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4월 2025 >>
  12345
6789101112
13141516171819
20212223242526
27282930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文人 지구촌

80세에 첫 詩集...
2017년 03월 20일 18시 48분  조회:3695  추천:0  작성자: 죽림

'나의 바다' 펴낸 김옥례 할머니
바다가 공책, 손가락이 연필… 2014년 본격적으로 습작
 

열두 살 소녀는 모래사장에 손가락으로 이름 석 자 썼다. 김옥례. 밀물 몰고 온 모래들이 다 덮어 버렸다. 이번에는 개펄에 들어갔다.

"밀물 썰물이 몇 번이나 들락날락 했건마는/ 이름 석 자 이름 석 자 지워지지 않고/ 쓴 그대로 살아 있네/ 나의 바다 나의 개펄/ 개펄 이고 지고 가고 싶네"(김옥례 시 '나의 바다' 중)
 
팔순 시인 김옥례씨가 월세방에서 이면지에 시를 쓰고 있다. 그는 “시 짓고 그림 그리는 곳이 꽃밭이요, 천국”이라고 했다.
팔순 시인 김옥례씨가 월세방에서 이면지에 시를 쓰고 있다. 그는 “시 짓고 그림 그리는 곳이 꽃밭이요, 천국”이라고 했다. /목포=김영근 기자
시인이 되고팠던 소녀는 60여 년 후 꿈을 이뤘다. 작년 12월 그의 시집 '나의 바다'가 출간됐다. 지난 6일 전남 목포 자택에서 만난 김옥례(80) 할머니는 13㎡(약 4평)짜리 월셋집에서 홀로 그림을 그리고 있었다. 김씨는 "두 번째 시집에 넣고 싶다"고 했다.

김씨는 1937년 전남 무안군 운남면 동암리 원동마을에서 태어났다. 딸 넷 중 막내였다. 원래 머슴을 수 명 부릴 정도로 집이 부자였지만, 부친이 세상 떠나고 가세가 기울었다. "언니들 모두 시집가고 홀로 어머니 모시고 사느라" 학교에 다니지 못했다. 그래도 12세 때 야학 다니면서 겨우 한글을 깨쳤다. "뻘 나가서 공부했어요. 바다가 공책이고, 평생 닳지 않는 내 손가락이 연필이었어요."

 
6·25 전쟁 통에 모친을 떠나보냈다. 모친 유언대로 수녀가 되고 싶었지만 "학교 못 나와서 꿈을 이루지 못했다"고 했다. 목포 사는 언니 집에 와서 고무신 공장에 다녔다. 그러다 남편을 만났다. "죽도록 나를 따라다니더니 결혼하니까 죽도록 못살게 굴고 돈 한 푼 안 줬다"고 했다. 남편에게 사정해서 "(재봉)틀 하나만 가져다 달라"고 했다. "내 친구 재봉틀/ 낮에도 달달/ 밤에도 달달/ 쉴 새 없이 달달/ 너는 나의 친구/ 너는 나의 힘이었고/ 너는 나의 생명줄"(시 '재봉틀' 중)

재봉틀은 남편 대신 그의 "인생 동반자"가 됐다. "팬티, 파자마, 월남치마를 만들어 전국 돌아다니며 팔았고 그 덕에 아들딸 7남매를 먹이고 입혔다"고 했다. 그중 딸 둘을 먼저 저세상으로 보냈다. 김씨는 "그때, 쉰 살쯤부터 시를 썼다"고 했다. "장사하려고 열차 타고 창밖으로 자연을 보면 시가 써지는 거요. 손으로 쓰는 게 아니라 머리로 쓰는 거요. 종이도 없고, 연필도 없으니께."
 
김옥례씨가 이면지에 쓴 시들. 띄어쓰기 못 하는, 서툰 볼펜 글씨로 80년 인생을 써내렸다.
김옥례씨가 이면지에 쓴 시들. 띄어쓰기 못 하는, 서툰 볼펜 글씨로 80년 인생을 써내렸다.
남편은 김씨가 번 돈을 모두 탕진했다고 한다. 김씨는 "지금 병원에 입원해 있는 남편이 너무 밉다"고 했다. 그래도 이런 시를 썼다. "당신 막차 나랑 꼭 합승하게요/ 함께 합승하면 차비 절약/ 우리 사랑하는 자식들/ 고생 모두 한 번에 끝낼 수 있어요/(…)/ 혹시라도 행여라도/ 당신 길 잘못 찾을까 봐 그래요/ 합승 승낙한 줄 믿고 그리 준비할게요"(시 '인생의 막차' 중)

그는 2014년부터 목포 공공도서관에서 본격적으로 시를 배웠다. 집에서 목포 공공도서관까지 4㎞ 거리를 걸어 다녔다. "2011년 교통사고 이후 차 타는 게 두려워서, 차비를 아끼려고" 느린 걸음으로 왕복 4시간이 걸리는데도 걸었다. 수업은 오후 2시부터 시작했는데, 1시간 일찍 도착했다고 한다. "30명이 수업 들었는데 모두 고졸 이상이고. 대학도 나왔더라고요. 또 애송이 방실방실 새댁들하고 무슨 대화를 허요. 저는 시 써와라 그러면 꼭 써 가고 그랬어요."

시 수업을 한 이대흠 시인이 김옥례씨를 눈여겨봤다. 그는 "주로 이면지에, 띄어쓰기도 못 하고 서툰 볼펜 글씨로 시를 써 왔는데, 인생의 진솔함이 있었다"고 했다. 이 시인은 할머니 습작이 쌓이자 시집을 내기로 했다. 시인과 화가들이 돈을 모아서 '나의 바다'를 출간했다. 김옥례씨는 "공부 못 해 서럽던 한을 이제야 풀었다"고 했다. "발이 땅에 닿는지도 모르지. 날아다니는 것 같고."

그가 자신의 시 중 제일 좋아하는 시는 '짝사랑'이다. "모르리 모르리 그대 내 맘 모르리/ 양 떼 몰고 가다 말고 그대 얼굴 보고파 숲에 숨은 내 맘 모르리". 할머니는 "저 짝사랑한 분을 세어 보자면 열 손가락도 모자라지요" 하며 웃었다. 할머니에게 봄이 왔다.
ⓒ 조선일보/ 목포=전현석 기자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2283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43 <<네오아방가르드>>--~(아이고나 머리가 뗑...) 2015-02-18 0 4657
42 <<최첨단 현대시론(?)>>과 <<아방가르드 시론>> 2015-02-18 0 4304
41 열린 시 운동과 公演詩 2015-02-18 0 3910
40 하이퍼텍스트 시의 지향 2015-02-18 1 4675
39 詩作과 자작시 해설 2015-02-18 0 4765
38 디지털시의 현장성 2015-02-18 0 4858
37 문제 시집, 시와 현대시 동향 및 그 新모색 2015-02-18 0 4550
36 디지털시대와 글쓰기 방법론 2015-02-18 0 4839
35 하이퍼시와 디지털시대 2015-02-18 0 4151
34 詩와 기호(記號) 2015-02-18 1 4539
33 하이퍼시와 젊은 시 운동 2015-02-18 0 4386
32 하이퍼시와 포스트 구조주의 2015-02-18 0 4313
31 하이퍼시와 형이상시 2015-02-18 0 4502
30 하이퍼시와 무의미시 2015-02-18 0 4603
29 문덕수와 심상운 2015-02-18 0 4743
28 하이퍼시는 單線에서 多線에로... 2015-02-18 0 5180
27 하이퍼시에서 상상, 공상 2015-02-18 0 4387
26 하이퍼시와 탈관념과 상상 이미지 2015-02-18 0 4185
25 모더니즘시 고찰 2015-02-18 0 4671
24 시에서 의식의 흐름 기법 2015-02-18 0 4525
23 하이퍼로 가는 문 2015-02-18 0 4439
22 변화하는 詩 2015-02-18 0 4821
21 김파와 김몽 2015-02-17 0 4533
20 하이퍼시와 심상운 2015-02-17 2 5143
19 하이퍼시의 해명 2015-02-17 0 4887
18 중국 시인 시선 2015-02-16 1 4623
17 "시인이란 명칭은 줄곧 있었다... " --- 시인 牛漢 2015-02-16 0 5137
16 중국 현대시 류파 2015-02-16 0 5173
15 시작법 1 2015-02-16 0 4831
14 현대시 흐름과 대표시 감상 2015-02-14 0 5385
13 1960년대 녀성시 고찰 2015-02-13 0 5094
12 마광수 시평 2015-02-12 0 4547
11 디지털 시대와 시의 전망 2015-02-11 0 5265
10 90년대 이후 시흐름... 2015-02-11 0 5556
9 재확인하는 시집 2015-02-11 0 5523
8 詩壇과 그 뒷소문... 2015-02-11 0 4735
7 詩의 10개 봉우리 2015-02-11 0 4681
6 동시와 기호학 2015-02-04 0 5480
5 명동시와 그 해설(1, 2, 3, 4) ㅡ최룡관 (시인, 동시인, 평론가) 2015-02-04 0 5694
4 하이퍼시에 대한 탐색 ㅡ 최룡관 (시인, 평론가) 2015-02-04 0 4339
‹처음  이전 52 53 54 55 56 57 58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