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4월 2025 >>
  12345
6789101112
13141516171819
20212223242526
27282930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名詩 공화국

명사 시인과 명시 꽃
2016년 01월 02일 20시 10분  조회:3586  추천:0  작성자: 죽림

꽃 / 조병화


꽃이 스스로 혼자 피어서 
한동안 이승을 구경하다간 
스스로 사라지듯이 
나도 그렇게 구경하다 가리

꽃이 꺾이면 꺾이는대로 그렇게 
꺾여가듯이 
나도 그렇게 
이승을 살다 가리

꽃이 어느 불행한 시인에게 
눈에 들어 
사랑을 받듯이 
나도 그렇게 
어느 불행한 여인에게 눈에 들어 
아, 그렇게 사랑을 받았으면

 


꽃을 버릴 때처럼 / 조병화


꽃을 버릴 때처럼 
잔인한 마음이 있으리

아직도 반은 살아 있는 꽃을 
버릴 때처럼 
쓰린 마음이 있으리

더우기 시들은 꽃을 버릴 때처럼 
애처로운 마음이 또 있으리

한동안 같이 살던 것들 
같이 지낸 것들 
같이 있었던 것들을 
버릴 때처럼 
몰인정한 마음이 있으리

아, 그와도 같이 
버림을 받을 때처럼 
처참한 마음이 또 있으리 

 


꽃 / 유 치 환


가을이 접어드니 어디선지
아이들은 꽃씨를 받아 와 모우기를 하였다
봉숭아 금전화 맨드라미 나발꽃
밤에 복습도 다 마치고
제각기 잠잘 채비를 하고 자리에 들어가서도
또들 꽃씨를 두고 이야기---
우리 집에도 꽃 심을 마당이 있었으면 좋겠다고
어느덧 밤도 깊어
엄마가 이불을 고쳐 덮어 줄 때에는
이 가난한 어린 꽃들은 제각기
고운 꽃밭을 안고 곤히 잠들어 버리는 것이었다

 

 

꽃 / 이육사


동방은 하늘도 다 끝나고
비 한 방울 내리잖는 그때에도
오히려 꽃은 빨갛게 피지 않는가?
내 목숨을 꾸며 쉬임 없는 날이여.


북(北)쪽 툰드라에도 찬 새벽은
눈 속 깊이 꽃 맹아리가 옴작거려
제비 떼 까맣게 날아오길 기다리나니
마침내 저버리지 못할 약속이여.


한바다 복판 용솟음치는 곳
바람결 따라 타오르는 꽃 성(城)에는
나비처럼 취(醉)하는 회상(回想)의 무리들아,
오늘 내 여기서 너를 불러 보노라.

  


꽃 / 박두진


이는 먼
해와 달의 속삭임
비밀한 울음

한 번만의 어느 날의
아픈 피 흘림.

먼 별에서 별에로의
길섶 위에 떨궈진
다시는 못 돌이킬
엇갈림의 핏방울.

꺼질 듯
보드라운
황홀한 한 떨기의
아름다운 정적(靜寂).

펼치면 일렁이는
사랑의 
호심(湖心)아.

  


꽃 / 박양균

 

사람이 사람과 더불어 망(亡)한 
이 황무(荒蕪)한 전장(戰場)에서 
이름도 모를 꽃 한 송이 
뉘의 위촉(委囑)으로 피어났기에 
상냥함을 발돋움하여 하늘과 맞섬이뇨.

그 무지한 포성(砲聲)과 폭음(爆音)과 
고함(高喊)과 마지막 살육(殺戮)의 피에 젖어 
그렇게 육중한 지축(地軸)이 흔들리었거늘

너는 오히려 정밀(靜謐) 속 끝없는 
부드러움으로 자랐기에 
가늘은 모가지를 하고 
푸르른 천심(天心)에의 길 위에서 
한 점 웃음으로 지우려는가-.

 


꽃 / 김춘수


내가 그의 이름을 불러 주기 전에는
그는 다만
하나의 몸짓에 지나지 않았다.

내가 그의 이름을 불러 주었을 때
그는 나에게로 와서
꽃이 되었다.

내가 그의 이름을 불러 준 것처럼
나의 이 빛깔과 향기에 알맞은
누가 나의 이름을 불러다오.
그에게로 가서 나도
그의 꽃이 되고 싶다.

우리들은 모두
무엇이 되고 싶다.
나는 너에게 너는 나에게
잊혀지지 않는 하나의 의미가 되고 싶다.

 


꽃/ 김춘수


그는 웃고 있다. 개인 하늘에 그의 미소는 잔잔한 물살을 이룬다. 
그 물살의 무늬 위에 나는 나를 가만히 띄워 본다. 
그러나 나는 이미 한 마리의 황나비는 아니다. 
물살을 흔들며 바닥으로 바닥으로 나는 가라앉는다. 
한나절, 나는 그의 언덕에서 울고 있는데, 
도연(陶然)히 눈을 감고 그는 다만 웃고 있다.
                

[출처] 꽃에 관한 명시들|작성자 헌책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전체 [ 1 ]

Total : 464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144 세계 시 모음 2015-02-16 0 4817
143 세계적 불멸의 시인들 2015-02-16 0 2594
142 명시인 - 백석 2015-02-16 0 2738
141 미국 시인들 3 2015-02-16 0 3119
140 미국 시인들 2 2015-02-16 0 3365
139 미국 시인들 2015-02-16 0 3211
138 윤동주 시모음 2015-02-16 0 3112
137 명시인 - 레농 크노 2015-02-16 0 2372
136 6개국 언어로 된 윤동주 <서시> 2015-02-15 0 2695
135 시집 1000권 읽기 15 2015-02-14 0 2079
134 시집 1000권 읽기 14 2015-02-14 0 2447
133 시집 1000권 읽기 13 2015-02-14 0 2149
132 애송시선 7 2015-02-13 0 5027
131 애송시선 6 2015-02-13 0 4390
130 애송시선 5 2015-02-13 2 3599
129 애송시선 4 2015-02-13 0 3020
128 애송시선 3 2015-02-13 0 3252
127 애송시선 2 2015-02-13 0 3052
126 애송시선 1 2015-02-13 0 3092
125 현대시 400선 ㅁ 2015-02-13 2 3313
124 현대시 400선 ㄹ 2015-02-13 3 3856
123 현대시 400선 ㄷ 2015-02-13 0 3563
122 현대시 400선 ㄴ 2015-02-13 1 2453
121 현대시 400선 ㄱ 2015-02-13 1 3575
120 윤동주는 누구?!- 2015-02-12 0 3315
119 윤동주시인 재조명 2015-02-12 0 2382
118 특별사진 기획- 윤동주 2015-02-12 0 1996
117 윤동주의 별 ㅡ 김철호 보도 2015-02-12 0 2125
116 시와 서예 2015-02-12 0 1894
115 유명한 시인 222인 2015-02-12 0 2037
114 시집 1000권 읽기 104 2015-02-11 0 1861
113 시집 1000권 읽기 103 2015-02-11 0 1737
112 시집 1000권 읽기 102 2015-02-11 0 1911
111 시집 1000권 읽기 101 2015-02-11 0 2176
110 시집 1000권 읽기 100 2015-02-11 0 1919
109 시집 1000권 읽기 99 2015-02-11 0 1946
108 시집 1000권 읽기 98 2015-02-11 0 1884
107 시집 1000권 읽기 97 2015-02-11 0 1979
106 시집 1000권 읽기 96 2015-02-11 0 1827
105 시집 1000권 읽기 95 2015-02-11 0 2053
‹처음  이전 4 5 6 7 8 9 10 11 12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