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4월 2025 >>
  12345
6789101112
13141516171819
20212223242526
27282930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詩人 대학교

인도주의는 윤동주 시인이 이 땅에 심은 자산입니다...
2019년 03월 23일 19시 37분  조회:3584  추천:0  작성자: 죽림

[세상읽기]
시인의 외침

함석천 | 서울중앙지법 부장판사
  •  
 

이맘때면 시인을 생각합니다. 윤동주 시인은 사랑을 쉽고 정제된 언어로 풀어냈습니다. 시인은 보편, 인도주의, 휴머니즘으로 호흡했습니다. 인류가 사는 곳이라면 언제 어디든 통할 수 있는 보편적인 정서, 윤동주 시인이 이 땅에 심은 자산입니다. 윤동주 시인은 이 세상 어디에 내놔도 모두가 공감할 정서와 연민을 그의 말에 담았습니다. 특정 대상에 대한 저항시인으로만 평가하고 싶지 않습니다. 

 

그래서 일본 제국주의자들은 윤동주 시인을 두려워했습니다. 창씨개명이라는 민족정신에 대한 지독한 고문을 가하던 시기에, 우리의 언어로 세계 어디서나 보편타당한 인류애를 담은, 사랑을 담은 연민 어린 시를 이 땅의 누군가가 쓴다는 사실을 두려워했던 것입니다. 우리만의 시인이 아닌, 인류의 시인으로서 세계인의 보편 정서를 담은 시가 우리 말로 쓰였다는 사실을 인정하기 어려웠을 겁니다. 군국주의자들의 땅이 아닌, 그들이 핍박하던 땅에서 그런 시가 탄생했다는 사실을 참을 수 없었을 것입니다. 그래서 시인의 의식을 분석한다는 명목으로 어두운 생체실험실로 그를 끌고 간 것입니다. 시인에게서 느낀 두려움이 이처럼 그들이 시인을 괴롭힌 이유라면, 사실 진실로 불쌍한 존재는 일본 군국주의자들입니다. 그들은 몰랐습니다. 그들이 선택한 방법이 결국 시인을 우리 가슴에 더 깊숙이 박아서 진정한 인류의 시인으로 자라게 했다는 것을 말입니다. 바로 시인의 그런 운명이 우리에게 깊은 연민을 심어준 것입니다.

...
...
100년 전에 우리의 외침에 고개를 돌렸던 세계가 이제 우리를 주목하고 있습니다.

윤동주 시인은 숭고한 희생으로 지고한 가치를 지켜온 우리의 정서를 그의 시 속에 담아왔습니다. 편협하고 왜곡된 시각으로는 도저히 이해할 수 없는, 오히려 두려워할 수밖에 없는 우리의 힘을 그 안에 담았습니다. 처음에 연민으로만 다가왔던 그의 언어는 읽을수록, 들을수록 왜 우리 민중이 숭고한 희생으로 총칼 앞에 나섰는지 이해하게 해 줍니다. 저는 이런 우리들의 외침에 언제나 윤동주 시인이 함께했다고 생각해 왔습니다. 

 

시인은 조국의 광복을 불과 6개월 앞둔 1945년 2월 유명을 달리한 것으로 추정하고 있습니다. 어찌 생각하면 시간이 꽤 흘렀기 때문에 광복이니 해방이니 하는 말들을 이제 그만해도 될 것 같습니다. 그래도 아직까지 남겨진 숙제들이 있습니다. 위안부 문제와 강제징용 사안은 진행 중입니다. 이 사안은 인류 보편의 인권 문제라는 점을 상기해야 합니다. 국가가 피해자를 대신해서 양도나 포기를 운운할 수 없습니다. 상대국도 두려움을 떨치고 사안의 본질을 봐야 합니다. 그리고 남북한은 평화의 길을 찾아야 합니다. 상대가 손을 내민 상태라면 주변 국가들이 적극 동참하고, 그 손목을 잡아줘야 합니다. 시간이 갈수록 시인의 언어는 우리 안에서 살아납니다. 시인이 말한 도착하여야 할 시대의 정거장과 온정의 거리가 우리 곁에 와 있습니다.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1570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1330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창구멍 2018-12-20 0 2853
1329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병아리 2018-12-19 0 2909
1328 윤동주와 꿈 2018-12-19 1 2835
1327 ... 2018-12-19 0 3252
1326 ... 2018-12-19 0 2552
1325 ... 2018-12-18 0 3061
1324 ... 2018-12-18 0 2699
1323 ... 2018-12-18 0 2835
1322 ... 2018-12-18 0 2903
1321 ... 2018-12-18 0 2669
1320 ... 2018-12-18 0 2923
1319 시 한수에 그림책 한부 나오다니... 2018-12-18 0 3061
1318 ... 2018-12-18 0 2667
1317 ... 2018-12-18 0 3409
1316 {자료} - 해방전 조선인 시선 2018-12-17 0 3378
1315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꿈은 깨여지고 2018-12-17 0 3196
1314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봄(2) 2018-11-30 0 6829
1313 윤동주와 "이상한 주사" 2018-11-30 0 3213
1312 [작문써클선생님께] - 시를 어떻게 쓸가ㅠ.. 2018-11-27 0 3719
1311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산울림 2018-11-27 0 3643
1310 윤동주와 "원산 송도원" 2018-11-26 0 4079
1309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바다 2018-11-26 0 3547
1308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비로봉 2018-11-25 0 3512
1307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산협의 오후 2018-11-25 0 3712
1306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서시" 분석 2018-11-25 0 4624
1305 윤동주, 그 뒷이야기???... 2018-11-24 0 3328
1304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개(2) 2018-11-24 0 3254
1303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나무 2018-11-23 0 2705
1302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황혼이 바다가 되여 2018-11-20 0 3618
1301 백두산 / 조기천 2018-11-18 0 3383
1300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둘 다 2018-11-17 0 3363
1299 "한국의 안데르센" - 강소천 2018-11-17 0 2801
1298 윤동주와 강소천 2018-11-17 0 4769
1297 {자료} - 남영전시인이 보는 중국조선족문학 2018-11-17 0 2731
1296 윤동주가 좋아했던 아동문학가 - 윤석중 2018-11-16 0 2808
1295 윤동주와 윤석중 2018-11-15 0 3305
1294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아침 2018-11-15 0 3448
1293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겨울 2018-11-15 0 3371
1292 한춘&김혁 2018-11-15 0 2786
1291 리상(이상)이 동시를 썼다???!!! 2018-11-14 0 2794
‹처음  이전 2 3 4 5 6 7 8 9 10 11 12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