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4월 2025 >>
  12345
6789101112
13141516171819
20212223242526
27282930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文人 지구촌

대통령, 총통, 그리고 시인
2016년 12월 26일 01시 02분  조회:4925  추천:0  작성자: 죽림
 

 

타이완 중정기념관(중정은 장개석 본명임)에 걸려있는 박정희 대통령과 장총통 사진

 

박정희 대통령과 그의 친구 구상 시인 이야기

  

 

구상(具常) 시인의 문학 외적인 부분에 대통령 박정희가 있습니다. 
구상 시인이 문단에서 유일하게 박정희 대통령과 개인적 우정을

나눈 친구임은 잘 알려진 사실입니다. 
<두 사람의 신체에 사는 하나의 영혼>과 같이  진실하였던

두 분 친구의 우정에 깊은 경의를 표하며,
우정을 상징하는 꽃, 라일락을 두 분의 영전에 바칩니다.
대통령 박정희의 카리스마와 시인은 걸맞지 않은 느낌을 주지만, 
두 사람의 인연과 우정의 세월은 반세기를 헤아립니다. 
시인 구상과 대통령 박정희는 격동의 근대사 한복판에 함께 위치하고 있습니다.

그들의 인연은 박정희가 역사에 등장하기 이전 50 년대부터 시작됩니다. 
구상은 서울에서 태어나 원산 근처 덕원으로 이주,

해방후 작품활동을 시작했으나 작품 성향 때문에 반체제분자로 몰려 월남해야 했습니다. 
가난과 전쟁으로 국가적 고난이 극심했던 시절,

국방부 신문 승리일보 주간이며 종군기자단장이었던

구상은 피란지 대구에서 두살 위의 청년 장교 박정희를 만납니다. 
육군본부 작전국장 이용문(李龍文) 준장이

그에게 작전국 차장 박정희 대령을 처음 대면시키며

“의리의 남아”라는 한마디 말로 소개를 했습니다.

이용문은 박정희가 드물게 존경했던 군선배입니다. 
구상의 눈에 비친 박정희, 이 날카롭고 고독한 눈매의 조그맣고 
새까만 남자는 플라톤의 <국가론>, <월남 흥망사>를 탐독하는 등

 지적 탐구심이 강했으며 민족주의 성향의 투철한 국가관을 지니고 있었습니다. 
이때부터 구상과 박정희는 자주 만나
국과 인생을 담론하며의기투합으로 친분을 쌓아갑니다.

둘은 조국의 현실을 개탄하는 것으로 끝나지 않고

어떻게 하면 역사의 고난을 벗어날 수 있는지를 뜨겁게 이야기했습니다. 
이들은 먼발치에서 서로를 존경하는 반면,

 강한 역사의식과 현실참여의 행동주의로 밀착되어 있었고,

고난과 모험에 과감히 자신을 던지게 됩니다.

 

구상에게 닥친 고난은 정치적 사건입니다.

자유당 정권 시절 그는 정치적 사건으로 15년 구형을 받고는

<사형 아니면 무죄를 달라>고 요구,

재판부로부터 무죄 판결을 받아냅니다. 사생관(死生觀)이 투철한 면에서

군인 박정희에 못지 않은 행동주의 시인의 강골(强骨)입니다.

시인과 군인은 서로 다르고 먼 길을 가게 마련이지만,

 4.19혁명과 5.16군사혁명의 격변이

그들의 재회(再會)의 중력(重力)으로 작용을 했습니다.

박정희의 군사혁명이 일어나자,

구상은 친구의 거사가 성공했음을 알고 주저없이 이를 구국운동으로 받아들였습니다.

<4.19 후의 나라 꼴이 말이 아니었어.

 학생들은 몽둥이를 들고 의정단상(議政壇上)을 점령하고,

 맨손 맨발로 휴전선을 넘어 
북한을 해방하겠다고 난리고 난장판이었지.>시인은 말했습니다. 
혁명의 돌개바람 속에서 4.19혁명의 주체인 학생 세력은

5.16혁명의 군인으로 국가의 주체가 교체되었습니다. 
-이해인 수녀와 시인 구상-

훗날 시인은 친구를 위해 시 한편을 선물합니다.

 < 당신의 영광에는 푸르름이 있다
밤안개를 헤친 결단의 그날이 땅에 또하나 새벽 동을 트게 하고 

우리의 가슴 속에 새 삶을 불러일으킨저 5월의 푸르름이 있다 >

구상은 대통령 박정희에게 비판적이었던

지식인과 문단 인사들의 곱지 않은 눈길에 아랑곳하지 않았습니다. 

 친구 박정희를 누구보다 잘 알기에 주저함이 없었고,

한치의 흔들림도 없었습니다. 
혁명 거사 며칠 뒤, 둘은 재회를 합니다. <어떤 분야라도 한몫 해주셔야죠!>
박정희가 국정에 참여하기를 요청했습니다.<그냥 남산골 샌님으로 놔두세요.>
사양을 하고 며칠 뒤 구상은 서둘러 일본으로 가버렸습니다.

경향신문 도쿄지국장을 자청해서 국내를 떠난 것은

친구 박정희의 청을 물리치기 위함이었습니다.

< 바로 내 앞방에다 사무실을 마련해 놓았는데 끝내 가시기요.
이 판국에 일본 낭자들과 재미나 볼 작정인가요?

시인이란 현실에서 보면 망종이지요.

그래서 <플라톤>도 그의 이상국가에서 시인을 추방하는 게 아닙니까! >

박정희는 목메인 소리로 탄식했습니다. 
그러나 그는 친구의 맑은 고집을 꺾을 수 없음을 알기 때문에

똑같은 말을 두번 꺼내지 않았습니다.

딱 한번으로 끝이었습니다. 박정희의 집권 기간 내내

구상은 멀리 친구로만 떨어져 있었습니다. 
그럼에도 박정희는 구상에게 만만한 너나들이 친구였으며,

남들처럼 고개 조아리고 ‘대통령 각하’를 존칭하는 일도 없었고,

박정희도 그걸 원치 않았습니다. 
집권 말기, 정치적 저항과 혼란이 심해지자

 구상은 친구의 외로운 처지를 근심하다 청와대로 찾아갔습니다.

1979년 9월이었습니다.

 

< 이제 임자가 물러날 때가 된 것 같소. >은퇴를 권유했습니다. 

박정희의 대답은 고뇌어린 침묵뿐이었습니다. 
묵묵히 현관까지 배웅을 하던 박정희의 쓸쓸해 보이던 그 모습이 마지막 이었습니다. 
한달 뒤 그가 세상을 하직하고,

구상은 5년 동안 그의 안식을 기원하는 가톨릭 미사를 올렸습니다.

제사를 지내준 것입니다.

 

그후 그는 거주지인 여의도 아파트에서 친구가 이룩한

 ‘한강의 기적’을 내려다보며 우정을 홀로 새김질하다 

2004년 봄과 여름이 갈마드는 5월,

저만치 다가올 채비를 마친 여름은 이제 자기 몫이 아니라는 듯,

가는 봄을 따라 훌훌 먼길을 떠났습니다. 
우국의 충정으로 의기투합했던 시인과 대통령은

 슬픈 가족사(家族史)를 지녔다는 점에서도 비슷했습니다.

박정희가 부인 육영수를 먼저 잃었듯이,

구상도 부인을 먼저 잃고 외로운 말년을 보냈습니다.

뿐만 아니라 구상은 두 아들마저 병으로 잃은데다

그 자신도 투병 생활을 하는 남다른 불행을 한몸에

겪어야 했습니다. 그럼에도 그는 남의 불행을 더 챙기는 삶을 살았습니다. 
전란기에는 갈 곳 없는 상이군인들의 친구가 되어 주었고,

정이 많아 주변의 가난한 시인들을 힘 닿는대로 도왔으며,

 나라의 벼슬은 사양했지만 시단(詩壇)의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여기저기 얼굴 내밀기를 서슴지 않았습니다. 
그런 그에게 평생 따라다닌 것이 있으니 그게 바로 폐결핵, 가난의 병이었습니다.

병원 중환자실에서 산소호흡기에 의지해 투병하던 그가,

17평짜리 구형 아파트에서만 30년을 살아온 그가

장애인 문학지(文學誌)를 돕기 위해 2억원을 보내주어 주위를 숙연케 했으며,

그렇게 훌훌 털어주고 그 자신은가난의 병을 가지고 떠난 것입니다.

박정희가 눈에 띄는 대로 서민들의 아픔을 챙기고 거기에 자신의 권력을 대입하여

그들을 손잡아 일으키며 눈물을 지었듯이,

시인과 대통령은 고난의 친구들이었다는 점에서도 같았습니다.

재물에 관심이 없는 청렴한 삶도 그들은 같이 살았습니다. 시인은 말하고 있습니다. 
 마음이 가난한 삶을 살아야 한다 마음을 비운 삶을 살아야 한다 >(시 ‘오늘’ 중에서) 
구상은 기교를 배제한 간결한 시어(詩語)에 풍부한 의미와 암시를 담아냈습니다. 
박정희는 일체의 정치적 수사(修辭)가 없이

요점을 딱딱 집어 말하는 어법을 구사했습니다. 

구상은 친구 박정희를 이렇게 말합니다.

< 의협심과 인정이 강하고 시심(詩心)이 있는 사람이었다.
난세에 파격적인 인물들을 모아서 혁명을 일으킨 뒤에

정상적인 사람들로 주변을 교체해가는 과정에서

갈등도 많았지만 정치적인 목적으로 사람을 죽인 적이 한번도 없었다. >

   
그리고 먼저 간 친구를 위해 다음과 같은 진혼축(鎭魂祝)을 썼습니다. 
<국민으로서는 열여덟 해나 받든 지도자요 개인으로는 서른해나 된 오랜 친구

하느님! 하찮은 저의 축원이오나 인류의 속죄양,

예수의 이름으로 비오니그의 영혼이 당신 안에 고이 쉬게 하소서. >
이 세상에서 그가 지니고 떨쳤던 그 장한 의기와 행동력과 질박한 인간성과

이 나라 이 겨레에 그가 남긴 바 그 크고 많은 공덕의 자취를 헤아리시고 하느님,

그지없이 자비로우신 하느님 설령

그가 당신 뜻에 어긋난 잘못이 있었거나 그 스스로가 깨닫지 못한 허물이 있었더라도

 그가 앞장서 애쓰며 흘린 땀과 그가 마침내 무참히 흘린 피를 굽어보사

그의 영혼이 당신 안에 길이 살게 하소서 >

하느님 앞에 친구를 보내는 그의 우정이,

사랑과 용서의 기원이 지금도 절절히 가슴에 메아리칩니다. 

시인과 대통령의 우정은 둘이 나눈 30년,

홀로 남아 새긴 20년을 합해서 반세기의 세월이었습니다.
대통령 박정희가 먼저 떠나고 시인 구상이 뒤따라 먼길을 떠났습니다.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2283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1243 문학의 뿌리 알아보기- 대륙의 문학 2016-03-21 0 5261
1242 문학의 뿌리 알아보기 - 중국 근대, 현대 문학 2016-03-21 0 5075
1241 문학의 뿌리 알아보기- 元 明 淸 시대 문학 2016-03-21 1 5577
1240 문학의 뿌리 알아보기- 그리스, 로마 문학 2016-03-21 0 6559
1239 문학의 뿌리 알아보기 - 프랑스문학 2016-03-21 0 8184
1238 문학의 뿌리 알아보기- 남유럽 문학 2016-03-21 0 6263
1237 문학의 뿌리 알아보기 - 독일문학 2016-03-21 0 7634
1236 문학의 뿌리 알아보기 - 네덜란드, 벨기 문학 2016-03-21 0 4389
1235 문학의 뿌리 알아보기 -영국문학 2016-03-21 0 6823
1234 문학의 뿌리 알아보기 - 러시아 쏘련 문학 2016-03-21 0 9470
1233 문학의 뿌리 알아보기 - 북유럽문학 2016-03-20 0 5285
1232 문학의 뿌리 알아보기 - 동유럽문학 2016-03-20 0 5495
1231 문학의 뿌리 알아보기 - 미국문학 2016-03-20 0 5587
1230 문학의 뿌리 알아보기 - 라틴아메리카 문학 2016-03-20 0 4563
1229 문학의 뿌리 알아보기-캐나다, 오스트레일리아, 뉴질랜드 문학 2016-03-20 0 4064
1228 문학의 뿌리 알아보기 - 唐 宋 시대 문학 2016-03-20 0 5407
1227 문학의 뿌리 알아보기 - 漢 魏 六 朝 문학 2016-03-20 0 4980
1226 문학의 뿌리 알아보기 - 魏 晋 南 北 朝 시대 문학 2016-03-20 1 4677
1225 [일요일 아침 詩]- 목소리들 2016-03-20 0 4198
1224 [詩공부시간]- 詩는 자기자신의 분신덩어리 2016-03-20 0 4987
1223 [詩作初心]- 현대시론 개요(1,2) 2016-03-19 0 4506
1222 [詩作初心]- 현대시론 개요 2016-03-19 0 4703
1221 프랑스 상징주의 시인 - 폴 베를렌 2016-03-19 0 5434
1220 김혜순 시모음 2016-03-19 0 5361
1219 디카시는 언어 너머의 詩 2016-03-19 0 4860
1218 잊혀져가는 천재 시인 - 이근상 2016-03-19 0 4207
1217 [이 아침 신선한 詩 한잔 드시소잉]- 막돌 2016-03-19 0 3918
1216 정지용시인 산문 쓰다 2016-03-19 0 4833
1215 樹木葬 = "오규원 소나무" 2016-03-18 0 4707
1214 오규원 시모음 2016-03-18 0 5436
1213 <<가령>>과 <<설령>> 2016-03-18 0 3902
1212 [詩作初心]- 詩적 언어를 창조하는 은유 2016-03-18 0 4512
1211 詩쓰기는 텅빈 종이장 피땀같이 들여다보기 2016-03-18 0 4187
1210 현대시론 축소판 2016-03-18 0 4834
1209 [詩공부시간]- 詩속에 複數의 나 만들기 2016-03-18 0 4821
1208 [이 아침 신선한 詩 한잔 드시소잉]- 정식 2016-03-18 0 4049
1207 [詩공부시간]- 詩속에서의 참된 나 없는 나 만들기 2016-03-17 0 4078
1206 [이 아침 따끈한 詩 한잔 드시소예]- 해안선 2016-03-17 0 4324
1205 [詩공부시간]- 詩속에서 나를 찾기 2016-03-16 0 5544
1204 [詩공부시간]- 詩쓰기와 자아찾기 2016-03-16 0 4159
‹처음  이전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