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4월 2025 >>
  12345
6789101112
13141516171819
20212223242526
27282930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文人 지구촌

시인 - 최화길
2015년 03월 12일 22시 04분  조회:4715  추천:0  작성자: 죽림

 

      중국조선족 시인최화길

        1962림구현 룡조향 흥풍촌에서 출생.

        연변대학 조문전업(함수졸업. 

        시수필동시 등 400여 수(발표.

        연변작가협회 회원.

        흑룡강조선족작가창작위원회 회원.

        녕안시조선족문학가협회 회장.

        현 녕안시조선족중학교에서 교원으로 근무.

        흑룡강성소수민족문학상.

        흑룡강『흑토문학상』시부분 대상.

        한국『월간아동』신인상.

        백두아동문학상.

        2003년 시집『봄날의 사색』출간.

 
 
 
최화길 동시집"해님의 낚시질"출간
 
 
 
 
물에 던지는 낚시질이 아니라
낚시도 미끼도 없는 낚시질
 
하늘에서 땅까지 드리운 낚시질
낚시대 없이도 잘도 낚는다
 
해볕 물고 뾰족뾰족 돋아나는 애기풀
해님이 낚아올린 파아란 물고기
 
최화길 동시집 “해님의 낚시질”이 연변인민출판사에 의해 출간되였다.
동시집에는 “고드름” ,“사랑의 산수”, “우리 집의 사계절”,“나의 선생님” 등 97편의 동시가 수록, 저명한 동시인 한석윤은 동시집의 꼬리말에서 "창신적이고 참신하며 어린이들의 눈높이에 맞는 동심적상상이다." 라고 평했다.
 
최화길시인은  1962년, 림구현 룡조향 흥풍촌에서 출생. 연변대학 조문학부를 졸업.  현재 흑룡강성 녕안시조선족중학교에서 교편을 잡고 있다. 시, 수필, 동시 등 400여 수(편) 발표하였으며 2003년에는 시집 “봄날의 사색”을 출간하였다. 연변작가협회 회원, 흑룡강조선족작가창작위원회 회원으로서 흑룡강성소수민족문학상,  흑룡강신문”흑토문학상” 시부문 대상, 한국월간아동 “백두아동문학상”등 상을 수상한바 있다.
 
김혁 기자
 
“종합신문” 2010년 9월 12일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2283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1403 詩와 자연의 축복 2016-05-06 0 6319
1402 연변작가협회에서 회원들 작품집 출간 전력 2016-05-05 0 4460
1401 [한밤중 詩 읊다]- 詩 몇쪼가리 2016-05-05 0 4992
1400 정호승 - 별들은 따뜻하다 2016-05-01 0 5005
1399 강은교 - 우리가 물이 되어 2016-05-01 0 4958
1398 박인환 - 목마와 숙녀 2016-05-01 0 4419
1397 문정희 - 한계령을 위한 연가 2016-05-01 0 4813
1396 기형도 - 빈집 2016-05-01 0 4838
1395 박용래 - 저녁눈 2016-05-01 0 4874
1394 최승호 - 대설주의보 2016-05-01 0 5000
1393 노천명 - 사슴 2016-05-01 0 4716
1392 오규원 - 한잎의 여자 2016-05-01 0 5256
1391 곽재구 - 사평역에서 2016-05-01 0 5193
1390 서정주 - 동천 2016-05-01 0 4772
1389 김춘수 - 꽃 2016-05-01 0 4957
1388 황동규 - 즐거운 편지 2016-05-01 0 5121
1387 이성복 - 남해 금산 2016-05-01 0 4653
1386 김수영 - 풀 2016-05-01 0 4599
1385 박두진 - 해 2016-05-01 0 4492
1384 김삿갓 竹詩 2016-05-01 0 4285
1383 나래를 펴는 엉뚱한 상상 2016-05-01 0 4354
1382 詩作은 온몸으로 하는것... 2016-05-01 0 4198
1381 [밤중 詩를 읊다]- 詩 몇토리 2016-05-01 0 4837
1380 소월 시 음미해보기 2016-04-26 0 4958
1379 내 문학의 고향, 어머니의 詩心 2016-04-25 0 4365
1378 [출근족들 왁짝지껄 하는 이 시각, 詩 한컷]- 늦봄 2016-04-25 0 4531
1377 [詩 미치광이]- 메아리 2016-04-25 0 4154
1376 [기온차가 심한 아침, 詩 한컷]- 문신 2016-04-25 0 3812
1375 [詩로 여는 월요일 아침]- 아이의 질문에 답하기 2016-04-25 0 4341
1374 공룡아~ 발자국을 가져가거라... 2016-04-23 0 4145
1373 한 <단어>앞에 문득 멈춰서게 하는... 2016-04-23 0 3621
1372 흑과 백, 문밖과 문안 2016-04-23 0 3873
1371 [詩와 詩評으로 여는 토요일]- 봄 셔츠 2016-04-23 0 3739
1370 김수영 시인 대표작 시모음 2016-04-22 0 6650
1369 다시 떠올리는 전위시인 - 김수영 2016-04-22 0 4382
1368 [밤에 올리는 詩 한컷]- 아이가 무릎에 얼굴을 묻고 있다 2016-04-22 0 4472
1367 [詩로 여는 금요일]- 앞날 2016-04-22 0 3712
1366 [안개 푹 낀 아침, 詩놈팽이 한컷]- 명함 2016-04-22 0 4156
1365 자루는 뭘 담아도 슬픈 무게로 있다... 2016-04-21 0 4328
1364 詩는 쓰는것이 아니라 받는것 2016-04-21 0 4652
‹처음  이전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