 겁니다. 그래서 푸른 하늘 빛에 이끌려 
강가로 내려갔다가도 노을에 함북 자줏빛으로 젖어 돌아온다고 했습니다. 강가라는 공간과 
노을이 지는 시간이 자기 속에 어떻게 각인되느냐를 이미지로 그린 게 실감나게 그려졌습니 
다. 
아시는 바와 같이 가마귀는 텃새입니다. 반면에 두루미는 철새입니다. 그러나 이것은 단순히 
새를 가리키는 말은 아닙니다. 가마귀와 두루미로 상징되는, 어린 소년을 보살펴 주던 어머 
니며 누이들이 떠나갔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그 다음 '모래둔(모래언덕)'과 '어두운 내 마음 
'은 병치되어 있습니다. 쓸쓸한 마음을 깔깔하고 음산한 모래둔에 비긴 것입니다. 
'어느 새 어둠이 기어와서'에서는 동구 밖에 우두커니 서 있는 소년이 보이고, 뺨의 얼룩에 
서는 그 소년의 볼에 흐른 눈물이 보입니다. 어둠이 눈물을 가려주는 것을 수사법으로 그린 
것입니다. 
제가 이 수필을 굳이 들려 드리는 까닭은, 가령 저 같으면 한번쯤이라도 슬프다거나 울었다 
거나, 눈물이라거나 그립다거나 외롭다거나 하는 말들을 쓸 법한데 잘 절제되어 있기 때문 
입니다. 말을 쓸 때 직접적인 말을 쓰지 않고, 어떻게 간접화법으로 수필이며 시를 썼는가 
하는 것에 눈뜨게 하는 명편입니다. 모름지기 우리도 간접화법을 이용하여 말맛을 자아내면 
서 자신의 심상을 그리는 훈련을 게을리 하지 말아야 하겠습니다.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1570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50 시의 초보자들이 개척해야 할 부분은 시를 극적으로 쓰는것... 2016-12-20 0 3010
49 시는 "부서진, 흩어진, 주인이 없는, 부르다가 죽은" 령혼찾기. 2016-12-19 0 2860
48 [시문학소사전] - 자동기술법과 의식의 흐름기법 2016-12-18 0 6262
47 [시문학소사전] - 자동기술법이란? 2016-12-18 0 5103
46 시의 기원은 노래... 2016-12-18 0 4050
45 시 = "최초의 궁리" + "가장 오래한 궁리" 2016-12-18 0 3846
44 [시문학소사전] - 중국 현대시 류파에 관하여 2016-12-16 0 2845
43 문학을 일상생활속에서 이어가는 삶은 아름답다... 2016-12-15 0 2597
42 시가 세상을 외면...??? 세상이 시를 외면...??? 2016-12-15 0 3077
41 문학은 싸구려 련애질의 방패가 옳다?... 아니다!... 2016-12-15 0 4169
40 소네트와 세익스피어 2016-12-14 0 3334
39 [시문학소사전] - 소네트란? 2016-12-14 0 4338
38 [시문학소사전] - 랑만주의란?... 2016-12-14 0 4037
37 영국 랑만주의 시인 - 퍼시 비시 셸리 2016-12-14 0 6627
36 신문기자 총편 출신 박문희선생 詩배우고 발표까지 하다... 2016-12-14 0 2563
35 글쓰기는 고역의 고역을 치루어야 좋은 작품이 탄생된다... 2016-12-13 0 2650
34 시는 "깨달음"의 "사고묶음"이여야... 2016-12-13 0 2718
33 이 책은 책이 아니다와 이 책은 보물창고다와의 시적미학 2016-12-12 0 2630
32 <농부> 시모음 2016-12-12 0 2907
31 시작은 시작으로서의 "남다른 시작의 길"을 모색해야... 2016-12-12 0 2743
30 시는 "나만의 스타일"로 쓰라... 2016-12-12 0 2725
29 시작은 모든 것이 늘 "치밀하고 + 치렬하게" 해야... 2016-12-12 0 2636
28 시작할 때 "화학조미료"같은 관념어 절대 "반입금지 명령"!... 2016-12-12 0 2902
27 시작할 때 스토리는 잇어지고 한가지 이야기만 하라... 2016-12-12 0 2915
26 "엉뚱한 생각" + "살짝 맛 간 시인" +... = 좋은 시 빚기 2016-12-12 0 2918
25 상상 + 더 깊은 상상...+... = 좋은 시 빚기 2016-12-12 0 2677
24 시는 류행가 가사가 옳다?... 아니다!... 2016-12-12 0 2600
23 시를 "감춤"과 "드러냄"의 사이에서 맛갈스레 빚어야... 2016-12-12 0 2469
22 시인은 늘 예민한 촉수로 훌륭한 시를 빚기 위해 정진해야... 2016-12-12 0 2581
21 시쓰기는 "참 나를 찾고자"하는 고행이다... 2016-12-12 0 2583
20 시인도 "완전무장"을 해야 좋은 시를 쓸수 있다... 2016-12-12 0 2600
19 "썩을 놈! 어떻게 요런 시를 다 썼을깜?!..." 2016-12-11 0 2812
18 시작은 "가장 쉬운 말로, 최대한 짧게, 가장 깊은 울림"으로... 2016-12-11 0 2580
17 누가 뭐라고 해도 시는 시인이 쓰는것... 2016-12-11 0 2683
16 참 시인 되자면... 2016-12-11 0 2725
15 시 "승무"를 삭히는데 3년이나 걸리다... 2016-12-11 0 2444
14 <술> 시모음 2016-12-11 0 2542
13 [시문학소사전] - 실존주의란?... 2016-12-11 0 4524
12 詩作 잘하기와 관찰 잘하기... 2016-12-10 0 2958
11 詩人은 관찰력과 상상력이 진부해서는 절대 안된다... 2016-12-09 0 2513
‹처음  이전 34 35 36 37 38 39 40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