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4월 2025 >>
  12345
6789101112
13141516171819
20212223242526
27282930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詩人 대학교

"나한테 주어진 길을 걸어가야겠다" ㅡ "윤동주 정신"
2018년 07월 27일 23시 45분  조회:2389  추천:0  작성자: 죽림
다고 기치로 전 NHK PD '생명의 시인 윤동주' 출간 기념 방한

 

새'생명의 시인 윤동주' 출간한 다고 기치로 씨.
새'생명의 시인 윤동주' 출간한 다고 기치로 씨.

 

(서울=연합뉴스) 임미나 기자 = "윤동주 시인은 사람이 어떻게 살면 되느냐 하는 근본적인 테마에서 출발해 시를 만든 사람입니다. 지금 전 세계 많은 사람이 어떻게 살아야 하는가 질문 앞에서 길을 잃은 상태인데, 그렇게 미로를 걷고 있는 사람들에게 윤동주는 틀림없는 지표를 줄 수 있는 사람입니다."

일본 공영방송 NHK에서 오랫동안 PD로 일한 다고 기치로 씨는 저서 '생명의 시인 윤동주- 모든 죽어가는 것이 시가 되기까지'(한울) 한국 출간을 기념해 방한, 24일(2018년 4월), 연합뉴스와 가진 인터뷰에서 이렇게 강조했다.

그는 PD로 일한 1995년 KBS와 공동으로 다큐멘터리 '하늘과 바람과 별과 시: 윤동주, 일본 통치하의 청춘과 죽음'을 제작하는 등 30여년간 윤동주 관련 자료를 조사하고 그 안에 담긴 시인의 사상과 철학을 연구했다. 그 결과물을 집대성해 이 책을 낸 것. 그는 오래전부터 윤동주와 한국에 대한 깊은 관심으로 틈틈이 한국어를 공부해 현재 높은 수준의 한국어를 구사한다. 이날 인터뷰 역시 한국어로 이뤄졌다.

그가 특히 강조하는 윤동주 시 시계의 결정적 개념은 '생명'이다.

"모든 사람이 한계가 있는 목숨을 살고 있죠. 죽을 목숨, 그걸 '모털'(mortal)이라고 합니다. '서시'에는 "모든 죽어가는 것을 사랑해야지"라는 구절이 있지요. 윤동주가 소장한 책 중 철학자 딜타이의 '근세 미학사'가 있는데, 직접 줄을 치고 특별히 체크한 부분이 "죽어야 하는 창조자, 시인"이라는 표현입니다. 이걸 보면 '서시'는 모털한 자기 생명에 대한 각오라고 할 수 있죠."

 

다고 기치로 씨가 발굴한 윤동주 사진. 현존하는 윤동주 최후의 사진으로 알려져 있다. 앞줄 왼쪽에서 두 번째가 윤동주. [연합뉴스 자료사진]

 

'별헤는 밤'도 시인이 깊은 고민 끝에 마지막 부분을 추가한 것이라고 설명한다. 처음에 "딴은 밤을 새워 우는 벌레는/부끄러운 이름을 슬퍼하는 까닭입니다."로 끝내고 '1941년 11월 5일'이라고 날짜까지 썼다가 나중에 "그러나 겨울이 지나고 나의 별에도 봄이 오면/무덤우에 파란 잔디가 피어나듯이/내 이름자 묻힌 언덕우에도/자랑처럼 풀이 무성할게외다."를 더했다는 것이다.

"윤동주는 원래 시집 제목을 '병원'으로 하려고 했어요. 당시 사회 전체가 병에 걸린 상태였잖아요. 생명 경시, 파시즘이 가득차 있고 암흑기였죠. 그러다 약 2주 동안 깊이 생각했고, 상처와 고뇌 속에서 드라마틱하게 도약한 것입니다. 시집 제목을 '하늘과 바람과 별과 시'로 바꾸고 '별 헤는 밤' 마지막 부분에 이모털(immortal)한 세계, 영원한 생명의 이야기를 넣은 것입니다. 이런 도약은 문학의 기적이랄까요."

다른 시 '못 자는 밤' 원고에도 시인이 남긴 특별한 메모가 있다고 설명한다. "미(美)를 인정하는 것은 생명에 대한 참여를 기꺼이 승인하고 생명에 참가하는 것과 다름없기 때문이다"라는 내용이다.

"미국 작가 월도 프랭크를 인용했어요. 시를 쓴 원고지에 일본어 그대로 인용해 메모를 남긴 것은 아주 중요한 의미가 있습니다. 생명이라고 하는 것이 당시 윤동주의 결정적 철학이었다는 것이죠. 그것이 시인의 한 우주를 구성하고 있다고 할 수 있습니다."

그는 윤동주 시인의 보편적인 휴머니즘에 더 주목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민족시인, 저항시인인 것도 사실입니다. 일제 말기에 한국어 사용 자체가 금지되는 역사의 암흑기에 모국어로 시를 쓰겠다 했죠. 그렇다고 해도 이면성, '더블 이미지'가 있는 것입니다. 그는 북간도에서 태어나 평양과 서울, 일본 도쿄를 거쳐 교토에서 돌아가신 분으로서 디아스포라, 국경을 넘는 경향을 지니면서 민족적인 부분과 국제적인 부분을 함께 추구했다고 봐야 합니다."

윤동주의 삶과 문학은 다고 기치로 씨의 개인 삶에도 큰 영향을 끼쳤다고 한다.

"저는 NHK PD로서 일제 치하 한국사람들의 고통을 전달해야 한다, 알아야 한다는 사명감으로 시작했고 그 다큐 프로그램은 일찍이 끝났지만, 윤동주 시가 제 개인에게 보물이 된 겁니다. '나한테 주어진 길을 걸어가야겠다'는 시인의 말이 저에게 '어떻게 살면 되느냐'라는 질문을 항상 했어요. 제게 윤동주는 아주 특별한 세계이고, 앞으로 무슨 글을 써도 그 바탕엔 '윤동주 정신'이 있을 겁니다."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1570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970 "우리집마당에 자라는 애기똥풀 알아보는데 아홉해나 걸렸다"... 2018-02-28 0 2324
969 편복 / 리육사 2018-02-28 0 2716
968 어린이의 인생을 지옥으로 연출해내면 엄마가 아니다... 2018-02-26 0 2287
967 詩 = 詩人 = 詩 2018-02-25 0 2510
966 "연변문학은 '고립된 섬'에서 해탈해야 '지옥'에 안간다"... 2018-02-21 0 2477
965 詩가 "잠꼬대 하기", "눈물코물 쥐여짜기" "자화상"되지말기 2018-02-21 0 2633
964 시는 직선이 아니라 곡선이며 직설이 아니라 우설이다... 2018-02-21 0 7820
963 우리 詩가 때벗이 해야 할 리유,- "그리지 않고 그리기" 2018-02-20 0 2661
962 한시 모음 2018-02-20 0 3166
961 <고향> 시모음 2018-02-20 0 2899
960 헝가리 민중시인 - 아틸라 요제프 2018-02-19 0 4194
959 윤동주, 헝가리의 밤하늘가에 샛별로 처음 뜨다... 2018-02-19 0 2473
958 세계문학사 유례없는 20대 천재 시인 - 윤동주 2018-02-18 0 2350
957 "별 하나에 어머니, 어머니"... 2018-02-14 0 2312
956 <숟가락> 시모음 2018-02-11 0 2358
955 <삶=사람=삶> 시모음 2018-02-09 0 2672
954 <삶> 시모음 2018-02-07 0 3428
953 <민들레> 시모음 2018-02-06 0 2396
952 <자연> 시모음 2018-02-06 0 2298
951 배금주의와 향락주의 작품은 실패작 2018-02-03 0 2351
950 <이사> 시모음 2018-02-03 0 3807
949 {쟁명} - 단편 시가 영 詩맛 안나는데 시라 해ㅠ... 2018-02-03 0 2549
948 "공부벌레"는 담장을 뚫고 날아오를수가 있다... 2018-02-03 0 2030
947 <신발> 시모음 2018-02-02 0 2645
946 마음의 휴식이 필요한 요즘, 시를 감상하기.. 2018-02-02 0 2468
945 "한알은 날짐승 주고, 또 한알은 들짐승 먹고 남은 한알은..." 2018-02-01 0 2665
944 <새> 시모음 2018-02-01 0 3859
943 "나는 인생을 증오한다"... 2018-01-30 0 2384
942 과연 당신만의 "십자가"를 짊어질수 있는 용기가 있는가... 2018-01-30 0 2148
941 윤동주 친구, 문익환 다시 알기... 2018-01-29 0 3594
940 <할아버지> 시모음 2018-01-27 0 2592
939 <할머니> 시모음 2018-01-27 0 2366
938 <술> 시모음 2018-01-25 0 2435
937 "자본가는 돼지가 되고 시인은 공룡이 된다"... 2018-01-25 0 2608
936 <개> 시모음 2018-01-23 0 2740
935 무소유와 삶과 죽음과 그리고... 2018-01-23 0 2718
934 "나는 그냥 나 자신이면 됩니다"... 2018-01-19 0 2225
933 인류의 가장 위대한 노래 - 아리랑 2018-01-10 0 4088
932 노래 "아리랑"속에 말못할 "비밀"이 없다?... 있다!... 2018-01-10 0 2638
931 보르헤스 시학 / 한편의 시가 여려편의 번역 시 비교 2018-01-10 0 2917
‹처음  이전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