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1월 2025 >>
   1234
567891011
12131415161718
19202122232425
262728293031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文人 지구촌

시인 - 고 김태갑
2015년 03월 13일 22시 51분  조회:4667  추천:0  작성자: 죽림

“고향길”, 웃음소리 넘쳐나는 정다운 길에서 들려오는 즐거운 가락

 

문학예술은 인간생활을 구체적이고 진실하게 반영한다. 다시 말하면 문학예술은 인간성격을 중심으로 하여 이루어진 생활화폭을 통하여 현실을 반영한다. 문학예술의 한 형태인 가요작품도 마찬가지로 진실성과 형상성을 그 생명으로 한다. 즉 현실생활이 진실하게 반영되어야 할 뿐만 아니라 작사자, 작곡자가 예술적으로 발굴하고 창조한 아름다운 형상이 살아있어야 한다는 말이다. 

노래시로서의 가사는 서정시의 정수이다. 가사는 노래로 불리는 자체의 특성을 가지고 있지만 주제의 독창성을 구현하거나 독자적인 문학적 특성을 갖추어야하는 면에서 시와 구별되는 점이 없다. 시가 없는 가사에 좋은 곡이 붙을 수 없다. 가사에 시가 없다는 말은 곧 시적발견이 없다는 말이고 시적발견이 없는 가사에 주제의 독창성이 있을 리 만무하다. 독창성이 없는 가사는 어디선가 듣던 가사로 인정되므로 자체의 생명을 잃게 된다. 

독창적인 시적주제는 우리들이 다같이 체험하고 있는 생활의 이모저모에서 숨쉬고 있다. 문제는 생활체험의 진실로 시적주제를 포착하고 그것을 예술적으로 형상화하는 것이다. 시적주제를 포착함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것은 생활을 관찰하는 시인의 심장이 뜨겁고 그 시적안목이 예리하여야 하는 것이다. 하나의 시세계를 독창적으로 개척한다는 것은 알려지지 않는 시적대상을 노래하는 데만 있는 것이 아니라 누구나 다 보고 체험할 수 있는 그 속에서 아직은 누구도 감득하지 못한 시적주제를 포착하여 그것을 생활체험의 진실로 형상화하는데 있다. 

 

봄이면 민들레꽃 노랗게 피는

고향의 들길이 나는 좋아라 

하늘에는 종달새가 노래 부르고

사원들의 웃음소리 넘쳐나는 길

 

날마다 해마다 걷고 걸어도

언제나 걷고 싶은 내 고향 길이여

봄이 오면 뜨락또르 밭갈이하고

가을이면 황금산을 싣고 오는 길

 

산 넘고 물을 건너 북경에 닿은

변강의 고향길이 나는 좋아라

해해년년 풍년소식 전해주면서

따사로운 당의 사랑 싣고 오는 길

 

김태갑 작사, 안계린 작곡의 가요 “고향길”은 누구에게나 생소하지 않고 누구나 다 걸어본 고향길에서 남들이 보아내지 못한 시적주제를 포착하였다. 민들레꽃 노랗게 피고 사원들의 웃음소리 넘쳐나는 고향길, 심산벽곡에 뻗은 수수한 길이라 하여도 그 길은 북경과 이어져있고 그 길에는 행복을 수놓아주는 당의 사랑이 슴배여있다는 진리를 소박한 언어로 말하고 있다. 


이 노래의 가사를 쓴 시인 김태갑 (934-1995)은 1934년 9월 30일 흑룡강성 녕안현 출생하였다. 1956년 연변대학 어문학부를 졸업하고 연변인민출판사 문예편집, 연변문학예술계련합회 부주석, 《예술세계》잡지 주필, 전국인민정치협상회의 상무위원을 역임하였다가 1995년 지병으로 연길에서 돌아갔다. 그는 료녕민족출판사에서 시집 《고향길》(1982)을 출간한 이외《민요집성》(한국문화사, 1996), 《조선족전설집》(민족출판사,  1991), 《항일전설설화집》(연변인민출판사, 1992), 《불타는 십자가》(민족출판사,  1992.) 등  많은 저서를 출간하였다.


 김태갑시인의 가사작품의 가장 뚜렷한 특징은 우선 진한 민족특성에서 표현된다. 가사의 언어도 역시 민족의 일상용어를 기초로 구현되는데 가요의 가사작품에서는 그것이 노랫말에서 구체적으로 표현된다. 우리민족의 민요와 설화에 익숙한 시인은 우리의 구두어와 민요에서 부단히 생명력이 있는 언어를 발굴하고 선택하여 자기의 작품에 사용함으로써 표현력을 높였다. 그는 어디까지나 우리민족의 언어생활에 깊이 뿌리내리고 우리민족의 입에 잘 오르는 낱말을 알심들이여 골라 써서 자기의 시어를 풍부히 하였다. 언어는 사용되는 위치에 따라 효과가 달라지며 가치가 달라지며 지어 질이 달라진다. 시인은 생명력이 강한 구두어를 많이 사용하였는데 이런 언어들은 보석처럼 반짝이면서 가사의 표현효과를 높이고 생활미를 돋구었다. 또한 의식적으로 화려한 언어를 쓰는 것이 아니라 우리 인민의 생활을 반영하는데 알맞은 어휘를 힘써 고르고 가장 평이하고 가장 세련된 언어로 가장 생동한 예술형상을 창조하였다. 

김태갑시인의 가사작품의 또 다른 특징은 우리말에서의 고유어를 잘 다듬어낸 데서 나타난다. 그는 고유어를 쓸 수 있는 경우에는 절대로 한자어를 쓰지 않았다. 우리말은 역사적으로 고유어와 한자어가 혼용되어왔는데 우리말 고유어는 한자어에 비하여 유창하며 고저장단이 뚜렷하고 억양도 좋으며 듣기에도 아름답고 귀에 듣기에도 편하고 입에도 잘 오르기  때문이다. 이리하여 그의 노랫말은 유창하고 부드러울 뿐만 아니라 색채가 짙고 시형상의 개성적이고 아름다웠다. 

김태갑의 가사작품의 다른 하나의 특징은 운률적 작업에서 남다른 노력을 기울인데서 나타난다. 가사는 노래하는 시며 시의 가장 뚜렷한 특징과 가장 본질적인 속성은 운율이다. 이를 잘 알고 있는 시인은 가사작품에서 우리 민족시가의 운률조성의 원리를 창조적으로 받아들이고 활용하는데 큰 노력을 경주하며 운율조성의 여러 가지 보조수법을 예술적으로 배합하여 자기만의 독특한 운률형상을 창조하였다. 

우리민족은 자기의 미학요구에 적응되는 민요, 향가, 시조, 가사, 창가 등 여러 가지 민족시가형식을 창조하였는데 그의 가사에는 이와 같은 민족시가형식의 전통운율이 훌륭하게 계승되고 발전되었다. 그의 가사작품에서 우리는 우선 민요에서 표현되는 비교적 짧은 시행, 절제된 시련을 구사한 것을 볼 수 있다. 또한 고전시가의 대구법을 효과적으로 활용하여 운율의 유창한 흐름을 보장하였다. 그의 가사를 살펴보면 그 어느 구절을 빼버리거나 어떤 구절을 더 보태 넣으면 대응이 형성되지 않아 운률이 흩어지는 것을 알 수 있다. 한편의 작품에서 대응하는 내외구 다시 말하여 바깥구와 안구들이 각각 운율조성의 최저단위를 이루어 사람의 호흡에 자연스럽게 어울리는 것이 우리 민족시가의 운률적 관습이다. 이 작품의 1절과 2절의 “하늘에는 종달새가 노래 부르고/ 사원들의 웃음소리 넘쳐나는 길”과 “봄이 오면 뜨락또르 밭갈이하고/ 가을이면 황금산을 싣고 오는 길” 처럼 그는 의식적으로 작품에서 내외구를 대응시켜 운률감을 조성하고 입에 잘 오르게 하였다. 그리고 압운과 반복법, 전도법, 의성의태법, 수사학적질문 등 보조적수법을 충분히 응용하여 시대에 맞는 고상하고 발랄한 새로운 운율을 개척하고 자기의 창작적 개성을 뚜렷이 살려나갔다. 이 작품에서 매절의 마지막 어휘를 “길”로 매듭지으면서 작품 속에서의 각운의 효능을 최대한 발휘하였는데 이는 우리 가요작품에서 거의 유일무이한 표현으로 가사창작실천에서 이뤄낸 하나의 절창이라고까지 높이 평가할 수 있다.(석화 記)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2283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243 시인 - 김미화 2015-03-15 0 4143
242 동시인 - 김성룡 2015-03-15 1 4163
241 시인 - 허동식 2015-03-15 1 4905
240 시인 - 천애옥 2015-03-15 0 4539
239 시인 - 리승호 2015-03-15 0 4451
238 동시인 - 윤동길 2015-03-15 0 4831
237 시인 - 고 허흥식 2015-03-15 1 4722
236 시인 - 홍용암 2015-03-15 0 4984
235 시인 - 리홍규 2015-03-14 0 4395
234 시인 - 리창현 2015-03-14 0 4437
233 시인 - 홍군식 2015-03-14 0 4572
232 시인 - 김선희 2015-03-14 2 4260
231 시인 - 황춘옥 2015-03-14 0 4507
230 시인 - 허련화 2015-03-14 0 4060
229 詩의 革命...! 과 詩의 革命...? 2015-03-14 0 4106
228 시인 - 박명순 2015-03-14 1 4468
227 시조의 제5의 변혁은 숙제... 2015-03-14 0 4492
226 시인 - 오정묵 2015-03-14 0 5386
225 시인 - 백진숙 2015-03-14 0 4583
224 시인 - 김영애 2015-03-14 0 4711
223 시인 - 김춘택 2015-03-14 0 4864
222 시인 - 최강 2015-03-14 0 4431
221 시인 - 박성훈 2015-03-14 0 4935
220 시인 - 남철심 2015-03-14 0 4484
219 시인 - 박운호 2015-03-14 0 5104
218 시인 - 김기덕 2015-03-14 0 4931
217 시인 - 리태학 2015-03-14 0 5612
216 시인 - 김인선 2015-03-14 1 5058
215 시인 - 김성우 2015-03-14 0 4642
214 시인 - 고 리명재 2015-03-14 0 4470
213 <<두만강여울소리>>는 영원히... 2015-03-14 0 4509
212 시인 - 리문호 2015-03-13 0 5145
211 시인 - 박설매 2015-03-13 0 4257
210 시인 - 고 김정호 2015-03-13 0 4486
209 시인 - 신현철 2015-03-13 0 4985
208 시인 - 고 김태갑 2015-03-13 0 4667
207 시인 - 한동해 2015-03-13 0 3910
206 시인 - 김경석 2015-03-13 1 5234
205 시인 - 황상박 2015-03-13 0 4411
204 시인 - 리해룡 2015-03-13 0 4423
‹처음  이전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