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4월 2025 >>
  12345
6789101112
13141516171819
20212223242526
27282930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詩人 대학교

작문써클선생님들께; - "즈려밟다" 와 "지르밟다"
2017년 02월 19일 16시 21분  조회:4012  추천:0  작성자: 죽림

1.

'즈려밟다'는 '지르밟다'의 잘못된 표기입니다.
표준어는 국민의 언어생활을 고려하여 선정하는 것이므로
'즈려밟다'라는 어휘가 오랜 시간에 걸쳐 많은 이들에 의해 쓰인다면, 표준어로 인정될 가능성도 있습니다.


2.

'즈려밟다'를 '지르밟다'의 평안도 사투리로 보는 관점도 있습니다.


3.

'지르밟다'가 '짓밟다'의 북한어라는 견해는 확인이 되지 않아 답변을 드리기 어렵습니다.

================================
 

========================////////////////////////==========
산과 들이 불이라도 난 듯 붉게 물드는 봄이다. 이 계절을 봄답게 만드는 주역 중 하나는 역시 너른 야산에 흐드러지게 피는 진달래와 철쭉이다.

그런데 둘의 처지는 천양지차다. 같은 진달랫과인데도 진달래는 참꽃으로, 철쭉은 개꽃으로 불린다. 왜일까. 먹을 수 있느냐 없느냐의 차이 때문이다. 진달래는 칡, 쑥처럼 춘궁기(春窮期)나 흉년에 밥 대신 배를 채울 수 있는 구황식물(救荒植物)이다. 반면 철쭉은 독성이 있어 먹을 수 없다. 철쭉은 억울하겠으나 목구멍이 포도청인 시절에 붙은 이름이니 누굴 탓하랴.

참꽃의 ‘참-’은 ‘진짜’와 ‘썩 좋다’는 뜻을 가진 접두사다. 참꽃, 즉 진달래는 ‘진짜 달래’라는 뜻이다. ‘개-’는 진짜나 좋은 것이 아니라는, 보잘것없다는 뜻을 담고 있다. 개꿈 개살구 개나리 같은 낱말들을 봐도 알 수 있다. 

개나리? 개나리의 ‘개-’가 별 볼 일 없다는 뜻이라면 고개를 갸웃할 독자들이 많을 줄 안다. 그러나 앞에 예를 든 ‘개나리’는 봄의 대표적 전령사이자, ‘나리 나리 개나리 입에 따다 물고요’(봄나들이·윤석중 작사 권태호 작곡)에 나오는 물푸레나뭇과의 그 개나리가 아니다. 야생하는 나리의 총칭인 ‘개-나리’를 말한 것이다. 

진달래 하면, 김소월 시인이 자연스레 떠오른다. 애절한 사랑과 이별, 그리고 한(恨)을 호소력 있게 표현한 그의 시 ‘진달래꽃’은 국민시나 마찬가지다. 가수 마야가 2003년 노래로 불러 히트하기도 했다. 이 시의 한 대목, “가시는 걸음 걸음/놓인 그 꽃을/사뿐히 즈려밟고 가시옵소서”에 나타나는 ‘즈려밟다’는 표준어가 아니라는 사실을 아시는지. ‘위에서 내리눌러 밟다’라는 의미의 바른말은 ‘지르밟다’이다. 이때의 ‘지르-’는 ‘내리누르다’라는 뜻을 지니고 있다. 신이나 버선 따위를 뒤축을 눌러 신는 게 ‘지르신다’이고, 아랫니와 윗니를 꽉 눌러 무는 게 ‘지르물다’이다. 

 
철쭉에는 산철쭉 왜철쭉 황철쭉 등이 있다. 이 중 왜철쭉을 많은 사람들이 ‘연산홍’이라고 부르는데 바른말은 ‘영산홍(映山紅)’이다. 말 그대로 ‘산을 붉게 비치게 한다’는 뜻이다. 

자, 그간 잊고 살던 산에 올라 봄꽃 향기에 흠뻑 취해봄은 어떨지...
아, 참꽃 한입 베어 물며 조상들이 겪었던 고생을 잠시 느껴보는 것도 잊지 마시고... 


/손진호 어문기자


=========================
//////////////////////////////////////////////////////////
=========================

@@
시인은 날마다 못을 박고 빼듯이
시를 썼다 고치다가
절로 묘비명을 새기고 만다.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1570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1410 윤동주는 왜... 2019-09-17 0 3062
1409 에드윈 마크햄 - "원" 2019-09-16 0 3286
1408 [시공부] - ... 2019-08-04 0 2775
1407 [시공부] - ... 2019-08-04 0 2946
1406 시는 무용이다... 2019-07-09 0 3005
1405 [그것이 알고싶다] - 백서 "도덕경" 2019-06-29 0 4169
1404 [문단소식] - 림금산시인 "달을 만나고" 시집 낳다 ... 2019-06-16 0 2988
1403 100년 뒤... 뒤...뒤... 2019-05-26 0 3447
1402 [평, 評, 평, 評] - 작품과 상과 인간과 그리고... 2019-05-13 0 3415
1401 윤동주를 알리는 골수팬 일본인- 야스코 2019-04-23 0 3537
1400 시를 암송하면 삶이 더 즐겁다... 2019-04-23 0 3250
1399 "또 다른 고향"을 찾아가는 미완의 려정... 2019-04-23 0 3809
1398 인도주의는 윤동주 시인이 이 땅에 심은 자산입니다... 2019-03-23 0 3586
1397 윤동주, 그는 절대로 "문약한" 학생이 아니었다... 2019-03-23 0 3565
1396 시인은 떠났어도 희망은 "낡지 않"았다... 2019-03-07 0 3808
1395 [그것이 알고싶다] - "옥중가"와 100여년... 2019-03-02 0 3405
1394 "한글, 이번에는 제가 배울 차례입니다"... 2019-02-16 0 3796
1393 [동네방네] - "윤동주", 실시간 알리기... 2019-02-16 0 3700
1392 [명작 쟁명] - 프랑스 작가 알퐁스 도데 "마지막 수업" 2019-02-15 0 4884
1391 "풀꽃" 2019-02-06 0 3583
1390 윤동주 시 또 중국어로 번역되다... 2019-01-27 0 4609
1389 윤동주와 "아리랑" 2019-01-27 0 3873
1388 윤동주와 명동, 룡정, 평양, 서울, 도쿄, 교토... 2019-01-24 0 3603
1387 윤동주 시를 지켜준것은 "우정"이였다... 2019-01-24 1 3374
1386 윤동주 유고 시집과 시인 정지용 "서문", 친구 강처중 "발문"... 2019-01-24 0 3772
1385 윤동주 시집과 여러 사람들... 2019-01-24 0 3754
1384 윤동주 시집 원 제목은 "병원"이였다... 2019-01-24 0 4333
1383 정지용과 윤동주 2019-01-24 0 3813
1382 윤동주는 시를 들고 일제와 싸웠다... 2019-01-22 0 3817
1381 서시(윤동주)를 리해하기...3 2019-01-22 0 3358
1380 서시(윤동주)를 리해하기...2 2019-01-22 0 3982
1379 서시(윤동주)를 리해하기...1 2019-01-22 0 3177
1378 "서시" 일본어 번역본에 오류가 있다??? 2019-01-22 1 4801
1377 서시(윤동주)와 서시 영어 번역본 2019-01-22 0 5836
1376 [매일(끝)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서시 2019-01-22 0 4081
1375 윤동주와 친구 강처중 "발문" 2019-01-20 0 3941
1374 윤동주와 정지용 2019-01-20 0 3557
1373 윤동주, 시 한수가 씌여지기까지... 2019-01-20 0 3251
1372 {자료} - 윤동주 시의 무궁무진한 힘과 그 가치... 2019-01-20 0 3524
1371 연세대의 건물들은 기억하고 있다... 2019-01-20 0 4166
‹처음  이전 1 2 3 4 5 6 7 8 9 10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