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7월 2025 >>
  12345
6789101112
13141516171819
20212223242526
2728293031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文人 지구촌

시인의 에스프리 /강영환
2015년 10월 08일 19시 01분  조회:4615  추천:0  작성자: 죽림

 

시인의 에스프리

 

행복한 인형놀이

 

 

강 영 환

 

 

 

  시가 뭘까무엇이어야 할까알 수 없다몇 십 년을 묻고 답해도 모르겠다변화무쌍한 시에 언제나 농락당한다그러고도 또 미련이 남아 버리지 못하고 달려간다그게 행복이다이루지 못할 영원한 짝사랑이기에 늘 목마른 행복감이다고통이 주는 어불성설 행복이랄까.

 

  시가 무엇인지 답을 모를 때 또는 답을 알려고 하지 않을 때 비로소 시가 의식되지 않는다시로부터 자유로워졌다는 의미다나에게 갇힌 시가 자유를 잃지 않게 되었을 때 시에 갇혀 나를 잃어버리는 일이 없다내가 시에 빠져 허우적대는 일도 없다시가 지닌 권위로부터 객관적 거리가 만들어진 것이다얼마나 오랜 시간이 내게 필요했던 것인지 모른다나는 그 관계를 오래 지속하고 싶다순전히 일방적인 나의 결정일지 모르지만.

 

  피카소는 아이처럼 그림을 그리게 되기까지 60년이 걸렸다고 했다그도 아마 그림을 의식하지 않고 그릴 수 있게 된 사실을 말한 것이리라비교가 될지 모르겠지만 피카소가 그림에 쫒기지 않는 것처럼 나도 시에 쫒기지 않게 된 때문일 거라 생각이 든다이제는 원고청탁이 오지 않아도시가 씌여지지 않아도 조급하게 생각하지 않게 된 연유인지도 모른다그러기에 딱히 시의 소재 선택을 위해 전전긍긍할 필요도 없게 되었다사람의 일이든 자연의 일이든 그것들은 모두 내게 사랑스러운 일이며 내 삶의 일부이기에 취사선택할 독선은 사라지고 말았다내가 시에게 걸어가는 것이 아니라 시가 내게 올 때까지 기다리는 일이다그러나 손님을 맞이하기 위한 기다림에 온갖 정성을 쏟아 집을 정리하고 시에게 온 마음을 열어 둔다시와 잘 놀기 위해서 그래서 내가 만나는 사람들이나 사물들은 모두 내 시의 주인공이 된다그러기에 시 쓰기가 한층 밝아졌다나는 지금 시와 함께 잘 놀고 있다누가 뭐래도 시는 내 인형놀이다어떤 옷을 입힐 것인가 즐거워하고 놓아두고 싶은 곳에 둘 수 있는 나만의 자유를 만끽한다.

 

  2012년에 펴낸 <물금나루>란 시집 뒤에 분노의 시론을 말한 적이 있다내 시는 분노가 낳은 산물이라고 했다지금도 생각은 변함이 없다내 시는 분노에서 출발한다그러나 분노가 삭혀지고 절여져 젓갈이 될 때까지 기다리는 일이다격한 감정이 지나간 뒤에 남는 그 허무 속에서 시를 기다리는 일에 또한 조급하지 않는다시가 세상을 바꾸는 혁명이 될 수 없고시가 시 이외는 그 무엇이 될 수 없다는 오든의 말을 잘 알고 있기에 내 영혼을 울리고 가는 작은 소리까지 경청할 수 있게 된 것이 아닐까그래서 내 시는 분노가 지나간 길에 남는 티끌이며 세찬 비가 남긴 바위 위 자국인 것이다.

 

  언젠가 시를 공부하는 사람으로부터 어렵고 힘들면 까짓 거 시를 쓰지 않으면 된다라는 말을 들었다처음엔 흥분하였다가 나중에는 그래 시가 생에서 대수가 아니라는 거다딸아이도 아빠가 시를 쓴다는 걸 자랑스럽게 생각해 본 적이 없다는 말을 한 적이 있다시가 그렇게 중요한 것인가를 곰곰이 생각해보는 계기가 되었고 시란 결국 내가 생각하는 것만큼 사람들이 생각하지 않는다는 걸 알았다시는 내게 그동안 젊은 시간들을 투자하여 혼자만 않는 가슴앓이였던 것을 알게 되었다.

 

  그런데도 나는 시를 포기하지 못하고 있고 앞으로도 그럴 자신이 없다그래서 생각해 낸 것이 시와 노는 일이다즐겁게 희희낙락하며 함께 고민하기도 하고함께 울기도 하고여행을 함께 떠나기도 하며 자유롭고 싶은 내 멋대로인 시를 만나는 것이다.

 

  시를 벗어나야 진정한 시가 보일 것이고멋진 시를 만날 수 있을 것이며그를 지상에 불러 낼 수 있을 것이다시를 의식하지 않고 쓰게 된 것도 이와 같은 연유일 것이다.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2283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243 시인 - 김미화 2015-03-15 0 4352
242 동시인 - 김성룡 2015-03-15 1 4421
241 시인 - 허동식 2015-03-15 1 5123
240 시인 - 천애옥 2015-03-15 0 4837
239 시인 - 리승호 2015-03-15 0 4607
238 동시인 - 윤동길 2015-03-15 0 5020
237 시인 - 고 허흥식 2015-03-15 1 4988
236 시인 - 홍용암 2015-03-15 0 5338
235 시인 - 리홍규 2015-03-14 0 4672
234 시인 - 리창현 2015-03-14 0 4650
233 시인 - 홍군식 2015-03-14 0 4756
232 시인 - 김선희 2015-03-14 2 4498
231 시인 - 황춘옥 2015-03-14 0 4708
230 시인 - 허련화 2015-03-14 0 4233
229 詩의 革命...! 과 詩의 革命...? 2015-03-14 0 4346
228 시인 - 박명순 2015-03-14 1 4655
227 시조의 제5의 변혁은 숙제... 2015-03-14 0 4672
226 시인 - 오정묵 2015-03-14 0 5698
225 시인 - 백진숙 2015-03-14 0 4805
224 시인 - 김영애 2015-03-14 0 4933
223 시인 - 김춘택 2015-03-14 0 5070
222 시인 - 최강 2015-03-14 0 4740
221 시인 - 박성훈 2015-03-14 0 5078
220 시인 - 남철심 2015-03-14 0 4712
219 시인 - 박운호 2015-03-14 0 5291
218 시인 - 김기덕 2015-03-14 0 5153
217 시인 - 리태학 2015-03-14 0 5886
216 시인 - 김인선 2015-03-14 1 5294
215 시인 - 김성우 2015-03-14 0 4791
214 시인 - 고 리명재 2015-03-14 0 4774
213 <<두만강여울소리>>는 영원히... 2015-03-14 0 4720
212 시인 - 리문호 2015-03-13 0 5413
211 시인 - 박설매 2015-03-13 0 4455
210 시인 - 고 김정호 2015-03-13 0 4716
209 시인 - 신현철 2015-03-13 0 5161
208 시인 - 고 김태갑 2015-03-13 0 4878
207 시인 - 한동해 2015-03-13 0 4141
206 시인 - 김경석 2015-03-13 1 5437
205 시인 - 황상박 2015-03-13 0 4634
204 시인 - 리해룡 2015-03-13 0 4594
‹처음  이전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