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4월 2025 >>
  12345
6789101112
13141516171819
20212223242526
27282930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詩人 대학교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위로
2018년 07월 22일 00시 17분  조회:3140  추천:0  작성자: 죽림

위로 



윤동주 





거미란 놈이 흉한 심보로 병원 뒤뜰 난간과 꽃밭 사이 
사람 발이 잘 닿지 않는 곳에 그물을 쳐 놓았다. 
옥외 요양을 받는 젊은 사나이가 누워서 쳐다보기 바르게ㅡ 

나비가 한 마리 꽃밭에 날아들다 그물에 걸리었다. 
노-란 날개를 퍼득거려도 파득거려도 
나비는 자꾸 감기우기만 한다. 
거미가 쏜살같이 가더니 끝없는 끝없는 실을 뽑아 
나비의 온몸을 감아 버린다. 사나이는 긴 한숨을 쉬었다. 

나이보담 무수한 고생 끝에 때를 잃고 병을 얻은 이 사나이를 위로할 말이ㅡ
거미줄을 헝클어 버리는 것밖에 위로의 말이 없었다. 


===================

 

[해석]

1. 거미의 '흉한 심보'

 - 화자의 감정이입.

 - 거미가 일부러 자신보다 강한 인간의 손을 피하려고 인적 드문 곳에 거미줄 쳐 놓았다고 생각함.

 - 꽃밭에 도달하기 전에 나비를 잡으려고 꽃밭과 뒤뜰 난간 사이에 거미줄을 쳐 놓음

 - 사나이가 누워서 잘 쳐다볼 수 있는 곳에 거미줄을 쳐 놓았다. (비수를 꽃는 행동)

 

2. 사나이가 한숨을 쉬는 이유

 - 사나이는 노-란 나비(본인에 대입)가 꽃밭(이상향)에 도달하길 바랐지만 영악한 거미의 흉한 심보로 인해 허우적 대는 나비를 본인에 대입했다. 감정이입.

 

3. 진짜 화자의 등장과 위로.

 - 진짜 화자는 위로를 섣불리 건내지 않고 거미줄을 헝클어 버리며 젊은 사나이를 위로한다.

 

[감상]

 윤동주 선생님의 상황에 비유한다면 젊은 사나이는 본인, 거미줄과 거미는 일제 강점기, 꽃밭은 독립을 뜻한다. 적절한 비유를 통한 시의 전개가 인상적이다.

 무엇보다도 이 시는 화자에 대한 공감과 위로 능력이 돋보인다. 상대방을 공감해주고 위로해주는 일은 그 누구든 힘들고 어렵다. 그리고 이러한 위로와 공감이 순도 100%가 되기 위해선 '내'가 '아픈 사람'이 되어야 한다. 화자는 나비에 대한 한탄과 거미에 대한 비방보다 그 상황 자체를 없었던 것처럼 만들어주고 있다.

 누군가가 힘들고 지칠 때 '말'로만 표현하지 말고 떄로는 직접 거미줄을 헝클어버리는 '행동'을 보여주는 것은 어떨까?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1570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890 화룡 두만강역 로과籍 - 방홍국 시 쓰다... 2017-12-16 0 2344
889 <섬> 시모음 2017-12-14 0 2367
888 "이 섬에서 저 섬으로 가고 싶다"... 2017-12-14 0 2851
887 "사람이 온다는 건 실은 어마어마한 일이다"... 2017-12-14 0 2611
886 시인은 "쉽고 편안하면서도 아름답고 품격있는 시"를 써야... 2017-12-14 0 2616
885 반도에서 최초의 성교육 동시집 "응아~" 태여나다... 2017-12-12 0 2211
884 모든 시인은 "자연파"이다... 2017-12-12 0 2596
883 {쟁명}하이퍼시에서 감정은 감옥세계에... 감각은 자유세상에... 2017-12-10 0 2196
882 노을아, 나와 놀쟈... 2017-12-09 0 3594
881 평화야, 어서 빨리 오너라... 닐리리 우리 함께 놀아나 보쟈... 2017-12-09 0 2351
880 작은것과 큰것... 2017-12-07 0 2531
879 [사투리공부] - 시 "진달래꽃"를 강원도 사투리로 보기 2017-12-06 0 2575
878 {쟁명} - 하이퍼시는 두차례 이상의 "도주"가 있어야... 2017-12-01 0 3084
877 "미안합니다, 동주"... "윤동주를 려행하다"... 2017-11-30 0 2926
876 징그러워 보이기도 하면서 아름다운 예술세계... 2017-11-28 0 4868
875 독일 유대계 녀류시인 - 넬리 작스 2017-11-21 0 2734
874 [쟁명] - 하이퍼시와 "다수"와 "소수" 그리고... 2017-11-20 0 2552
873 [시문학소사전] - 풍시조(諷詩調)란?... 2017-11-19 0 2728
872 누구나 시인이 될수 없다?... 있다!... 2017-11-18 0 2847
871 현대시 = 비유 2017-11-18 0 3159
870 현대시 = 이미지 2017-11-18 0 2513
869 시문학공부는 끝이 없다... 2017-11-18 0 3189
868 "낯설게하기"시공부 1 2 3... 2017-11-16 0 2785
867 시작은 고정관념을 파괴해야 생명력을 낳는다... 2017-11-16 0 3542
866 낯설기용법= 신선함 "회복창조"하는것, 새로운 시세계 구축... 2017-11-15 0 3468
865 "자화상"에서 "낯설게하기" 찾아보기... 2017-11-15 0 2614
864 낯설게하기란 기존의 코트를 해체, 파괴하는 용감한 행동이다 2017-11-15 0 2464
863 러시아 문예학자 - 시클로프스키 = "낯설게하기" 2017-11-15 0 4828
862 시는 낯설음의 미학이다... 2017-11-15 0 3001
861 시인은 무대(시)뒤에 숨어버린 감독이여야... 2017-11-15 1 2684
860 시인은 조탁능력이 있는 연금술자가 되여야... 2017-11-15 0 2576
859 글쓸 때 시집을 한쪽켠에 놓고 글써라... 2017-11-15 0 3321
858 시작은 "은유와 환유"라는 두 녀자를 사귀러 가는것이다... 2017-11-15 0 3432
857 시는 "광기적 드라마"이다... 2017-11-15 0 2594
856 시는 은유와 환유의 몸부림이다... 2017-11-15 0 3607
855 내전 중에 희생된 "철뚜기와 신비한 베일"에 싸인 시인 2017-11-14 0 4487
854 [작문써클선생님들께] - 시조문학교과서 4 5 6... 2017-11-14 0 3301
853 [작문써클선생님들께] - 시문학교과서 1 2 3... 2017-11-14 0 3188
852 [작문써클선생님들께] - 동시세계에서 뛰여 놀쟈... 2017-11-13 0 3120
851 [작문써클선생님들께] - 동시와 언어는 쌍둥이... 2017-11-13 0 3319
‹처음  이전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