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4월 2025 >>
  12345
6789101112
13141516171819
20212223242526
27282930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名詩 공화국

<<껍데기>>시인 - 신동엽
2015년 04월 19일 16시 42분  조회:3024  추천:0  작성자: 죽림
 

*껍데기는 가라 시 분석

                껍데기는 가라

                              신동엽

껍데기는 가라 
사월도 알맹이만 남고 
껍데기는 가라 

껍데기는 가라 
동학년 곰나루의, 그 아우성만 살고 
껍데기는 가라 

그리하여, 다시 
껍데기는 가라 
이곳에선, 두 가슴과 그곳까지 내논 
아사달과 아사녀가 
중립의 초례청 앞에 서서 
부끄럼 빛내며 
맞절할지니 

껍데기는 가라 
한라에서 백두까지 
향그러운 흙가슴만 남고 
그, 모오든 쇠붙이는 가라.

1연에서의 '4월'은 4.19 혁명을 이야기 하고 있으며 2연에서의 '동학년 곰나루의 아우성'은 동학 혁명을 이야기 하고 있으며 3연에서는 '아사달 아사녀가 부끄럼 빛내'는 순수함을 이야기 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4연의 내용은 민중의 끈질긴 생명력과 정의와 자유, 민주에의 열망을 확인하고 이것을 억압하는 모든 비본질적 요소(독재, 폭력, 외세 등)가 사라지기를 희망하며 쓴 시라고 볼 수 있습니다. 신동엽의 또 다른 시인 '봄은' 이라는 시에서 '쇠붙이'가 등장하고 있는데 '봄은' 이라는 시를 분석해보면, 
 

 


 

 

 

 

봄은
남해에서도 북녘에서도 
오지 않는다.

너그럽고 
빛나는 
봄의 그 눈짓은,
제주에서 두만까지 
우리가 디딘 
아름다운 논밭에서 움튼다. 

겨울은, 
바다와 대륙 밖에서 
그 매운 눈보라 몰고 왔지만 
이제 올 
너그러운 봄은, 삼천리 마을마다 
우리들 가슴 속에서 
움트리라. 

움터서, 
강산을 덮은 그 미움의 쇠붙이들 
눈녹이듯 흐물흐물 
녹여버리겠지. 

<한국일보, 1968년 2월 4일>

'봄'은 통일과 화해의 시대를 상징하며 '남해와 북녘' 이라든지 '바다와 대륙 밖'은 외세를 상징한다고 볼 수 있습니다. '봄의 눈짓은, 제주에서 두만까지 우리가 디딘 아름다운 논밭에서 움튼다.' 든지 '너그러운 봄은, 삼천리 마을마다 우리들 가슴 속에서 움트리라' 라는 부분은 결국 평화와 통일의 시대는 외세에 의해서가 아닌 자주적인 우리힘으로 해결되어야 한다는 의지를 반영하고 있는 시로 해석해볼 수 있습니다. 결국 '쇠붙이'는 분단의 원인이 된 갈등과 대립을, 좀 더 단순하게 보면 철조망, 칼, 총 등과 같은 것들을 표현하고 있다고 생각해 볼 수 있습니다. 시인은 '껍데기는 가라'라는 시에서 1960년대 한국이 지니고 있던 주요모순인 남북분단의 현실 극복은 물론 1960년대 자본주의 사회 자체의 기본모순과 독재와 외세의 억압 등을 '껍데기'로 표현하고 있으며 그러한 모순들을 극복하는 대안으로 4.19 혁명의 정신과 동학 혁명의 정신을 대안으로 제시하고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464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184 11월 시 모음 2015-02-19 1 4407
183 10월 시 모음 ㄹ 2015-02-19 1 3056
182 10월 시 모음 ㄷ 2015-02-19 0 3273
181 10월 시 모음 ㄴ 2015-02-19 0 2858
180 10월 시 모음 2015-02-19 0 2954
179 9월 시 모음 ㄷ 2015-02-19 0 2828
178 9월 시 모음 ㄴ 2015-02-19 0 2966
177 9월 시 모음 2015-02-19 0 2865
176 8월 시 모음 ㄷ 2015-02-19 0 2183
175 8월 시 모음 ㄴ 2015-02-19 0 2475
174 8월 시 모음 2015-02-19 0 2395
173 7월 시 모음 ㄴ 2015-02-19 0 2686
172 7월 시 모음 2015-02-19 0 3036
171 6월 시 모음 ㄹ 2015-02-19 0 2170
170 6월 시 모음 ㄷ 2015-02-19 0 3288
169 6월 시 모음 ㄴ 2015-02-19 0 2320
168 6월 시 모음 2015-02-19 0 3254
167 5월 시 모음 ㄷ 2015-02-19 0 2525
166 5월 시 모음 ㄴ 2015-02-19 0 2881
165 5월 시 모음 2015-02-19 0 2524
164 4월 시 모음 ㄹ 2015-02-19 0 2772
163 4월 시 모음 ㄷ 2015-02-19 0 3055
162 4월 시 모음 ㄴ 2015-02-19 1 2870
161 4월 시 모음 2015-02-19 1 2471
160 3월 시 모음 ㄹ 2015-02-19 0 3639
159 3월 시 모음 ㄷ 2015-02-19 1 2666
158 3월 시 모음 ㄴ 2015-02-19 0 2741
157 3월 시 모음 2015-02-19 2 3576
156 2월 시 모음 2015-02-19 0 2957
155 1월 시 모음 2015-02-19 0 2849
154 겨울 시 모음 2015-02-19 0 5269
153 가을 시 모음 2015-02-19 0 9520
152 여름 시 모음 2015-02-19 0 3157
151 봄 시 모음 2015-02-19 0 3035
150 단풍 시 모음 2015-02-19 1 3751
149 시; 당신의 뇌는 건강합니까 2015-02-18 0 2284
148 아방가르드詩 몇수 2015-02-18 0 2589
147 황지우 시모음 2015-02-17 0 2601
146 <詩 다시 보기 - 詩畵> - 중국 력사상 가장 유명한 시 2015-02-16 0 2790
145 인도 시성 - 타고르 2015-02-16 0 2662
‹처음  이전 3 4 5 6 7 8 9 10 11 12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