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4월 2025 >>
  12345
6789101112
13141516171819
20212223242526
27282930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詩人 대학교

진리를 멀리서 구하지 말고 자기 자신속에서 구하라...
2016년 12월 27일 16시 43분  조회:2798  추천:0  작성자: 죽림

 


 

 

 

 

 

 

[인민망] 중국 고생물학자 싱리다(邢立達) 미얀마에서 가져온 호박-공룡 꼬리 화석...



=========================
[새 평론집 '네오 샤먼으로서의 작가' 낸 문학평론가 임우기] 

16년 만에 990쪽 평론집 펴내… 
4·19세대의 문학 한계 드러낸 '문지'와 '창비' 집중 비판

“한국 문학의 유전적 전통과 뿌리를 돌봐야 한다”며 평론집 ‘네오 샤먼으로서의 작가’를 낸 문학평론가 임우기씨.
“한국 문학의 유전적 전통과 뿌리를 돌봐야 한다”며 평론집 ‘네오 샤먼으로서의 작가’를 낸 문학평론가 임우기씨. /고운호 기자

"4·19세대 문학의 한계를 철저히 비판하는 과정 속에서 한국 문학의 새 이념을 모색해야 한다. 1970년대 이후 한국 문학은 4·19세대의 서구 자유주의적 문학 이념의 틀에 갇혔다. 한국 문단은 지금껏 한국인의 심층 무의식을 이룬 샤머니즘을 외면해왔다. 단군 신화의 홍익인간부터 동학의 시천주(侍天主) 사상에 이르기까지 샤머니즘의 전통문화가 우리 문학의 새 희망이 될 수 있다."

문학평론가 임우기(60)씨가 새 평론집 '네오 샤먼으로서의 작가'(아트인라이프)를 내면서 한국 문학의 샤머니즘 부활을 역설하고 나섰다. 임씨는 한번 글을 썼다 하면 200자 원고지 500~800장을 써내는 괴력을 발휘해왔기에 이번에 16년 만에 낸 평론집은 무려 990쪽이나 된다. 임씨는 1990년대 초 문학과 지성 편집장을 지낸 뒤 솔출판사를 차려 박경리의 '토지' 완간과 김지하 시전집 등을 낸 바 있는 중견 출판인이기도 하다. 그는 새 평론집을 내면서 계간지 '문학의 오늘'도 인수해서 발행인을 맡아 문단의 새 목소리를 내겠다고 선언했다.

임씨는 인터뷰를 시작하자마자 '자재연원(自在淵源)'이란 말을 꺼냈다. 그는 "진리를 멀리서 구하지 말고 자기 자신 속에서 구하라는 말"이라며 "문인들이 자신의 삶과 싸우며 치열한 인생 공부를 해야 하는데, 대부분 서양의 인문학 이론에 박학다식한 채 갇혀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한국 문학의 양대 산맥으로 꼽혀온 '문지'와 '창비' 모두 4·19세대의 한계를 보여준다고 비판했다. '문지'는 처음부터 모더니즘을 내세워 반(反)샤머니즘을 선언했고, '창비'는 서구적 리얼리즘의 시선으로 샤머니즘을 일부 수용했지만 깊은 이해가 부족했다는 것. 임씨는 1990년대 이후 '문지'와 '창비'의 시(詩)를 집중 비판하면서 "새로운 시학을 보여주지 못한 채 오래된 권력을 누리고 행세하고 있는 형편"이라고 직격탄을 날렸다. "문지 시집들은 지적(知的) 기교나 허황한 감각의 시들을 내놓고, 창비 시집들은 타성화된 리얼리즘과 경박한 현실 참여시들로 어지럽다"는 것.
 

 
임씨가 주장하는 한국적 샤머니즘 문학은 복고주의와 국수주의를 거부한다. 그는 샤머니즘이 '한국인의 본능적 축제 의식이며 문화·예술적 기질'일 뿐 아니라 '외래 사상이나 종교를 받아들인 회통(會通) 정신'도 지니고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김동리와 서정주의 무속 문학을 재평가하면서 모더니스트로 꼽혀온 백석, 윤동주, 김수영 시인이나 2000년대의 작가 김애란의 문학에서도 '샤먼의 노랫소리'를 읽어내려고 했다. 특히 백석의 시를 대표하는 '갈매나무'는 북방 샤머니즘의 신목(神木)을 상징한다는 것. 백석의 시 중 '남신의주유동박시봉방(南新義州柳洞朴時逢方)'이란 제목은 주문을 외듯 읽어야 하는 '주술 언어'라고도 했다.

임씨는 "정상적이고 만족하는 삶의 세계는 샤먼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며 "샤먼은 가난하고 억울하고 소외되고 쓸쓸한 삶의 이름들을 저 높은 별빛 하나하나 위에 간절히 불러보는 존재"라고 했다. 그는 샤머니즘과 함께 '방언 문학'도 역설했다. 4·19세대 작가들 중 상당수는 지방을 무대로 한 소설을 쓰면서도 표준어만 고집했다는 것. 임씨는 "작가는 지역 사투리뿐 아니라 자기 고유의 '개인 방언'을 구사하면서 문학의 본질인 '소리'를 살려야 한다"고 주문했다.

/박해현 문학전문기자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1570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690 살아있는 시는 류행에 매달리지 않고 시대를 초월한 시이다... 2017-09-02 0 2248
689 문제 시인, 유명 시인, 훌륭한 시인, 무명 시인... 2017-09-02 0 2130
688 어떤 시인들은 자기가 갖고 있는 자대를 늘 자랑하는데... ㅉㅉ 2017-09-02 0 2360
687 늘 헛시농사를 짓는 시지기는 죽을 때까지 시씨를 뿌리고지고... 2017-08-29 0 2278
686 녀성의 립장에서 쓴 시와 남성의 립장에서 쓴 시... 2017-08-28 0 2557
685 걸어온 길과 걷고 있는 길과 걸어가야 할 길... 2017-08-28 0 2286
684 시어의 보고는 비어, 속어, 사투리, 은어, 구어 곧 활어이다... 2017-08-24 0 2465
683 "이 아름다운 날들이 언제까지라도 계속되길"... 2017-08-24 0 2418
682 당신들은 아버지 사타구니를 닦아본적 있으십니까?!... 2017-08-23 0 3197
681 "님은 갔지마는 나는 님을 보내지 아니 하였습니다"... 2017-08-23 0 2569
680 시세계, 시나라 좁고 넓고 짧고 길다... 2017-08-22 0 2496
679 시는 짧은 세계, 짧은 시의 나라... 2017-08-22 0 2668
678 짧은 시의 나라, 시는 짧은 세계... 2017-08-22 0 2911
677 시를 쓴다는것은 상투적 껍질을 벗겨내는 작업이다... 2017-08-22 0 2368
676 "아버지의 성기를 노래하고싶다"... 2017-08-22 0 2702
675 "그때 사방팔방에서 저녁노을이 나를 바라보고 있었다"... 2017-08-22 0 2281
674 시는 활자화되기전, 랭정하게 다듬기에 온갖 피를 쏟으라... 2017-08-22 0 2221
673 시를 시의 나라로 던질때 진저리치며 받아주는 이, 그 누구?!... 2017-08-22 0 2335
672 시는 무의 세계, 침묵의 나라, 시다운 시여야 절에 들어가는것, 2017-08-22 0 2178
671 시는 멀리 있는것이 아니라 가까이에 살그머니 있다... 2017-08-22 0 1893
670 시속의 비밀은 모든 사람들에게 각기 다른 주파수를 준다... 2017-08-22 0 2244
669 시는 진술이 아니라 언어에 늘 새옷을 입히는 행위이다... 2017-08-22 0 2035
668 "온몸으로 불 밝히는 살구꽃나무 환하게 서서 있었다"... 2017-08-22 0 2068
667 시는 언어를 재료로 하는 예술이며 미학이지 철학은 아니다... 2017-08-22 0 2256
666 "한줄을 쓰기전에 백줄을 읽고 독파하라"... 2017-08-22 0 2066
665 시적 언어재현으로 시각적인 상(像)-이미지를 찾아 그려라... 2017-08-22 0 2143
664 "어미를 따라 잡힌 어린 게 한마리"와 군용트럭... 2017-08-21 0 2089
663 "저 모습 뒤편에는 무수한 시침이 꽂혀 있을것이다"... 2017-08-21 0 1914
662 "아, 이거 시가 되겠네"... 2017-08-21 0 1794
661 "장백산아, 이야기하라"... 2017-08-21 0 2030
660 "틀에만 얽매이지 말고 틀을 벗어나 살라"... 2017-08-21 0 2022
659 "한개 두개 세개" 동요동시야 나와 놀쟈... 2017-08-21 0 2920
658 시인은 전자아(全自我)를 대변할수 있는 화자를 발견해야... 2017-08-21 0 2000
657 "그 바보들 틈에서 노는것이 마냥 즐겁기만하다"... 2017-08-20 0 2213
656 시를 이렇게도, 저렇게도 해석할수 있는 시가 재미있는 시?!... 2017-08-20 0 2119
655 "...가실 때에는 말없이 고이 보내드리우리다"... 2017-08-19 0 1924
654 추억의 "되놀이" - 문득 "되놀이" 하고싶어짐은 또... 2017-08-18 0 2164
653 [땡... 복습시간이다...] - 중고생들 안녕하십니까... 2017-08-18 0 3371
652 [땡... 복습시간이다...]- 와- 동시를 쓰는 방법을 배워준대... 2017-08-18 0 2404
651 시적 상상력을 어떻게 구사할것인가... 2017-08-18 0 2298
‹처음  이전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