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4월 2025 >>
  12345
6789101112
13141516171819
20212223242526
27282930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文人 지구촌

한영남 / 장춘식
2015년 09월 17일 20시 16분  조회:4478  추천:0  작성자: 죽림
 

한영남의 시에 대한 단평

장춘식

 

 

  「그날의 커피향은 오늘도 입가에 머물고」: 이루어지지 않은 사랑이 더 아름답다는 말을 떠올리게 하는 작품이다. 옷깃만 스쳐도 인연이라고 하는데 그들은 왜 “비도 없이 축축한 날” 따뜻한 커피를 함께 마셨음에도 그대로 헤여지고 말았을까? 서로의 마음을 드러낼 용기 부족 때문에? 혹시나 당할 거절에 자존심이 상할까봐? 아니면 이것도 저것도 아닌 그냥 현대인의 무심함 때문에? 하여간 헤여진 지금은 따뜻한 커피향기처럼 아름다운 추억이 되여있다.

 

  「오늘은 왜 그 아픈 사람이 떠오르나」: 「커피향」의 이미지와 연관된 감수이다. 헤여진 사랑의 아름다움을 되뇌인다. 인생은 어쩌면 그러한 아쉬움 때문에 더 아름다운 것인지도 모른다. 완성이 아닌, 부족함 때문에 우리는 인생을 살아갈 수 있는 것이 아닐까? 항상 그 부족함을 채워넣기 위해서 말이다.

 

  「어떤 저녁」: 중년남녀의 맛이 간 사랑에 대해 자조하고 있는 것 같다. 꽤 시일이 지난 부부의 사랑은 이제 격정과 애절함이 사라진 관습적인 사랑이 되여 버린다. 그러나 일부일처제를 거부하지 않는 한 그러한 관습에서 탈피할 수는 없다. 그리고 격정이 사라진 부부의 사랑도 나름대로의 행복을 제공해준다. 귀속감과 안전감이다. 그래도 그것에만 만족할 수 없는 것이 인간의 본성이니 어찌하랴. 이쯤에서 앞 두 편의 시에 표현된 아쉬움의 미학이 연유된 것은 아닐까?

 

  「당신은 늘 비와 함께 온다」: 그래서 화자는 일상의 따분함과 사랑에 대한 상실감을 추적거리는 비와 함께 떠오르는 사랑에 기탁한다. “아무나를 향한 나의 사랑”이다. “세상이 보다 아름다워”진다는 것은 화자의 희망사항이다. 그러나 그것이 어떤 세상인지는 알 수가 없다. 아예 어떤 구체적인 그림이 존재하지 않는지도 모른다. 인간은 언제나 그렇게 보다 아름다운 세상, 보다 아름다운 사랑을 원하는 것이니까.

 

  상재한 한영남 시인의 시작품 4편 중 압권은 첫편 「그날의 커피향은 오늘도 입가에 머물고」이다. 여러가지 상상의 여백을 제공하면서 화자의 정서속에 독자의 정서를 이입시키는 매력이 돋보인다. 산문시로서의 장르적인 특성도 독자의 정서를 끌어들이는데 한몫 하고 있다. 그런데 나머지 3편은 주제의식에 비해 시적인 정서화가 미흡한 것 같다. 기우인지는 모르겠으나 시어의 지나친 통속화 또한 문제가 되지 않을까 한다. 시어가 너무 어려워도 문제이지만 너무 쉬워도 문제이다. 너무 쉬우면 의미의 단순화가 걱정이고 너무 어려우면 의미 파악의 어려움이 걱정이다. 이른바 통속성과 난해성의 문제가 되겠다.

 

  우리 시는 80년대 이전까지 의미의 단순화가 문제가 되었지만 아무래도 그 반동인 듯 80년대 이후에는 난해시가 점차 주류를 이루어 온 것 같다. 이런 문학사적인 흐름에서 볼 때는 통속성이 오히려 미덕이 될지 모르겠으나 그렇다고 그것이 도를 넘어서 요즘 유행하는 가요의 가사처럼 되어 버린다면 그것 또한 문제가 되지 않을 수 없다. 요컨대 상대적으로 통속적인 시작품에서는 의미의 단순화를 극복해야 할 것이고 난해시의 경우에는 독자의 이해를 위한 배려 장치가 시인의 과제가 되지 않을까 한다.

 

  한편 시 쓰기에서는 비유와 상징, 이미지 등의 여러 기법을 통하여 시인과 독자 사이의 정서적 공명을 이루는 것도 중요하지만 그 시를 쓰는 시인 자신도 미처 생각지 못한 창조적 의미의 창출이 더 중요하지 않을까 한다. 이론적으로 도출해내기 어려운 삶의 이치를 시인의 감성을 통해 창출해내는 것, 거기에 시라는 문학장르의 또다른 생명력이 있는지도 모르기 때문이다.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2283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483 <오체투지> 시모음 2015-05-10 0 4593
482 <봄날> 시모음 2015-05-10 0 3983
481 <<家庭의 月>> 特輯 시모음 2015-05-07 0 4917
480 尹東柱論 2015-05-06 0 4662
479 詩를 論하다 / 李奎報 2015-05-05 0 4736
478 詩法을 爲하여... 2015-05-05 0 4221
477 詩作 語錄 2015-05-05 0 4046
476 詩作 16法 2015-05-05 0 4590
475 독자와 시인 그리고... 2015-05-05 0 4448
474 詩는 다만 詩다워야 한다... 2015-05-05 0 4527
473 詩人 - 언어를 버려 詩를 얻는 者 2015-05-05 0 5001
472 재미나는 시 몇수 2015-05-03 0 4488
471 식칼론 / 竹兄 2015-05-03 0 4440
470 민중시인 竹兄 - 조태일 2015-05-02 1 5938
469 현대 과학 시 - 실험 시 2015-05-02 0 4250
468 <폭포> 시모음 2015-04-27 0 4800
467 가사의 대가 - 송강 정철 2015-04-26 0 4903
466 <발바닥> 시모음 2015-04-26 0 4079
465 시와 술, 술과 시... 2015-04-26 0 4398
464 <신발> 시모음 2015-04-26 0 4775
463 현대 그리스문학 대표 시인 - 니코스 카잔차키스 2015-04-26 0 5009
462 <<삼류 트로트 통속 야매 련애시인>> 2015-04-26 0 5213
461 詩여, 침을 뱉어라! 2015-04-25 0 4617
460 공자 시 어록 2015-04-23 0 5476
459 詩란 惡魔의 酒... 2015-04-23 0 5038
458 詩란 삶의 파편쪼가리... 2015-04-23 0 4332
457 <소리> 시모음 2015-04-23 0 4728
456 천지꽃과 백두산 2015-04-23 0 4863
455 영국 시인 - 드라이든 2015-04-20 0 5637
454 詩論하면 論字만 봐도 머리가 지끈지끈... 하지만... 2015-04-20 0 3953
453 영국 시인 - 알렉산더 포프 2015-04-20 1 5367
452 프랑스 초현실주의 대표시인 - 앙드레 브르통 2015-04-20 0 8977
451 프랑스 시인 - 자크 프레베르 2015-04-20 0 5194
450 詩歌란?... 2015-04-20 0 4259
449 프랑스 시인 - 앙리 미쇼 2015-04-20 0 5259
448 시문학의 미래를 생각하며 2015-04-20 0 4377
447 웃음을 터뜨리게 하는 시를 써보기 2015-04-20 0 5035
446 해체시에 관하여 2015-04-20 0 5481
445 브레히트 시의 리해 2015-04-20 0 4358
444 詩的 變容에 對하여 2015-04-20 0 4364
‹처음  이전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51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